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깨어있음’ 예찬 - 2013.10.22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이수철 프란치스코 성 요셉 수도원 원장신부님
작성자김명준 쪽지 캡슐 작성일2013-10-22 조회수447 추천수4 반대(0) 신고

2013.10.22 연중 제29주간 화요일, 로마5,12.15ㄴ.17-19.20ㄴ-21 루카12,35-38

.

‘깨어있음’ 예찬

.

매일매일 온 누리를 환히 밝히며 새롭게 떠오르는 태양이 놀라운 기적입니다.

매일매일 새롭게 떠오르는 태양처럼 사는 이들이 깨어있는 사람들입니다.

주변을 환히 밝히는 깨어있는 사람들입니다.

.

아침성무일도 시 로마서 독서입니다.

“여러분이 잠에서 깨어나야 할 때가 왔습니다.

밤이 거의 새어 낮이 가까웠습니다.

그러니 어둠의 행실을 벗어버리고 빛의 갑옷을 입읍시다.

언제나 대낮으로 생각하고 단정하게 살아갑시다.”(로마13,11ㄴ.12.13ㄴ).

.

성 아오스팅을 회심으로 이끈 구절입니다.

과연 지금 여기 깨어 사는 영혼들은 얼마나 될까요?

많이 살고 적게 살고가 아니라 깨어 사느냐가 문제입니다.

.

어있을 때 아름답습니다.

깨어있을 때 자유롭습니다.

진정 깨어 있을 때 살아있다 할 수 있습니다.

.

전 번 주일 인용했던 시를 다시 나눕니다.

계속 피고 지는 수도원 안뜰의 노란 작은 국화꽃들이 별 같습니다.

.

-땅위/무수히 떠오른/노란 작은 들국화 꽃무리들

아/꽃이 별이다/땅이 하늘이다

땅에서도/하늘로/하늘의 별로 살 수 있겠다.-

.

미사 중 형제자매들의 환히 빛나는 얼굴들이 순간 사랑의 꽃, 사랑의 별로 보였습니다.

깨어있을 때 누구나 환히 빛나는 사랑의 꽃, 사랑의 별이 됨을 깨닫습니다.

.

오늘은 ‘깨어있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묵상입니다.

.

첫째, 깨어있음은 침묵입니다.

.

활짝 열려있는 빛나는 침묵이 깨어있음입니다.

이런 깨어있는 침묵은 그대로 기도입니다.

안팎으로 시끄러우면 주님이 얼마나 좋은지 맛보고 깨달을 수 없습니다.

있는 그대로의 실재를 체험하지 못합니다.

깨어있어야 주님의 현존을 체험합니다.

주님의 말씀을 들을 수 있고 주님의 향기를 맡을 수 있습니다.

.

둘째, 깨어있음은 기다림입니다.

.

기다림의 대상이 깨어있게 하는 동력입니다.

깨어 준비하며 주님을 기다릴 때 제대로 항구히 깨어있을 수 있습니다.

새벽을 기다리는 파수꾼보다 주님을 기다리는 깨어있는 영혼들입니다.

.

“너희는 허리에 띠를 매고 등불을 켜놓고 있어라.

혼인 잔치에서 돌아오는 주인이 도착하여 문을 두드리면

곧바로 열어 주려고 기다리는 사람처럼 되어라.”

.

이렇게 깨어 주님을 기다리는 것입니다.

.

“행복하여라, 주인이 와서 볼 때에 깨어 있는 종들!”

.

언제 주님이 도래하실지 모르니

늘 영혼의 등불 환히 켜놓고 깨어 기다리는 사람들이 진정 행복한 사람입니다.

깨어 기다리다가 주님을 맞이하는 이 거룩한 미사시간이요,

주님은 우리 곁에 오셔서 말씀과 성체를 대접하며 시중들 드십니다.

.

셋째, 깨어있음은 깨끗함입니다.

.

깨어있어 집중되어 있을 때

주변에 환히 열려 있을 때 깨끗하고 진실하고 단순한 마음입니다.

깨어있는 영혼들에겐 어둠이나 더러움이 없기에 순수함으로 환히 빛납니다.

.

“행복하여라. 마음이 깨끗한 사람들, 그들은 하느님을 볼 것이다.”

.

사랑으로 깨어 있을 때 깨끗한 마음이요

이런 마음 깨끗한 관상가들이 하느님을 봅니다.

하느님을 체험할 때 더욱 깨어있게 되고 깨끗한 마음이 됩니다.

깨어있음과 마음 깨끗함은 함께 갑니다.

.

넷째, 깨어있음은 깨달음입니다.

.

깨어있을 때 깨달음의 은총입니다.

마음의 눈이 열려 현존하시는 하느님을 봅니다.

하느님의 선물로 가득한 세상을 봄으로 저절로 찬미와 감사의 응답을 드립니다.

죄가 많아진 세상에 은총이 충만히 내렸음을 봅니다.

.

1독서 로마서의 사도 바오로는 진정 깨달음의 사람입니다.

믿음의 눈이 활짝 열려 은총과 의로움의 선물을 충만히 받은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 한 분을 통하여 풍성한 생명을 누리고 있음을 알려줍니다.

바로 이게 깨달음의 축복입니다.

얼마나 풍성한 생명을 누리고 있는지 깨닫게 해주는 깨어있음의 은총입니다.

역시 깨어있음과 깨달음은 함께 갑니다.

.

다섯째, 깨어있음은 훈련입니다.

.

영성생활의 궁극 목표는 깨어있음입니다.

종파를 초월하여 모든 영성가들이 일치하는 목표입니다.

.

하여 우리의 모든 수행도 깨어있음을 목표로 합니다.

늘 깨어 살기 위한 항구한 영성훈련이 절대적입니다.

우리가 항구히 규칙적으로 평생 매일 끊임없이 죽을 때까지 바치는

성무일도와 미사 역시 깨어있음의 훈련입니다.

사실 깨어있음에 찬미와 감사의 공동전례기도보다 더 좋은 훈련은 없습니다.

.

끊임없이 바치는 기도나 다양한 묵상 방법 역시 모두 깨어있음을 목표로 합니다.

이래야 비로소 성령에 따른 영적 삶입니다.

이런 영성훈련을 소홀히 할 때 마음은 무디어지고 영혼의 빛은 점차 어두워집니다.

영혼은 사라지고 육신만, 육적 삶만 남게 됩니다.

.

주님은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깨어 기다리다가 당신을 찬미로 맞이하는 우리 모두에게 풍성한 축복을 내려주십니다.

.

“내 영혼아, 주님을 찬미하여라.

내 안의 모든 것도 거룩하신 그 이름 찬미하여라.”(시편103,1).

.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