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 더 좋은 몫 -인영균 끌레멘스신부님(스페인 라바날 델 까미노 성 베네딕도회)
작성자이진영 쪽지 캡슐 작성일2016-07-17 조회수1,369 추천수1 반대(0) 신고

제1독서

<나리, 부디 이 종을 그냥 지나치지 마십시오.>
▥ 창세기의 말씀입니다. 18,1-10ㄴ


제2독서

<과거의 모든 시대에 감추어져 있던 신비가 이제는 성도들에게 명백히 드러났습니다.>
▥ 사도 바오로의 콜로새서 말씀입니다. 1,24-28


복음

<마르타는 예수님을 자기 집으로 모셔 들였다. 마리아는 좋은 몫을 선택하였다.>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0,38-42


 


 

연중 제16주일(2016년 07월 17일) 더 좋은 몫 - 스페인 ‘엘 간소 성당’과 ‘라바날 비에호 성당’에서 강론

오늘 우리는 예수님의 신성과 인성을 모두 봅니다. 그 가운데서도 먼저 우리처럼 인간적 예수님을 봅니다. 긴 여행에 지치신 예수님은 당신께서 매우 사랑하셨던 베타니아에 있는 마르타와 마리아 집에 손님으로 묵으십니다. 그렇지만 예수님의 인성 안에서 그분의 신성을 봐야 합니다.

주님은 이 기회를 이용하여 우리를 깨우쳐 주십니다. ‘무엇이 더 중요한지’, ‘무엇이 우리 전 생애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지 알려주십니다.

우리 주위를 한번 봅시다. 매일매일의 소음과 번잡함은 자주 하느님의 현존을 보지 못하게 합니다. 그래서 우리의 인간적이며 일상적인 삶 안에서 ‘하느님의 가치’를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느님의 가치는 우리 삶 안에서 늘 감춰 있습니다. 이 가치를 늘 찾아야 하고 발견해야 합니다. 이것이 우리의 ‘사명’이며 매일의 ‘성소’입니다. 그래서 매일의 우리 삶은 하느님의 신비를 찾고 만나는 ‘영적 순례’입니다.

마르타와 마리아는 오늘을 사는 우리를 위한 하나의 상징적 인물 혹은 모델입니다. 그러나 마르타와 마리아는 서로 분리된 인물이 아닙니다. 사실 우리 안에는 마르타의 모습과 마리아의 모습이 다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모델을 우리는 우리 안에서 일치시키고 통합해야 합니다. 마르타의 삶을 사는 것만큼 마리아의 삶도 살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주님의 말씀’에 주위를 기울이며 깨어 있어야 합니다. 그리스도인의 삶과 힘은 ‘참된 포도나무’(주님)에 붙어 있을 때만, 곧 생명과 사랑과, 뒤를 돌아보지 않고 앞으로 계속 나아가는 의지가 나오는 참된 포도나무에 붙어 있을 때만, 확고하게 유지되고 성장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하느님은 우리를 대부분 ‘마르타’처럼 살도록 부르셨습니다. 그러나 잊지 말아야 합니다, 곧 하느님은 매번 더 우리가 ‘마리아’처럼 살기를 원하신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도 우리가 ‘좋은 몫을 선택하고’ 그리고 우리가 그것을 빼앗기지 않도록 부르셨습니다.

주님의 발치에 앉아 있는 것은 ‘성체’ 앞에서 주님의 참된 현존을 향유할 때만 가능합니다. 감실 앞에서 기도하는 것입니다. 또한 ‘성경 독서’ 안에서 주님의 현존을 만끽할 때입니다. 한국에 살고 계시는 우리 어머니를 여러분께 소개하고 싶습니다. 어머니는 거의 매일 조금씩 조금씩 성경을 읽고 계십니다. 성체성사(미사)와 성경은 그리스도인들이 가지고 있는 가장 위대한 유일한 보화입니다.

아빌라의 성녀 데레사의 기도를 기억합시다.
아무 것도 너를 혼란케 하지 말며아무 것도 너를 두렵게 하지 마라.모든 것은 지나가는 것이나,하느님은 변하지 않으시도다.인내는 모든 것을 이겨내도다.하느님을 소유한 이는 아쉬울 것이 없나니하느님만으로 충분하도다.

스페인 성 베네딕도회 라바날 델 까미노 수도원에서
인영균 끌레멘스 수사신부

Hoy vemos a un Jesus tan divino como humano: sopre todo, vemos a Jesus umano como un hombre. Pero vemos a la divinidad del Senor en la humanidad de Jesus.

Jesus esta cansado del viaje y se deja acoger por esta familia de Marta y Maria que tanto ama, en Betania.

Aprovechara la ocasion para hacernos saber que es “lo mas importante”, que es “la parte mejor de nuestra vida entera.”

Veamos alrededor de nuestra vida. El ruido y el trafico del dia a dia ?frecuentemente? esconde la presencia de Dios.

Por eso, es importante, que vemos el valor de Dios en la nuestra vida humana y cotidiana. El valor divino esta siempre escondido en la nuestra vida. Tenemos que siempre buscarlo y encontrarlo. Este es nuestra mision y vocacion de cada dia. Por eso, podemos decir que nuestra vida cotidiana es Camino espiritual para buscar y encontrar el misterio de Dios.

Marta y Maria son unas figuras simbolicas o modelos por nosotros de hoy. Pero, Marta y Maria no estan figuras separadas. De echo, dentro de nosotros, hay una figura de Marta, otra de Maria. Dos modelos de nuestra vida cristiana que hemos de coordinar y de integrar: vivir tanto la vida de Marta como la de Maria.

Hemos de estar atentos a la Palabra del Senor, y vigilantes.

Porque la vida y la fuerza de un cristiano solamente se mantienen firmes y crecen si el permanece unido a la verdadera vid, de donde le viene la vida, el amor, las ganas de continuar adelante... y de no mirar atras.

A la mayoria, Dios nos ha llamado a ser como “Marta”. Pero no hemos de olvidar que el Senor quiere que seamos cada vez mas como “Maria”: Jesucristo tambien nos ha llamado a “escoger la mejor parte” y a no dejar que nadie nos la quite.

El nos recuerda que lo mas importante no es lo que podamos hacer, sino la Palabra de Dios que ilumina nuestras vidas, y, asi por el Espiritu Santo nuestras obras quedan impregnadas de su amor.

Descansar en el Senor solamente es posible si gozamos de su presencia real ante la Eucaristia. ¡Oracion ante el sagrario! y tambien es posible si gozamos de su presencia en la lectura de la Sagrada Escritura. Quiero introduciros a mi madre, que ahora vive en Corea, tiene 83 anos. Mi madre lee a poco a poco la Biblia quasi todos los dias. Entonces, la Eucaristia y la Biblia son unico tesoro mas grande que tenemos los cristianos.

Recordemos lo que Santa Teresa de Avila ha dicho.

Nada te turbe, nada te espante, todo se pasa, Dios no se muda;la paciencia todo lo alcanza; quien a Dios tiene nada le falta:Solo Dios basta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