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폭력과 죽음의 문화 앞에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작성자양승국 쪽지 캡슐 작성일2013-09-16 조회수455 추천수10 반대(0) 신고

 

폭력과 죽음의 문화 앞에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젊은 사제 시절 소위 문제아들과 매일 만나면서 정말 가슴 아팠던 기억 하나가 있습니다. 살벌한 경쟁체제에서 뒤처져버린 우리 아이들이, 그 상처와 수치, 좌절감을 잊기 위해 본드와 가스를 흡입하던 일이었습니다. 아무리 폐해의 심각성을 강조해도 그때뿐이었습니다. 또 다시 본드와 가스에 취해 흐느적거리다가 잡혀오곤 했습니다.

그때 참으로 고민 많이 했습니다. 이럴 때 범국민적인 운동이 필요하구나, 이럴 때 누군가가 깃발을 드는 것이 필요하구나, 생각도 많았습니다. 법 검토하고 제정하는 국회의원들 이럴 때 뭐하나? 매일 수많은 우리 아이들 영혼이 녹아내리는데...본드나 가스 유통과정에서 술이나 담배 규제하듯이 강력한 규정을 만들어야 되지 않을까?

최근에 또 한 가지 든 안타까운 생각이 있었습니다. 이종 격투기라고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종(異種), 그러니 서로 다른 유형의 격투기 고수들이 한판 붙는 것입니다. 물론 나름 룰이 있고 심판도 있고, 애써 찾아보자면 그 안에 스포츠맨십도 있을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복싱이나 축구와 다를 게 뭐있느냐고 반문합니다.

그러나 경기를 보고 있노라면 해도 해도 너무 합니다. 거의 맨주먹 맨 몸으로 도망갈 곳도 없는 폐쇄된 울타리 안에서 그야말로 한판 맞장을 뜨는 것입니다. 맨 주먹으로 얼굴을 마구 가격하다보니 선혈이 낭자합니다. 어떤 때 상대방을 바닥에 눕혀놓고 위에 올라탄 사람이 있는 힘을 다해 상대방을 가격합니다. 그 과정에서 실신하는 선수, 뼈나 관절이 나간 선수도 발생하고, 경기가 끝나면 패자는 곧바로 수술실로 실려 갑니다. 승자는 짐승처럼 포효합니다. 링 바깥에 관전하고 있는 사람들은 환호성을 올립니다.

물론 이런 폭력적인 경기로 인해 관중들이 대리 만족을 느끼며, 그로 인해 인간 각자 안에 들어있는 원초적 본능인 폭력성이 어느 정도 해소된다는 논리를 펼치기도 합니다.

그러나 신앙인의 눈으로 바라볼 때 이건 아니다, 하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었습니다. 특히 우리 청소년들이 이런 경기를 관전하고 또 매료되면서 야기될 악영향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다행히 한 용기 있는 국회의원의 문제 제기에 따라 공중파 방송에서는 이종 격투기 프로그램 방영이 금지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다양한 채널을 통해 많은 우리 청소년들이 이종격투기에 빠져들고 있는 현실입니다.

우리 그리스도교는 인간 내부에 잠재되어 있는 분노나, 상처 그로 인한 폭력성, 공격성들이 긍정적으로 분출되기를 기대합니다. 폭력이나 분쟁을 피하고 대화와 평화를 추구합니다. 메시아로 이 땅에 오신 예수님께서도 폭력과 전쟁이 아니라 희생과 용서, 자기 낮춤을 선택하셨습니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언제나 경계해야 하는 것이 바로 폭력성의 대중화입니다. 독재자들이 심취하고 열광했으며 백성들을 회유하기 위해 자주 이용했던 도구가 이런 종류의 스포츠였기 때문입니다. 폭력은 또 다른 폭력을 낳습니다. 작은 폭력은 큰 싸움으로 번지고 결국 국가 간의 전쟁으로 까지 확대됩니다. 결국 폭력의 끝에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죽음입니다.

오늘 이 시대 우리는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폭력의 문화, 죽음의 문화에 심하게 노출되어 있습니다. 너무나도 쉽게 탈법과 주먹을 선택합니다. 그 끝은 죽음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철저하게도 폭력이나 죽음의 문화를 배척하셨습니다. 나인 과부의 아들이 때 아닌 죽음을 맞이했을 때, 그로 인해 과부마저 죽게 되었을 때, 그 아들을 죽음에서 되돌려주십니다. 이렇게 예수님께서는 비정상적인 죽음을 거부하시고, 그리고 자신의 부활로 죽음을 이기고 극복하셨습니다.

오늘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폭력이나 죽음의 문화는 어떤 것입니까? 우리 안에 잠재되어 있는 폭력성은 운동선수들의 폭력적인 경기를 통해 절대로 완화되지 않습니다. 오히려 폭력은 더 큰 폭력을 가져옵니다.

반 복음적인 것에 대해, 반 하느님 적인 것에, 결국 폭력과 죽음의 문화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그에 대응하는 노력은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어진 과제요 의무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영성생활은 극적인 긴장과 흥분 속에서만 경험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오히려 비폭력 속에서, 고요와 평화 속에서도 보다 깊이 하느님을 만날 수 있습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