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8월14일(수) 聖 막시밀리아노 콜베 님
작성자정유경 쪽지 캡슐 작성일2013-08-13 조회수375 추천수1 반대(0) 신고



8월14일(수) 음7/8

聖 막시밀리아노 콜베


 


막시밀리아노 콜베(8.14)

성인명

막시밀리아노 콜베(Maximilian Kolbe)
축일 8월 14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신부, 순교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894-1941년
같은이름 꼴베, 막시밀리아누스, 막시밀리안, 막씨밀리아노, 막씨밀리아누스, 맥시밀리안, 맥시밀리언


성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Maximilianus-Maria Kolbe)


 
 



1894년 1월 7일 폴란드 우지 근처의 즈둔스카볼라(Zdunska Wola)에서 태어난
성 막시밀리아누스 마리아 콜베(Maximilianus-Maria Kolbe, 또는 막시밀리아노)
라이문두스(Raimundus)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1910년 9월 4일 콘벤투알 프란치스코회에 입회하면서
막시밀리아누스라는 수도명을 택하였다.
이곳에서는 그는 중등 교육과 수련을 받고 1911년 9월 5일에 첫 서원약을 하였으며,
1912년 12월에 로마(Roma)로 가서 공부를 계속하였다.
그리고 로마의 프란치스코회 국제 신학원에 머물면서
그레고리안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보나벤투라 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무렵 23세였던 성 막시밀리아누스는 여섯 명의 동료와 함께
신학원장 신부의 허락하에
'원죄 없으신 성모의 기사회'(Militia Immaculatae)라는 모임을 결성하였다(1917년 10월 16일).
이 모임은 원죄 없으신 성모 마리아에게 자신을 철저히 봉헌하고,
세계의 복음화를 위해서 활동하는 일종의 신심 단체이다.
1914년 11월 1일에 종신 서약을 한 그는 1918년 4월 28일 사제품을 받고
1919년에는 폴란드로 돌아왔다.
귀국 직후 크라쿠프(Krakow)의 프란치스코회 신학교에서
교회사를 가르치기 시작하였으며,
동료 수사들은 물론 대학생들과 군종신부들 안에서 기사회 조직을 만들었다.
1922년부터 "원죄 없으신 성모의 기사"(Rycerz Niepokalanje)라는 잡지를 발행함으로써
매스 미디어를 통한 사도직을 시작하였다.
이 잡지는 초기에 그로드노(Grodno)에서 발행되다가, 1927년에는
'원죄 없으신 성모의 마을'(Miepokalanow)이라는 수도생활 공동체에서 발행하였다.
이 마을은 성 콜베 신부가
바르샤바(Warszawa)에서 40km 떨어진 방대한 지역에 설립한 공동체이다.







그리고 1930년에는 일본 나가사키에도 이와 비슷한 형태의 수도원을 세웠다.
그 후 중국, 한국, 인도에도 공동체를 세우려고 했으나
외부적인 이유로 실현되지 못하였다.
폴란드 내에서 유명해진 성 콜베 신부는 1939년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했을 때
동료 수도자들과 함께 나치에게 체포되어 수용소에 갇혔다가 곧 풀려났다.
이후 그는 가난한 이들과 박해받는 유대인들을
'원죄 없으신 성모의 마을'에 거주토록 하면서,
이들을 보호하고 돕기 위해 노력하였다.
1941년 그가 "자유"라는 기고문을 발표하자, 나치는 유대인들을 도왔다는 이유로
2월 17일 그를 체포하여 바르샤바의 파비악 형무소에 감금했다가
2월 28일 '죽음의 수용소'라고 불리는 아우슈비츠로 옮겨졌다.
이곳에서 그는
저명한 가톨릭 신부라는 이유로 더욱 혹독한 매질과 고문과 처벌을 맏으면서도,
동료 수감자들에게 원수를 사랑하라고 끊임없이 격려하였다.
그러던 중 1941년 7월 말경, 한 수감자가 수용소를 탈출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나치는 한 명이 탈출하면 그 별로 열 명을 처형하였다.
나치에 의해 지목된 열 명의 처형자 중 한 폴란드 사람이
자기에게는 가족과 아이들이 있다고 울부짖자
이를 본 성 콜베 신부는 자원하여 대신 죽겠다고 앞으로 걸어 나갔다.
결국 성 콜베 신부는 다른 아홉 명과 함께 지하 감옥에 갇혀 아사형을 받았다.
다른 동료들이 모두 죽을 때까지 2주 이상을 물과 음식 없이 생존한 그에게
나치는 결국 독극물을 주사하였고,
그는 1941년 8월 14일 아우슈비츠의 감방에서 세상을 떠났다.
오늘날 성 콜베 신부가 죽음을 맞이한 감방은 많은 순례자들이 찾는 장소가 되었다. 1948년 그에 대한 시복 절차가 시작되어 마침내
1971년 10월 17일 교황 바오로 6세(Paulus VI)에 의해 시복되었고,
1982년 10월 10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
'자비의 순교자'(Martyr of Charity)라는 칭호와 함께 그를 시성하였다.
성 막시밀리아노 콜베 신부는 성모 마리아에 대한 신심이 가장 깊었고,
또 성모 마리아에게 매우 특별한 공경을 바친 성인으로 알려져 있다.

* 가톨릭 굿뉴스에서 발췌

 

 




폴란드의 프란치스코회 수도사제로서
활동적이고 지성적이던 젊은 날
사제들을 모아 '원죄없으신 성모의 기사회'를 조직하였고

나치스의 광란에 온 몸으로 부딪쳐
아우슈비츠에서 한 유대인 가정을 위해 자신의 생명을 바친
사제 성 막시밀리안 콜베 님이시여

님을 기억하는 오늘
이웃 사랑을 실천하는 모든이들에게
천상의 축복을 보내주옵소서!...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