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9.4: “누구든지 자기 소유를 다 버리지 않는 사람은 내 제자가 될 수 없다"-이영근 아오스딩신부
작성자송문숙 쪽지 캡슐 작성일2016-09-04 조회수1,706 추천수1 반대(0) 신고

 

 

연중 23 주일():루카 14,25-33

 

    순교자 성월의 첫 주일입니다. 벌판에 곡식을 익어가고 산천은 단풍으로 옷을 갈아입습니다.

 

    오늘 <말씀전례>의 주제는 지혜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1독서>에서는 지혜를 구하는 솔로몬의 기도의 마지막 부분을 들려줍니다. 하느님께서 주신 지혜로 세상 사람들의 길이 올바르게 되고, 사람들이 당신 마음에 드는 것이 무엇인지 배웠으며, 지혜로 구원을 받았습니다.”(지혜 9,18)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2독서><필레몬서>에서는 노예였던 오네시모스를 종으로서가 아니라 사랑하는 형제로 받아들여지도록 하는 바오로 사도의 신자로서의 삶의 지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복음>에서는 하느님의 지혜를 구체적으로 십자가의 지혜로 드러내주고 있습니다.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예루살렘으로 가시던 중, 그 길을 함께 가는 이들에게 당신의 제자가 되는 지혜를 세 가지 조건으로 제시하십니다.

    첫째는 누구든지 나에게 오면서 자기 아버지와 어머니, 아내와 자녀, 형제와 자매, 심지어 자기 목숨까지 미워하지 않으면, 내 제자가 될 수 없다”(루카 14,26)는 것이요, 둘째는 누구든지 제 십자가를 짊어지고 내 뒤를 따라오지 않는 사람은 내 제자가 될 수 없다(루카 14,27) 것이요, 셋째는 너희 가운데에서 누구든지 자기 소유를 다 버리지 않는 사람은 내 제자가 될 수 없다(루카 14,33)는 것입니다.

    이 세 가지 조건에서,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것은 4 개의 동사입니다. 동사는 행동하는 것을 표현해줍니다. 따라서 제자가 되기 위해서는 4 가지의 행동실천이 따른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첫째 동사>형제와 자매, 심지어 자기 목숨까지 미워하지 않으면, ~내 제자가 될 수 없다라 할 때의 미워하다 동사입니다. 너무도 매정하게 들리는 미워하다는 이 동사의 뜻은 제대로 알아들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수님께서 사용하신 히브리어의 방언인 아람어에는 비교급이 없다고 합니다. 그러니 <성경>에서 누구는 미워하고 누구는 사랑한다.’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미워하다는 말은 문자 그대로 미워하다는 것을 뜻하지 않고, ‘누구보다 뒤에 사랑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사랑하다는 말은 앞세워 사랑하다 혹은 선호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면, <로마서> 913절의 “‘나는 야곱을 사랑하고 에사오를 미워했다라고 기록된 성경말씀대로이다라는 표현이 그렇고, <루카복음> 1613절의 어느 종도 두 주인을 섬길 수는 없습니다. 한 편을 미워하고 다른 편을 사랑하거나~” 라는 표현이 그렇습니다.

    그러니 이는 결코 부모를 공경하라는 계명을 무시하라는 가르침이 아닌 것입니다. 원수까지 사랑하라고 하신 분께서 부모 자식과 가족에 대한 사랑을 금지하거나 적대시 하실 리 만무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결국 문제가 되는 것은 그리스도를 뒤따르는 것과 가족들과의 사랑의 관계에서 어느 것을 더 우위에 두고 앞세워 흠숭할 것인가의 문제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둘째와 셋째 동사>제 십자가를 짊어지고 내 뒤를 따라오지 않는 사람은 내 제자가 될 수 없다라 할 때의 지다따르다라는 동사입니다.

    여기서, 지다라는 동사는 억지로 마지못해 어깨에 지는 짐처럼, 압박감에 눌려있는 것을 말하지 않습니다. ‘무거운 짊진 자 다 나에게로 오라고 하신 분께서 짊을 덜어주시기는 커녕 더 무겁게 할까요?

    사실, 지다라는 말의 원래의 뜻은 어머니가 아기를 가슴에 품다’, ‘가장 소중한 것을 끌어안다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그러니 십자가는 어머니가 아기를 품듯, 소중하게 자의로 스스로 품는 것을 말한다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곧 그분을 따르기 위한 소중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따른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지를 두 개의 비유를 들어 설명해주십니다. 따른다.’는 것은 탑을 세우는 건축가가 소요경비를 미리 계산하는 것과 같으며, 또 자기보다 더 강한 임금과 전쟁을 할 것인지 평화협정을 맺을 것인지 미리 따져보는 것과 같다고 하십니다. 곧 자신의 처지와 실상을 알고 버려야할 것을 버리고 소중한 것을 따르는 것임을 말해줍니다

 

    그래서 <넷째 동사>자기 소유를 다 버리지 않는 사람은 내 제자가 될 수 없다 할 때의 버리다라는 동사입니다.

    ‘버리다의 의미는 단지 자기 자신을 포기하는 것, 비우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을 버리고 욕심을 비우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원어의 뜻은 거부하다’, ‘거절하다’, ‘부인하다입니다. 곧 자신의 뜻을 부인하는 것이요, 자신에게 신뢰를 두는 것이 아니라 주님이신 하느님께 신뢰를 두는 것을 말한다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능력을 부인하는 것이요, 하느님의 권능을 믿는 것을 말한다 할 수 있습니다.

    그것은 곧 사랑으로 바친다.’, ‘가납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쓸 데가 없어서 버리는 것이 아니라, 무익해서 버리는 것이 아니라, 가장 값지고 소중한 것을 본래의 주님께 봉헌하는 것이요, 돌려드리는 것임을 의미합니다.

    그러기에 이를 위해서는 자신이 소유자가 아니라, 속해 있는 자임을 깨닫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습니다. 자신이 속해 있는 자임을 깨달을 때라야 바쳐지고 비워지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예수님의 참된 제자인가?

 

    만약 우리가 그러하기를 원한다면, 이제 우리는 솔로몬처럼 하느님으로부터 오는 십자가의 어리석음이라는 바로 이 참된 지혜를 따라 살아야 할 것입니다. 아멘.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