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사도신경때 무릎꿇음과 성금요일에 무릎굻음[허윤석신부님]
작성자이순정 쪽지 캡슐 작성일2013-04-08 조회수428 추천수3 반대(0) 신고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26-38

 

그때에 26 하느님께서는 가브리엘 천사를 갈릴래아 지방 나자렛이라는 고을로 보내시어, 27 다윗 집안의 요셉이라는 사람과 약혼한 처녀를 찾아가게 하셨다. 그 처녀의 이름은 마리아였다.

28 천사가 마리아의 집으로 들어가 말하였다. “은총이 가득한 이여, 기뻐하여라. 주님께서 너와 함께 계시다.” 29 이 말에 마리아는 몹시 놀랐다. 그리고 이 인사말이 무슨 뜻인가 하고 곰곰이 생각하였다.

30 천사가 다시 마리아에게 말하였다. “두려워하지 마라, 마리아야. 너는 하느님의 총애를 받았다. 31 보라, 이제 네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터이니 그 이름을 예수라 하여라. 32 그분께서는 큰 인물이 되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아드님이라 불리실 것이다. 주 하느님께서 그분의 조상 다윗의 왕좌를 그분께 주시어, 33 그분께서 야곱 집안을 영원히 다스리시리니 그분의 나라는 끝이 없을 것이다.”

34 마리아가 천사에게, “저는 남자를 알지 못하는데, 어떻게 그런 일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하고 말하자, 35 천사가 마리아에게 대답하였다.

성령께서 너에게 내려오시고 지극히 높으신 분의 힘이 너를 덮을 것이다. 그러므로 태어날 아기는 거룩하신 분, 하느님의 아드님이라고 불릴 것이다. 36 네 친척 엘리사벳을 보아라. 그 늙은 나이에도 아들을 잉태하였다. 아이를 못 낳는 여자라고 불리던 그가 임신한 지 여섯 달이 되었다. 37 하느님께는 불가능한 일이 없다.”

38 마리아가 말하였다.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그러자 천사는 마리아에게서 떠나갔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오늘은  

주님 탄생예고 대축일입니다.

 

 오늘은

 대영광송과 사도신경을 합니다.

우리는 사도신경을 할 때 집중해야 할것이 있습니다.

 

사도신경 중 

 성령으로 인하여 동정녀 마리아께 잉태되어부분을 할때는

 무릎을 꿇거나 깊은 절을 한다는 지침이 미사경본에는 있습니다. 

 

얼마전 성금요일 때 우리는

예수님께서 숨을 거두셨다.는 부분에서 모두 무릎을 꿇었습니다.

 

그렇다면 사도신경과

성금요일의 무릎 꿇음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성모님의 호칭중에 순교자들의 모후가 있습니다.

 성모님은 죽지 않으셨는데  

어떻게 순교자들의 모후이시냐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그 답은 이렇습니다.

 

 성모님께서

천사의 아룀에 대해

전적인 순명과 응답을 하신 것은

이미 목숨을 봉헌하신 것입니다.

 

간음한 여자는

그 아이와 함께 돌로 쳐서 죽이는 

그 당시 법은 너무나 무서운 것이었습니다.

  

엘리사벳이 마리아에게 

 주님의 말씀이 이루어지시리라 믿으셨으니 정녕 복되십니다.”라는 말씀은

 믿기 어려운 내용에 대해 단순히 심의적 동의를 하였다는 적이 아니라 

 목숨을 건 믿음에 대한 칭송입니다.

 

따라서 성모님은

순교자중의 첫 순교자요  

순교자들의 모후가 되시는 것입니다.

 

사도신경때 따라서 이러한 성모님의 공로를 기억하며 우리는 무릎을 꿇습니다.

 

 이렇게 무릎을 꿇는 것을 전례동작이라고 합니다.

 

저는 오늘 미사를 집전하면서

 성모님의 응답과 십자가상의 예수님의 응답이 일치를 이룬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성모님의 응답이 없었으면 십자가상의 응답이 없었을 것입니다.

 

오늘 이 미사때

저는 강론에 이어서

사도신경을 할 때 무릎을 꿇도록 하겠습니다.

 

 성금요일에 우리가 무릎을 꿇었던 것과 같이 말입니다.

 

우리의 무릎 꿇음은

 성모님과 예수님에 대한 공경과 흠숭의 의미이외에도

우리죄 때문에 그분들이 겪으셨던 고통에 대한 인식을 나타냅니다.

 

이제 성모님의 응답을 통해 

 하와의 원죄는 새로운 하와인 마리아의 순명으로 씻어지고 

예수님의 십자가의 희생제사를 통해 아담이 지은 원죄가 다시 회복됩니다.

 

사도신경에 좀더 깊이 생각해 봅시다.

 

사도신경을

주일에 바치는 특별한 기도이며

 묵주기도때 하는 기도정도로 이해해서는 안됩니다.

 

저는 사도신경에 대한 체험이 있습니다.

 

 사별가족 피정 회복의 시간때

부모보다 먼저 하늘나라로 간 가족들의 기도모임에서

성모님의 생애를 이야기 하였습니다.

 

성모님의 전적인 순명이 이룩되는 순간은 예수님의 잉태에서 부터입니다.

 

성모님은 상식적이라면  

태중에 있는 예수님과 함께 돌에 맞아 돌아가실 운명이셨습니다.

마리아가 당할 죽음은 그냥 죽음이 아닌 억울한 죽음이었습니다.

 

마리아는

 당신의 순명을 통해

하느님의 아드님이자 당신의 아들이신 예수님과 늘 함께 하셨습니다.

 

죽음을 없애는 죽음에 동참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예수님과 공동운명체가 되신 이 응답은

 부활을 주신 그리스도의 위대한 생명의 열매나무에서

우리에게 커다란 가르침을 주십니다.

 

그 어떤 죽음도 우리는 우리와 믿는 우리 가족들과 떨어뜨릴수 없습니다.

 

사도신경에서의 무릎꿇음은

우리에게 커다란 위로와 기쁨을 줍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