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6.25.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이영근신부
작성자송문숙 쪽지 캡슐 작성일2018-06-25 조회수2,109 추천수0 반대(0) 신고

 

 

마태 18, 19-22(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

 

 오늘은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위한 기도의 날입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의 말씀을 깊이 새겨들어야 할 일입니다.

너희는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라도 내 이름으로 모여

이 땅에서 아버지의 뜻에 따라 구하라.”(마태 18, 20)

 

 바로 이 땅이 우리가 이루어야 할 친교와 화해의 장소라는 말씀입니다. 먼 훗날이 아니라, 평화로운 새로운 새 땅에서가 아니라, 바로 여기에서 바로 지금, 서로 마음을 모으라는 호소입니다.

일곱 번이 아니라 일흔일곱 번까지라도 용서하라.”(마태 18, 22)

 

 이는 허물을 탓하지만 말라는 말씀이요, 동시에 무한히 끝까지 용서하라는 말씀입니다. 곧 용서하는 데 있어서 아무런 조건이나 단서를 달지 말라는 말씀입니다. 반드시 죄를 고백해야만, 혹은 용서를 청해야만 용서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씀입니다. 때로는 완고하고 고집부리더라도 혹은 계속해서 똑같은 죄를 반복해서 짓더라도 용서하라는 말씀입니다.

 사실 우리는 지금도 남북의 형제들끼리 적대 논리로 서로를 적으로 강요당하며, 서로 죽이는 살인 연습을 자행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적이 아니라, 형제가 되어야 할 때입니다. 우리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적대감과 대립을 몰아내야 할 일입니다. 편견과 거짓과 위선을 몰아내고, 그리스도 안에서 화해와 용서, 일치와 사랑이 필요할 때입니다.

 오늘 <1 독서>에서는 특별히 오늘이라는 말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주 너희 하느님께 돌아와서, 내가 오늘 너희에게 명령한 대로 순종하기만 하면

~ 너희를 다시 모아들이실 것이다.”(신명 30, 2-3)

 

 이는 축복과 저주는 하느님께서 주관하시는 것이지만, 동시에 인간에게도 달려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이처럼, 분단극복과 화해와 일치의 실현에는 그동안의 우리의 불성실을 성찰하는 동시에, 바로 오늘 우리의 책무와 투신이 요청된다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 <2 독서>에서 사도 바오로는 그리스도인이 지켜야 할 새로운 생활 법칙을 말하고 있습니다.

남을 해치는 말은 입 밖에도 내지 말라.”(에페 4, 29)

 

 사실, 우리들 사이의 분쟁의 상당한 것들은 잘못된 말이나, , 비난, 중상모략, 거짓말로 시작되기도 합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남과 북이 서로를 비방하고, 거짓 뉴스와 유언비어를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이를 멈추고, 오히려 서로를 격려하고 고무, 찬양해야 할 일입니다. 축복을 가져다주는 좋은 말, 기쁨과 칭송의 말을 해야 할 일입니다.

 이는 꼭 남북관계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모두 서로에게 그렇게 해야 할 일입니다. 특히 같은 공동체 식구끼리는 더더욱 그러해야 할 일입니다.

하느님의 성령을 슬프게 하지 말라.”(에페 4, 30)

 

 이는 형제들에게 하는 모든 원한과 격분과 분노와 폭언과 중상과 온갖 악의가 사실은 바로 그들 안에 있는 성령께 대한 모독이 된다는 말입니다. 그들의 몸이 하느님께서 거처하시는 성전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서로 욕하고 비방하는 것은 성령을 모독하는 일이 될 것입니다. 반면에, 우리가 형제를 존중하고 받아들이는 것은 성체조배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형제 안에 거하시는 예수님을 예배드리는 일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이웃과 형제를 받아들이고, 동족인 북한을 받아들이는 것은 그들 안에 살아계시는 주님을 경배하는 일이 될 것입니다.

서로 너그럽고 자비롭게 대하고

~ 하느님께서 여러분을 용서하신 것처럼 서로 용서하라.”(에페 4, 32)

 

 사실, 용서는 하느님께서 거저 주시는 은총입니다. 그러니 우리도 거저 받은 것을 마땅히 이웃에게 거주 주어야 할 일입니다. 특히 대립과 반목으로 오랫동안 쌓여온 남북의 적대를 용서로 바꾸어야 할 일입니다. 그러나 이제는 적이 아니라, 형제가 되어야 할 일입니다. 용서와 화해, 사랑과 일치를 이루어 나가야 할 일입니다.

하느님을 본받는 사람이 돼라.”(에페 5, 1)

 

 그리하여, 그리스도처럼, 자신을 화해와 일치를 위해 바치는 향기로운 산 제물이 되어야 할 일입니다. 아멘.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