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2015년 2월 19일 재의 수요일 후 목요일 영적독서
작성자신승현 쪽지 캡슐 작성일2015-02-18 조회수919 추천수0 반대(0) 신고

 

 

2015년 2월 19일 재의 수요일 다음 목요일 영적독서

 

엘 그레코(El Greco, 1541-1614)의 겟세마니의 기도

(The Agony in the Garden, 1608) Oil on canvas, 170 x 112.5 cm


성 대 레오 교황의 강론에서 
(Sermo 6 de Quadragesima, 1-2: PL 54,285-287) 

  

단식과 자선을 통한 영적 강화
 

사랑하는 형제 여러분, "이 땅은 언제나 주님의 자비로 충만 되어 있습니다." 자연은 모든 신자에게 하느님을 예배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하늘과 땅, 바다와 그 안의 모든 것들은 그들의 창조주께서 지니신 선과 전능을 나타내 주고, 인간을 섬기는 자연의 모든 것들이 지니는 놀라운 아름다움은 지적 존재인 인간이 하느님께 감사를 드리라고 청합니다.

더구나 인류 구원을 위해 특별히 제정된 시기, 즉 부활 축제로 이끄는 시기가 다가옴에 따라 우리 마음의 준비와 정화가 더 시급히 요청됩니다. 실상 부활 축제의 특징적인 목적은 온 교회가, 즉 성세에서 새로 태어난 이들뿐만 아니라 그전부터 하느님 자녀의 무리에 속해 온 이들까지도 죄 사함을 얻는 데 있습니다.

사람들이 새 생명으로 태어나는 것은 특히 세례를 통해서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다 매일매일 죄스런 상태의 때를 씻어 버려야 하고 또 완덕의 길로 나아갈 때 더 좋은 상태로 올라가지 않아도 될 사람은 하나도 없기 때문에, 구원의 시기인 부활 축제에 도달할 때 아무도 이전의 죄스러운 상태에 남아 있지 않도록 우리 모두 이 시기에 노력해야 합니다.

사랑하는 형제들이여, 우리 모든 신자들이 늘 실천해야 하는 것을 이 시기에는 각자가 더욱 진지하게 또 더욱 경건하게 실천하도록 힘써야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사도들이 제정한 이 사순절을 단순히 음식을 절제하는 것으로써만 아니라, 우리의 악습을 금하는 것을 뜻하는 단식을 행함으로써 지내야 합니다. 거룩하고 합당한 단식과 가장 잘 어울리는 것으로서 애긍 시사 이상의 것이 없습니다. 애긍 시사라고 하는 자선 행위는 여러 가지 좋은 일을 함으로 실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소유하고 있는 재물로 보아 불균등한 신자들이 균등한 영적 지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우리 의무인 하느님과 사람들에 대한 사랑에는 우리가 하느님과 우리 형제들을 위해 좋은 일을 자유로이 하지 못하게 막는 장해물이 있을 수 없습니다. 천사들은 이렇게 노래했습니다. "하늘 높은 곳에는 하느님께 영광, 땅에서는 그가 사랑하시는 사람들에게 평화!" 이 말씀에 따라 불행 중 에 있는 이들에게 사랑을 베푸는 사람은 그 사랑의 힘으로 뿐만 아니라 거기에서 나오는 평화의 은혜로도 복된 사람입니다.

그래서 자선 행위를 여러 가지로 실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다양성으로 인해 모든 착한 신자들은, 즉 많은 재물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중간 계급에 속한 이들과 가난한 이들도 자선 행위를 할 수 있습니다. 애긍 시사를 할 능력에 있어서는 전적으로 균등하지는 않다 해도 사랑과 정신에 있어서는 균등한 수준을 이루어야 합니다.


2015년 2월 19일 재의 수요일 다음 목요일
독서기도 제2독서 발췌(성무일도 제2권 P 53-55)
 

 

 

성 대 레오 교황 학자 (축일 11월 10일)

 

성 대 레오 1세는 아마도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Toscana) 사람인 부모 밑에서 태어나 로마(Roma)에서 살았고, 교황 코일레스티누스 1세(Coelestinus I)와 식스투스 3세(Sixtus III) 밑에서 부제로 봉사하는 한편, 황제의 요청을 받아 에지오 장군과 알비누스 집정관 사이에 평화를 이룩하려고 노력하던 중 식스투스 3세를 계승하여 교황으로 선출되어 440년 9월 29일에 착좌하였다.

이때부터 그는 황제와 교회간의 알력을 비롯하여 마니교도, 펠라기우스주의, 프리실리아누스주의 그리고 네스토리우스주의에 강력히 대처하는 등 수많은 난관을 무난히 극복하였다. 448년 그는 콘스탄티노플에 있던 대수도원장인 에우티케스(Eutyches) 일파와 격돌하게 되었다. 에우티케스는 그리스도의 두 가지 본성(신성과 인성)을 부인하는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 플라비아누스(Flavianus)가 내정한 원장이었다.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의 지원을 받던 에우티케스는 더욱 극심한 혼란을 초래하였다. 451년 레오 교황은 칼케돈 공의회(Council of Chalcedon)를 소집하여 천주강생의 교리를 분명히 하는 서한을 보냈다.

그는 아프리카에도 선교사를 파견하는 등 교황으로서 놀라운 업적을 남겼다. 그는 교황권을 확립하는데 크게 기여하였고, 성좌의 권위는 하느님과 성서적인 명령이기 때문에 속권보다 우월하다는 신념을 굳게 확립한 위대한 교황이다. 한마디로 그의 재임 기간은 교황권 확립의 시기였다. 그는 1754년에 교황 베네딕투스 14세(Benedictus XIV)에 의해 교회학자로 선언되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