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9월30일(월) 聖 예로니모 님♥
작성자정유경 쪽지 캡슐 작성일2013-09-29 조회수460 추천수0 반대(0) 신고

 


 
9월30일(월) 음8/26
聖 예 로 니 모

 


 

예로니모(9.30)

성인명 예로니모(Jerome)
축일 9월 30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신부, 교회학자, 성서학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347-419년
같은이름 예로니무스, 제롬, 히에로니모, 히에로니무스


 

성 예로니모(Hieronymus)의 환시

 


 

 

 


달마티아(Dalmatia)의 아퀼레이아(Aquileia) 근처 스트리도니아(Stridonia)의 부유한 가정에서 출생한 성 히에로니무스 소프로니우스(Hieronymus Sophronius, 또는 예로니모)
12세 때 로마(Roma)에서 당시의 저명한 문법학자인

도나투스(Aelius Donatus)의 문하생으로 수사학과 라틴어 문학을 공부하였다.
사학과 라틴어 문학을 공부하였다.
그는 라틴어와 그리스어 지식은 물론 고대 학자들에 대한 뛰어난 지식과 연구 업적으로 명성을 날리다가 19세 때 교황 리베리우스(Liberius)로부터 세례를 받았다.

그는 프랑스 지방을 여행하다가 트리어(Trier)에 정착하여 정부 관리로 일하였는데,이때 수도생활에 관심을 갖고 하느님께 자신을 봉헌하였다.
그는 370년경 고향인 아퀼레이아로 돌아와 발레리아누스 주교의 지도하에
같은 뜻을 갖고 있던 몇몇 친구들과 함께 복음적 공동생활을 시작하였다.
373년에 예루살렘을 순례한 후 안티오키아(Antiochia)에 머물면서
라오디케아(Laodicea)의 아폴리나리우스(Apollinarius) 주교로부터
성서 주석 방법과 그리스어를 공부하였으며 그리스도의 환시를 보기도 했다.

그 후 칼치스 사막에서 375-377년까지 은수생활을 하면서 그리스어를 익히고
어느 랍비로부터 히브리어를 새로 배웠으며,
사막의 은수자인 테베(Thebae, 나일 강 중류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 신왕국시대의 수도로
오늘날의 룩소르 Luxor)
의 "성 바오로(Paulus) 전기"를 썼다.
그런데 은수자들 사이에 아리우스(Arius) 이단 문제로 대립하자
그곳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
379년 안티오키아로 갔을 때 일정한 사목직을 맡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바울리누스(Paulinus) 주교로부터 사제품을 받았다.
380년에는 콘스탄티노플에서 그곳의 총대주교인 나지안주스(Nazianzus)
성 그레고리우스(Gregorius, 1월 2일)의 강의를 듣고
오리게네스(Origenes)의 성서 주석 방법에 매료되었으며,
니사(Nyssa)의 그레고리우스(3월 9일) 주교와 교류를 가졌다.
이때부터 그는 오리게네스의 수많은 저서들을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번역하기 시작하였다.

성 히에로니무스는 382년에 로마로 왔는데,
교황 성 다마수스 1세(Damasus I, 12월 11일)는 그를 비서로 임명하고
신구약성서 모두를 라틴어로 새로이 번역하는 대업을 맡겼다.
서방 교회에서 이미 여러 개의 라틴어 성서 번역본이 있었지만,
교황은 히에로니무스에게
교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라틴어 성서본을 만들도록 위촉한 것이다.
그 당시 그는 헬비디우스(Helvidius)의 이론을 반박하는
“헬비디우스 논박, 복되신 마리아의 영원한 동정성에 대하여” (383년)라는
글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이는 헬비디우스가 마리아는 예수 외에도 여러 명의 자녀를 두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었다.
한편 성 히에로니무스는
성녀 마르첼라(Marcella, 1월 31일)와 성녀 바울라(Paula, 1월 26일) 등이 주축인
상류층의 미망인들에게 성서를 가르치고
수도생활의 이상에 대한 열정을 고취시켰다.
그런데 그의 후원자이던 다마수스 교황이 서거하자
그의 재능을 시기한 일부 적대자들이
여자들의 집에 들락거리는 히에로니무스를 의심하고 비난하였고,
이로 인해 그는 로마를 떠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그는 안티오키아로 가서 성녀 바울라와
그녀의 둘째 딸인 성녀 에우스토키움(Eustochium, 9월 28일)
일단의 로마 그룹과 합류하여 이집트로 갔다가,
386년 여름부터 베들레헴에 정착하여 본격적으로 수도생활을 시작하였다.



 

그러자 귀족 부인 성녀 바울라가 따라와서 자신의 돈으로

세 개의 남자 수도원과 한 개의 여자 수도원을 세우는 데

경제적 뒷받침을 하였다.

그리고 성녀 바울라는 여자 수도원의 원장을,

성 히에로니무스는 남자 수도원의 원장을 맡았다.

성 히에로니무스는 순례자들을 위한 숙소를 짓고

수도자들을 위한 학교를 세워 직접 강의를 맡았다.

그 후 베들레헴 수도원에서 34년 동안 성서 번역 활동에

몰두하면서 당시 몇몇 이단적인 가르침에 대한

반박글을 발표하였다.

예를 들어 요비아누스(Jovianus)의

성모 마리아의 동정성 부인과 사제의 독신 그리고

성인들의 유해 공경 반대에 대해서 명확한 근거로 반박하였다.

그러나 성 히에로니무스의 가장 큰 논쟁은

자신의 옛 친구이자 오리게네스의 지지자이며

성서 번역에도 공이 있던 루피누스(Rufinus)와의 사건이었다.

그는 오리게네스주의 논쟁과 관련하여

루피누스를 반박하는 호교론을 썼다.

성 히에로니무스의 가장 큰 업적은 391년부터

406년까지 계속된 성서의 라틴어 번역이었다.

391년부터 신약성서를 그리스어에서 라틴어로 직접 번역하고,

구약성서의 경우에는 히브리어 원문에서 라틴어로

직접 번역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70인역"(Septuaginta)을 배척하는 유대인 랍비들과 토론을 벌이면서

새로이 번역하였다.

 

406년까지 계속된 이 엄청난 작업으로 번역된 라틴어 성서에

'불가타'(Vulgata, 대중적이라는 뜻)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은

성 히에로니무스 당시가 아니라 13세기 때였다.

그 이유는 히에로니무스의 라틴어 성서본이

원문에 매우 충실하고 정확한 번역일 뿐만 아니라

대중이 쉽게 읽을 수 있는 라틴어로 되어 있었으므로

로마 교회가 트렌토(Trento) 공의회에서

이를 공식적인 성서로 인정하였기 때문이다.

  

* 가톨릭 굿뉴스에서 발췌

 




 

성서 번역으로

'불가타'(Vulgata, =대중적)판을 남기신 님

신학교와 수덕생활의 수호자이신

성 예로니모 님이시여

 

현세의 수도 성직자들을 위하여

천상의 축복을 보내주옵소서!...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