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170827 - 가해 연중 제21주일 복음 묵상 - 서공석 요한 세례자 신부님
작성자김진현 쪽지 캡슐 작성일2017-08-27 조회수2,012 추천수1 반대(0) 신고




2017
08 27 () 가해 연중 제21주일 복음 묵상


이사야서 22,19-23
로마서 11,33-36
마태오복음 16,13-20


서공석 요한 세례자 신부님 (170827)


오늘 복음에서 베드로는 예수님을 “살아 계신 하느님의 아들 그리스도”라고 고백하였습니다예수님은 대답하십니다. “살과 피가 아니라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께서 너에게 그것을 알려 주셨다. 신앙은 인간의 살과 피를 위한 소원성취의 길이 아니라하느님과의 관계라는 말씀입니다그리고 예수님은 이어서 말씀하십니다. “너는 베드로이다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저승의 세력도 그것을 이기지 못할 것이다. 16세기 교회가 분열되어 개신교회들이 출현하면서 가톨릭교회와 개신교회들 사이에 논쟁의 근거가 되었던 말씀입니다가톨릭교회는 베드로 위에 세워진 교회곧 베드로의 후계자인 교황이 있는 가톨릭교회만이 예수님이 세운 교회라고 주장하였고개신교회들은 이 복음 말씀에 나오는 ‘반석’은 베드로가 아니라베드로가 고백한 신앙이라고 반박하였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가톨릭교회도 개신교회들도 그런 논쟁을 하지 않습니다개신교회들과 가톨릭교회에 속하는 성서학자들이 모두 이 말씀은 예수님이 교회를 창립한다는 선포가 아니라는 사실을 밝혔기 때문입니다이 말씀은 마태오복음서에만 있습니다이 복음서를 집필한 신앙공동체는 베드로 사도와 특별한 인연이 있는 공동체였습니다따라서 이 복음서에 나오는 베드로라는 이름은 신앙인의 대명사와 같습니다예를 들면예수님이 물위를 걸으셨다는 이야기에서도 마태오복음서만 베드로가 예수님을 따라 물위를 걸었다고 말합니다(14,22-33). 신앙인은 예수님의 말씀 따라 어둠과 고통의 심연 위를 걷는다는 말입니다오늘 복음이 전하는 베드로의 고백은 그리스도 신앙인의 정체성을 선포하는 것입니다그 고백이 있은 다음예수님이 교회 설립을 말씀하시는 것은그런 정체성을 고백하는 사람들이 모여 교회가 되었다는 말입니다예수님을 하느님의 아들이라 고백하며그분 안에서 하느님을 알아듣는 그리스도 신앙인입니다.

예수님은 사람들에게 하느님의 나라를 가르쳤습니다그것은 하느님에 대한 이론이 아니었습니다하느님이 함께 계시면그것이 하느님의 나라입니다하느님의 일을 실천하는 사람들 안에 하느님은 살아계십니다사랑하는 사람이 함께 있으면그 사람의 뜻을 소중히 생각하는 실천들이 발생합니다하느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면우리는 그분의 일을 실천합니다그것이 예수님이 가르친 하느님의 나라입니다예수님은 “하느님의 나라는 당신들 가운데 있습니다.(루가 17,21)라고 말씀하셨습니다예수님이 하느님의 일을 실천하셨듯이우리도 그분의 일을 실천하여하느님의 나라가 우리들 가운데 있게 하라는 말씀입니다.

예수님은 그 시대 유대교가 가르치던 대로 살지 않으셨습니다유대교는 율법을 철저히 지키고제물 봉헌에 충실하면의인(義人)이 되어 구원받는다고 가르쳤습니다유대교는 이 세상의 모든 불행을 인간 죄에 대해 하느님이 주시는 벌이라고 해석하였습니다유대교는 이 세상의 인과응보(因果應報원리를 하느님에게 적용하여 하느님을 상상하였습니다그러나 예수님의 생각은 달랐습니다하느님은 이 세상의 ‘살과 피’곧 우리 생명이 하는 일을 연장하여 상상할 수 없는 분이십니다하느님은 은혜로운 분이십니다예수님이 아버지라는 호칭을 사용한 것도 은혜로우신 하느님이라는 뜻입니다사람이 아버지로부터 생명을 받아 살듯이 은혜롭게 주어진 생명이라는 뜻입니다남성 위주의 가부장(家父長사회였던 그 시대에 아버지라는 단어에는 자녀를 위한 어머니의 역할도 당연히 들어 있습니다.

예수님은 하느님이 우리의 생명을 베푸셨다는 사실에 대한 자각과 감사로부터 신앙이 시작한다고 믿었습니다이스라엘 백성이 이집트 종살이에서 해방된 과거의 사실을 해마다 성대하게 기념하는 것은 그 사건이 하느님의 은혜로우심을 말해주는 것이기 때문이었습니다하느님을 은혜로운 분이라고 믿는 사람은 자기도 이웃을 위해 은혜로움을 실천합니다예수님이 사람들의 병을 고치고죄를 용서하신 것은 은혜로운 하느님의 일을 실천한 것이었습니다그것은 다른 사람들이 실천하지 않는 일이라는 의미에서 성서는 기적이라고 말합니다오늘 복음에 베드로가 ‘스승님은 살아 계신 하느님의 아드님’이라고 고백하는 것은 예수님이 은혜로우신 하느님의 생명을 당신의 삶으로 보여 주셨다는 뜻입니다.

예수님은 하느님에게 기도하여 우리의 소원을 성취하라고 가르치지 않았습니다. 예수님은 세상을 등지고광야로 가서 하느님만 생각하며 살라고 가르치지도 않았습니다예수님은 “하느님의 나라는 어린 이들의 것”(마르 10,14)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어린이와 같이 유치하게 되라는 말씀이 아니라어린이들이 부모를 신뢰하고 따르듯이하느님 앞에 우리도 믿음과 신뢰를 가져야 한다는 말씀입니다어린이는 부모 앞에서 우월감을 갖지 않습니다그리스도 신앙인은 어떤 구실로도 사람들 앞에 우월감을 가지고 행세하지 않습니다예수님은 “가난한 이가 행복하고”(루가 6,20)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마르 10,43)고 말씀하셨습니다재물로 우월감을 찾지 않고섬기는 사람이 되어 살라는 말씀입니다.

예수님의 가르침과 실천을 인류역사 안에 살아있게 하는 그리스도 신앙인입니다. 그리고 그런 실천을 하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입니다예수님을 하느님의 아들이라 고백하면서 재물과 권력을 자기 삶의 최대 보람으로 생각할 수 없습니다예수님으로 말미암아 모인 공동체라고 말하면서다른 사람들 앞에 우월감을 가지거나그들 위에 군림하는 자세를 가질 수도 없습니다예수님을 하느님의 아들이라고 고백하는 교회라면그 교회에 속하는 신앙인은 교회 안팎의 가난한 사람버려진 사람불행에 우는 사람을 돌보는 노력을 할 것입니다.

과거 세상은 신분(身分사회였습니다높은 사람이 행세하고낮은 사람은 높은 사람의 통촉하심으로 산다고 생각하던 사회질서였습니다유럽 중세 사회 사람들은 그런 질서가 하느님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라 믿었습니다따라서 교회 안에도 권위를 가진 신분이 있었고그 권위에 순종하며 살아야 하는 신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오늘 세상은 달라졌습니다오늘은 자기가 속하는 집단의 일에 각자가 자기 능력껏 자유로이 참여하고 기여하면서자기의 정체성을 실현하는 질서입니다. 오늘은 하느님의 자녀로 사는 것도 신앙인 각자가 다양하게 실현합니다사람에게 순종하는 것이 하느님의 뜻을 이루는 일이 되지도 않습니다교회 구성원들은 각자 자기의 역할을 하면서 모두 함께 하느님의 일을 찾아 실천합니다예수님이 보여 주신 하느님을 믿고각자 자기의 창의력을 동원하여 그분이 하신 일을 실천하여하느님의 나라가 우리 가운데 오게 합니다사람이 통솔하는 교회가 아니라, 하느님의 일이 이루어지는 교회가 되어야 합니다.


서공석 요한 세례자 신부님 (170827)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