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말씀의초대 2014년 9월 27일 토요일 [(백) 성 빈첸시오 드 폴 사제 기념일]
작성자김중애 쪽지 캡슐 작성일2014-09-27 조회수551 추천수0 반대(0) 신고

 

 2014년 9월 27일 토요일

 

[(백) 성 빈첸시오 드 폴 사제 기념일]

 

빈첸시오 드 폴 성인은 1581년 프랑스에서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프란치스코 수도원의 도움으로 공부한 그는

 사제가 되어 파리에서 본당 사목자로 활동하였다.

 빈첸시오 신부는 한때 여행 도중 해적에게 잡혀

 노예 생활까지 하였다.

이 일로 말미암아 그는 고아와 소외되고

 가난한 이들을 돕는 데 일생을 바칠 것을

 결심하고 자선 사업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1660년에 선종한 그를 1737년

 클레멘스 12세 교황이 시성하였고,

1885년 레오 13세 교황은

모든 자선 단체와 병원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였다.
성 빈첸시오 드 폴 사제의 정신과

 활동을 계승하려는 평신도 사도직 단체인

 ‘빈첸시오 아 바오로회’가 1833년 파리에서

 설립되어 현재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 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말씀의초대

젊은이는 젊은 시절에 즐기고,

자신의 마음이 이끄는 곳으로

향하되 창조주를 기억하라.

나이 들면 먼지가 흙으로 되돌아가듯

목숨은 그것을 주신 하느님께로

되돌아간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두 번째로

당신의 수난과 부활을 예고하신다.

이 말씀을 알아듣지 못한 제자들은

이에 대해 묻는 것조차 두려워한다.

 

◎제1독서

< 먼지가 흙으로 되돌아가고 목숨이 하느님께 되돌아가기 전에,

젊음의 날에 창조주를 기억하여라.>
▥ 코헬렛의 말씀입니다. 11,9ㅡ12,8

9 젊은이야,

네 젊은 시절에 즐기고,

젊음의 날에 네 마음이 너를

 기쁘게 하도록 하여라.

그리고 네 마음이 원하는 길을 걷고,

 네 눈이 이끄는 대로 가거라.

다만 이 모든 것에 대하여 하느님께서

너를 심판으로 부르심을 알아라.

 

10 네 마음에서 근심을 떨쳐 버리고,

네 몸에서 고통을 흘려 버려라.

젊음도 청춘도 허무일 뿐이다.


12,1 젊음의 날에

너의 창조주를 기억하여라,

불행의 날들이 닥치기 전에.

“이런 시절은 내 마음에 들지 않아.”

하고 네가 말할 때가 오기 전에.

2 해와 빛, 달과 별들이 어두워지고,

비 온 뒤 구름이 다시 몰려오기 전에

그분을 기억하여라.


3 그때 집을 지키는 자들은

흐느적거리고,

 힘센 사내들은 등이 굽는다.

 맷돌 가는 여종들은

수가 줄어 손을 놓고,

 창문으로 내다보던

 여인들은 생기를 잃는다.

 

 4 길로 난 맞미닫이문은 닫히고,

맷돌 소리는 줄어든다.

새들이 지저귀는 시간에 일어나지만,

노랫소리는 모두 희미해진다.


5 오르막을 두려워하게 되고,

길에서도 무서움이 앞선다.

편도나무는 꽃이 한창이고,

 메뚜기는 살이 오르며,

참양각초는 싹을 터뜨리는데,

인간은 자기의 영원한 집으로 가야만 하고,

거리에는 조객들이 돌아다닌다.


6 은사슬이 끊어지고,

금 그릇이 깨어지며,

 샘에서 물동이가 부서지고,

우물에서 도르래가 깨어지기 전에

너의 창조주를 기억하여라.

 

 7 먼지는 전에 있던

흙으로 되돌아가고,

목숨은 그것을 주신

하느님께로 되돌아간다.


8 허무로다,

 허무! 코헬렛이 말한다.

모든 것이 허무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

시편 90(89),3-4.5-6.12-13.14와 17(◎ 1)
◎ 주님, 당신은 대대로 저희 안식처가 되셨나이다.
○ 인간을 먼지로 돌아가게 하시며 당신은 말씀하시나이다.

“사람들아, 돌아가라.” 천 년도 당신 눈에는 지나간 어제 같고,

한 토막 밤과도 같사옵니다.

◎ 주님, 당신은 대대로 저희 안식처가 되셨나이다.



○ 당신이 그들을 쓸어 내시니,

그들은 아침에 든 선잠 같고,

사라져 가는 풀과 같사옵니다.

 아침에 돋아나 푸르렀다가,

저녁에 시들어 말라 버리나이다.

◎ 주님, 당신은 대대로 저희 안식처가 되셨나이다.



○ 저희 날수를 헤아리도록 가르치소서.

저희 마음이 슬기를 얻으리이다.

 돌아오소서, 주님, 언제까지리이까?

당신 종들에게 자비를 베푸소서.

◎ 주님, 당신은 대대로 저희 안식처가 되셨나이다.



○ 아침에 당신 자애로 저희를 채워 주소서.

저희는 날마다 기뻐하고 즐거워하리이다.

주 하느님의 어지심을 저희 위에 내리소서.

저희 손이 하는 일에 힘을 주소서.

 저희 손이 하는 일에 힘을 실어 주소서.

◎ 주님, 당신은 대대로 저희 안식처가 되셨나이다.

 

◎복음환호송

2티모 1,10 참조
◎ 알렐루야.
○ 우리 구원자 그리스도 예수님은 죽음을 없애시고,

복음으로 생명을 환히 보여 주셨네.
◎ 알렐루야.

 

◎복음

< 사람의 아들은 넘겨질 것이다.

제자들은 그 말씀에 관하여 묻는 것도 두려워하였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9,43ㄴ-45

그때에

 

43 사람들이 다 예수님께서

하신 모든 일을 보고 놀라워하는데,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이르셨다.

 

44 “너희는

 이 말을 귀담아들어라.

사람의 아들은 사람들의

손에 넘겨질 것이다.”


45 그러나 제자들은

그 말씀을 알아듣지 못하였다.

그 뜻이 감추어져 있어서

이해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그들은 그 말씀에 관하여

 묻는 것도 두려워하였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묵상

오늘 제1독서의 「코헬렛」은 우리에게

 ‘젊음의 날’에 즐기라고 권고하며,

허무를 인간 조건으로 안고 사는 우리의 삶에서

 의미를 찾는 길은 오로지 자신에게 주어진 세월을

‘지금’ 즐기는 데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권고는 로마 시대의 시인 호라티우스의

시구에서 유래한 ‘카르페 디엠’

(Carpe diem!: 이날을 잡아라!)

이라는 격언을 떠오르게 합니다.

 그러나 이를 ‘쾌락주의’에 대한

권유로 이해해서는 안 됩니다.
이는 이어지는 두 가지 구체적인

권고를 들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네 마음이 원하는 길을 걷고,

네 눈이 이끄는 대로 가거라.”

하고 권유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심판자이시며

 창조주이신 하느님을

기억하라고 가르칩니다.

자신의 마음을 따르는 것과

하느님을 알고 기억하는 것은

서로 다르고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코헬렛」은 ‘젊음’이 상징하는

 ‘현재’에 하느님을 경외하며

그분 안에 온전히 머무는 것이

허무 속에서도 삶의 의미를 체험하는

진정한 ‘삶의 기예’라는 결론에

 도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현자에게 ‘현재’는 ‘하느님의 손에서’

 흘러나오는, ‘자기의 노고로 먹고 마시며

스스로 느끼는 행복’(코헬 2,24 참조)

이 충만한 상태를 뜻합니다.

그는 ‘현재’에 머물 수 있는 사람에게는

미래에 대한 근심과 고통의 두려움이

자연스럽게 사라질 것으로 여깁니다.

 우리는 「코헬렛」의 ‘행복의 철학’이

도달한 이러한 결론에 감탄하고

큰 위안을 얻기도 합니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의 답에는

여전히 허무의 그늘이 짙게 드리우고

있다는 사실을 그냥 보아 넘길 수 없습니다.

우리가 허무와 좌절을 넘어 근심과 고통에도

 굴하지 않고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은,

 지난 일에 대한 감사와 앞날에 대한

 희망 없이 그저 현재에 머무는

 것만으로는 불가능합니다.

우리가 행복하게 누리는 현재는

고립된 섬이 아니라,

사랑과 감사의 기억,

사랑 때문에 누군가에게 헌신하려는 결단,

나를 기다리는 이들에 대한 신뢰가

수렴되는 자리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