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말씀의초대 2014년 7월22일 [(백)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기념일]
작성자김중애 쪽지 캡슐 작성일2014-07-22 조회수760 추천수1 반대(0) 신고

 

2014년 7월22일

 

[(백)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기념일]

 

복음서의 여러 군데에 나오는

 마리아 막달레나 성녀는

 “일곱 마귀가 떨어져 나간 막달레나라고 하는

 마리아”(루카 8,2)로 소개되어 있다.

그녀는 예수님께서 돌아가시는

십자가 밑에(마태 27,56 참조),

예수님의 무덤 곁에 있었던

 여인이다(마태 27,61 참조).

 또한 마리아 막달레나는

 부활하신 예수님을 본

 첫 번째 사람으로(요한 20,11-16 참조),

예수님의 부활 소식을 제자들에게 가장

먼저 알려 주었다(요한 20,18 참조).

예수님의 무덤을 찾아가 시신이나마

모셔 가려 했던(요한 20,15 참조)

그녀에게서 주님에 대한

 극진한 사랑을 엿볼 수 있다.

마리아 막달레나 성녀에 대한 공경은

 12세기부터 시작되어 널리 퍼졌다.

 

말씀의초대

젊은 여인은 사랑하는 이를 찾는

 애절한 마음을 시적으로 노래한다.

 성읍을 돌아다니며 야경꾼의 눈에 뜨일

위험을 무릅쓰고 밤에 사랑하는 이를 찾아

 헤매던 그녀는 마침내 그를 만나 붙잡고

 놓지 않는다(제1독서).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마리아

막달레나에게 나타나셨으나

그녀는 주님을 미처 알아보지 못하였다.

그러나 주님께서 그녀의 이름을 부르시자

 비로소 그분을 알아 뵙고 응답한다.

 주님께서는 이제 당신은 아버지께로

 올라가시리라고 말씀하신다.

그녀는 제자들에게 가서

예수님의 이 말씀을 전한다.

 

◎제1독

< 내가 사랑하는 이를 찾았네.>
▥ 아가의 말씀입니다. 3,1-4ㄴ<또는 2코린 5,14-17>
신부가 이렇게 말한다.

1 “나는 잠자리에서 밤새도록,

내가 사랑하는 이를 찾아다녔네.

그이를 찾으려 하였건만 찾아내지 못하였다네.

 

2 ‘나 일어나

성읍을 돌아다니리라.

거리와 광장마다 돌아다니며,

 내가 사랑하는 이를 찾으리라.’

그이를 찾으려 하였건만

찾아내지 못하였다네.


3 성읍을 돌아다니는

 야경꾼들이 나를 보았네.

‘내가 사랑하는 이를 보셨나요?’

 

 4 그들을 지나치자마자 나는,

내가 사랑하는 이를 찾았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

시편 63(62),2.3-4.5-6.8-9(◎ 2ㄷ 참조)
◎ 주님, 저의 하느님, 제 영혼 당신을 목말라하나이다.
○ 하느님, 당신은 저의 하느님,
저는 새벽부터 당신을 찾나이다.

 제 영혼 당신을 목말라하나이다.

물기 없이 마르고 메마른 땅에서,

이 몸은 당신을 애타게 그리나이다.

◎ 주님, 저의 하느님, 제 영혼 당신을 목말라하나이다.



○ 당신의 권능과 영광을 보려고,

 성소에서 당신을 바라보나이다.

 당신 자애가 생명보다 낫기에,

제 입술이 당신을 찬미하나이다.

◎ 주님, 저의 하느님, 제 영혼 당신을 목말라하나이다.



○ 이렇듯 제 한평생 당신을 찬미하고,

당신 이름 부르며 두 손 높이 올리오리다.

 제 영혼이 기름진 음식으로 배불러,

제 입술이 환호하며 당신을 찬양하나이다.
◎ 주님, 저의 하느님, 제 영혼 당신을 목말라하나이다.


○ 정녕 당신은 저를 도우셨으니,

당신 날개 그늘에서 환호하나이다.

제 영혼 당신께 매달리오면,

당신 오른손이 저를 붙드나이다.

◎ 주님, 저의 하느님, 제 영혼 당신을 목말라하나이다.

 

◎복음환호송

◎ 알렐루야.
○ 말하여라, 마리아,

길에서 무엇을 보았느냐?

 살아나신 그리스도의 무덤,

부활하신 그분 영광 나는 보았네.
◎ 알렐루야.

 

 

◎복음

< 여인아, 왜 우느냐? 누구를 찾느냐?>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20,1-2.11-18

1 주간 첫날 이른 아침,

아직도 어두울 때에 마리아 막달레나가

무덤에 가서 보니,

 무덤을 막았던 돌이 치워져 있었다.

 

 2 그래서 그 여자는 시몬 베드로와

예수님께서 사랑하신

다른 제자에게 달려가서 말하였다.

“누가 주님을 무덤에서 꺼내 갔습니다.

 어디에 모셨는지 모르겠습니다.”


11 마리아는 무덤 밖에 서서 울고 있었다.

그렇게 울면서 무덤 쪽으로 몸을 굽혀

 

12 들여다보니 하얀 옷을 입은

 두 천사가 앉아 있었다.

한 천사는 예수님의 시신이 놓였던 자리 머리맡에,

다른 천사는 발치에 있었다.

13 그들이 마리아에게

 “여인아, 왜 우느냐?” 하고 묻자,

 마리아가 그들에게 대답하였다.
“누가 저의 주님을 꺼내 갔습니다.

 어디에 모셨는지 모르겠습니다.”


14 이렇게 말하고 나서

뒤로 돌아선 마리아는

 예수님께서 서 계신 것을 보았다.

그러나 예수님이신 줄은 몰랐다.


15 예수님께서 마리아에게

 “여인아, 왜 우느냐? 누구를 찾느냐?”

하고 물으셨다.

마리아는 그분을 정원지기로 생각하고,

 “선생님, 선생님께서 그분을 옮겨 가셨으면

어디에 모셨는지 저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제가 모셔 가겠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16 예수님께서 “마리아야!” 하고 부르셨다.

마리아는 돌아서서 히브리 말로 “라뿌니!”

하고 불렀다. 이는 ‘스승님!’이라는 뜻이다.


17 예수님께서 마리아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아직 아버지께 올라가지 않았으니

나를 더 이상 붙들지 마라.

내 형제들에게 가서,

‘나는 내 아버지시며 너희의 아버지신 분,

 내 하느님이시며 너희의 하느님이신 분께

 올라간다.’ 하고 전하여라.”


18 마리아 막달레나는 제자들에게 가서

 “제가 주님을 뵈었습니다.” 하면서,

 예수님께서 자기에게 하신 이 말씀을 전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묵상 

‘뜨거운 사랑’이 신앙생활에서 뭐 그리

 중요하겠는가 싶을 때면 이 여인,

 곧 마리아 막달레나가 생각납니다.

 토마스 아퀴나스 성인은 ‘믿음은

사랑을 통해서만 그 형상을 얻는다.’는

신학 명제를 완성했습니다만,

마리아 막달레나는 사랑만이 죽음마저 이기는

 믿음에 이르게 해 준다는 것을

 보여 준 생생한 증인입니다.
오늘 제1독서의 말씀은

마리아 막달레나 성녀의 위대함이란

사랑하는 이를 위험 앞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찾으려는 뜨거운 사랑의

힘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합니다.

그녀가 사랑한 이는 ‘아무’가 아니라

바로 한 분 ‘주님’이었습니다.

이 사랑은 결코 감상적이거나

유약한 사랑이 아니었습니다.

희망이 없어 보이는 곳에서도

 그 끈을 놓지 않고,

 길을 찾지 못하였더라도 더듬어

 끝끝내 찾으려는 사랑이었습니다.

그 사랑은 점점 자라나고

강해지는 사랑이었습니다.
어느덧 마리아 안에는

 ‘약함의 힘’이 자라나 있었습니다.

 아가의 주인공인,

사랑에 눈떠 사랑이 죽음만큼

강하다는 것을 온몸으로 깨달은

 젊은 여인처럼 마리아 막달레나는

 무덤가에서 눈물을 흘릴지언정

 절망하지 않는 사랑을 알고 있었습니다.

 밀라노 대교구장이었던 마르티니 추기경은

 아가의 주제를 이렇게 잘 요약하고 있습니다.
“아가는 지칠 줄 모르고 사랑을 찾습니다.

연인의 얼굴을, 그의 현존을,

 그 현존의 기쁨을 찾습니다.

아가에서, 우리가 찾는 분이

 현존하시고 우리를 사랑하시며,

우리가 그분을 발견하게 되리라는

 흔들림 없는 희망에 기초한

‘추구’라는 주제를 보게 됩니다.

그 추구에서 생겨나는 ‘기다림’이라는

주제도 보게 됩니다.”
이것은 마리아 막달레나의 마음이기도 합니다.

그녀는 십자가와 돌무덤 앞에서 사랑하는 주님을

 어떻게 다시 만날지 그 길을 잃었습니다.

그러나 사랑은 한 번도 놓지 않았습니다.

그 고통, 초조함, 기다림, 슬픔의

 시간 동안 주님께서는 그녀의 사랑을

더욱 강하게 하셨습니다.

그리고 그녀의 사랑이 얼마나

 순수하게 단련되었는지를,

부활하신 주님께서 그녀를 당신 부활의

첫 증인으로 파견하시는 데서 봅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