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12.31. 성가정 축일.-파주 올리베따노 이영근 아오스딩신부.
작성자송문숙 쪽지 캡슐 작성일2017-12-31 조회수1,829 추천수0 반대(0) 신고

 

 

루카 2,22-40(성가정 축일)

 

 오늘은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 축일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아담과 하와를 창조하시고, 사람이 한 가정에서 태어나 자라도록 정하셨습니다. 그리고 우리 주님의 거룩한 탄생은 하느님께서 가정안으로 들어오신 사건이었습니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한다면, 가정을 만드시며(이루시며) 오셨습니다. 왜냐하면, 당신으로 말미암아 가정이 엮어지고 꾸며졌기 때문입니다. 곧 공동체를 이루시며 오신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주님께서는 이 땅에 오시어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시고, 관계를 맺으시는 첫 장소는 가정이었습니다. 당신의 오심으로 모든 것을 축복하고 새롭게 하시는 당신께서는 맨 먼저 가정을 축복하셨습니다.

 가정은 모든 생활과 관계의 기초이며, 가장 작은 교회입니다. 그래서 가정이 파괴되면 사회도 국가도 공동체도 파괴되고, 가정이 새로워지면 사회도 국가도 공동체도 교회도 새로워지게 됩니다.

 그래서 성가정 축일은 오늘날의 우리에게 특별한 의미를 지닙니다. 왜냐하면, 현대의 많은 사회 문제의 출발점이 가정이란 점에서 가정을 축복하고 새롭게 하는 일이 새로운 사회 건설의 기초가 되기 때문입니다.

 

 오늘 우리가 축일로 지내는 예수, 마리아, 요셉의 성가정은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을 연상시킵니다. 친교와 사랑과 통교를 이루는 일치의 공동체를 연상시켜줍니다. 그래서 성가정은 모든 가정뿐만 아니라 모든 수도공동체의 모델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성가정이라고 해서, 고통이나 어려움이 없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시메온은 성모님께 말합니다.

"보십시오. 이 아기는 이스라엘에서 많은 사람을 쓰러지게도 하고 일어나게도 하며,

또 반대를 받을 표징으로 정해졌습니다. 그리하여 당신의 영혼이 칼에 꿰찔리는 가운데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루카 2,34-35)

 

 이 말씀과 같이, 성모님은 성가정을 꾸려 나가면서 칼에 찔리는 고통을 당하셨을 것입니다.

 요셉과 마리아와 예수님의 가정은 경제적으로 부유했거나, 혹은 근심 걱정이나 고통이 없는 가정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어쩌면 오히려 더 문제가정이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아기를 낳자마자 쫓겨 다녀야했으며, 자신의 아기 때문에 많은 무죄한 아기들이 죽어야했고, 혼인 전에 아기를 낳은 까닭에 이웃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으며 살았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버지는 일찍 세상을 떠났으며, 마리아는 이해할 수없는 아들과 함께 살아야 했고, 아들마저 세상을 먼저 떠나버린 가정이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행복한 가정이 아니었을까?

 

 분명, 행복한 가정이었음에는 틀림없었을 것입니다.

 왜 행복한 가정이었을까?

예수, 마리아, 요셉 사이에 그 어떤 다툼도 불평도 어려움도 없어서 성가정이었을까?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성가정을 단순히 고통이나 어려움이 없는 가정이 아니라, 혹은 말썽 부리는 사람이 없는 가정이 아니라, 얼마나 하느님의 뜻을 따르며 사는지에 달려 있을 것입니다.

 사실, 하느님께서는 시련을 통해서도, 우리가 복 받을 사람으로 만들어 주시기 때문입니다. 아니, 오히려 시련을 통해서 복을 내려주시기도 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혹 지금 우리의 가정이나 공동체가 비록 어려움과 아픔, 그 어떤 고통이나 시련 중에 있다고 해서 성가정이나, 성수도가정이 될 수없는 것이 아닌 것입니다. 오히려 그 속에서 그분의 뜻을 찾아야 합니다. 그분께서 우리 가운데 계시기 때문입니다.

 시련이나 고통이 없는 것이 성가정이 것이 아니라, 그 가운데서도 예수님과 함께 하느님께 나아가는 가정이 성가정이기 때문입니다. 성가정이란 그것은 결코 어려움이나 고통이 없거나 가난하지 않는 가정이 아니라, 그 속에서도 예수님과 함께 있는 가정을 말합니다. 곧 예수님과 함께 살아가기에 성가정인 것입니다. 그리고 예수님과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구원에 동참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처럼, 주님의 구원에 동참하는 성가정의 모습을 오늘 <복음>에서는 이렇게 드러내줍니다.

당신의 영혼이 칼에 꿰찔릴 것입니다(루카 2,35)

 

 이는 어머니 마리아가 그리스도의 속죄의 고통에 참여함을 암시해줍니다. 곧 부모가 아들 예수님의 운명에 동참하신다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곧 구원의 길에 함께 동참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성가정예수님과 함께 구원의 길에 동참하는 가정인 것입니다. 곧 예수님과 함께 구원의 길을 가는 동반자요, 협조자요, 반려자로 살아가는 가정입니다. 곧 자신의 뜻이 아니라, 아버지의 뜻에 따라 사는 가정입니다.

 

 오늘 우리는 성가정 축일을 맞아, 우리의 가정과 공동체를 구원의 길로 동행하시 위해 오신 아기 예수님을 찬양합니다. 아멘.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