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7.31."밀밭의 가라지 비유를 자세히 설명해 주십시오."- 양주 올리베따노 이영근신부
작성자송문숙 쪽지 캡슐 작성일2018-07-31 조회수1,577 추천수0 반대(0) 신고

 

 

마태 13, 36-43(연중 17주 화)

 

 우리는 이 세상에 판치고 있는 폭력과 불의와 죄악을 보면서 곧잘 흥분하고 분노하기도 합니다. 또 교회와 우리 공동체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부정과 부조리와 모순을 보면서 경악하고 환멸감에 빠지기도 합니다. 그리고 자신 안에 꿈틀거리고 있는 미움과 무관심과 온갖 악한 생각들을 보면서 심히 좌절하기도 합니다.

 사실, 공동체 안에도, 우리 자신 안에도, 밀과 가라지가 같이 자라고 있습니다. 어찌해야 할지, 참으로 당혹스럽고 망막할 때가 있습니다. 이 세상에는 왜 악이 사라지지 않는지? 왜 하느님께서는 악이 활개 치도록 방관하고만 계시는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하느님이 실망스럽고 원망스럽기도 합니다.

 오늘 <복음>에서, 제자들은 밀밭의 가라지 비유를 자세히 설명해주십시오.”(마태 13, 36)라고 청합니다. 왜냐하면, 밭에 가라지가 있는 것을 발견한 종들이 집주인에게 저희가 가서 그것들을 거두어 낼까요?”(마태 13, 28)라고 묻자, 그는 아니다. 너희가 가라지를 거두어 내다가 밀까지 함께 뽑을지도 모른다. 수확 때까지 둘 다 함께 자라도록 내버려 두어라.”(마태 13, 29-30)라고 말하셨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그 이유를 가라지를 거두어 내다가 밀까지 함께 뽑을지도 모른다.’ 라고 하셨습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우리는 사부 성 베네딕투스의 말씀을 새겨들어봅니다. 사부께서는 [수도규칙] 64장에서 말합니다.

악습은 미워하되 형제들은 사랑할 것이다.

책벌함에 있어서는 현명하게 할 것이며 너무 지나치게 하지 말 것이니,

녹을 너무 지우려다 그릇을 깨뜨리는 격이 되지 않기 위함이다.”(규칙서 64, 12)

 

 한편, 예수님께서는 세상의 끝날(마태 13, 40)이 되면, 밀과 가라지의 분리가 있을 것이라고 말씀하십니다. 곧 가라지와 밀을 거두어드릴 때가 따로 있으며, 또한 그것들을 거두어드리는 일을 맡은 일꾼이 따로 있다는 말씀입니다. 이는 밀과 가라지에 대한 주권이 바로 당신께 있다는 말씀입니다. 동시에, 세상의 끝날이 될 때까지는 밀과 가라지가 함께 자라도록 허용되었다는 말씀입니다. 곧 우리가 밀과 가라지가 함께 자라는 것 속에서 부르심을 받았다는 사실을 말해줍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앞의 파견설교에서, 나는 이제 양들을 이리 떼 가운데로 보내는 것처럼 너희를 보낸다.”(마태 10, 16)고 하시고, 너희는 내 이름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미움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끝까지 견디는 이는 구원을 받을 것이다(마태 10, 22)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니, 비록 악이 세상 안에 함께 자라고 있다고 해서, 우리가 그 악에 젖어 들거나 협조하거나 방조하라는 뜻이 아닙니다. 단지 악을 피하고 선이신 하느님께로 나아가라는 것만도 아닙니다. 그러니 우리가 비록 악을 뿌리 뽑을 수는 없다 할지라도 악이 번지지 못하도록 막아야 하고, 악으로부터 선을 보호해야 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악이 더 이상 활개 치지 못하도록 싸워야 할 일입니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파견하시면서 말씀하셨습니다.

내가 세상에 평화를 주러 왔다고 생각하지 마라.

평화가 아니라 칼을 주러 왔다.”(마태 10, 34)

 

 

다음검색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