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9.2.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다. - 양주 올리베따노 이영근신부
작성자송문숙 쪽지 캡슐 작성일2018-09-02 조회수1,534 추천수1 반대(0) 신고

 

마르 7,1-8, 14-15, 21-23(연중 22 주일)

 

그 무덥던 찜통더위도 물러가고, 그 세찬 바람과 매섭게 퍼붓던 비도 그치고, 9월의 드높은 하늘의 가을입니다. 연중 22주일입니다. 오늘 <말씀전례>의 주제는 율법의 올바른 실행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 <1독서><신명기>의 말씀으로, 주님께서 당신 백성에게 율법을 주면서 보여주신 사랑과 지혜를 생각하라는 모세의 따뜻한 권고 말씀입니다. 곧 모세는 주님의 법을 지키면 이스라엘 백성에게 생명과 축복이 올 것이라고 하면서, 이스라엘은 주님의 법을 지켜 다른 민족에게 하느님 사랑과 지혜를 보여주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2 독서>는 하느님의 뜻에 따라 진리의 말씀으로 우리를 낳으신 그리스도의 열매로서의 올바른 삶에 대한 야고보 사도의 권고 말씀입니다. 곧 우리들 안에 심어진 말씀에는 우리의 영혼을 구원할 힘이 있으니, 말씀을 듣기만 하여 자신을 속이는 사람이 되지 말고, 말씀을 실행하는 사람이 되라고 하십니다.

그리고 오늘 <복음>에서는 이러한 율법과 말씀의 올바른 실행은 겉모습이 아니라 마음에 있음을 바리사이들과 율법학자들과의 정결법 논쟁을 통해 말해줍니다.

예로부터 어디서나 먹는 문제가 항상 제일 예민합니다. 바리사이들도 먹는 것을 가지고 많은 시비를 겁니다. 안식일에 제자들이 벼이삭을 비벼먹었다고 문제 삼는가 하면, 죄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다고 문제 삼고, 또는 단식하지 않는다고 문제 삼기도 하고, 그리고 오늘 <복음>에서 바리사이들은 예수님 제자들이 손을 씻지 않고서 음식을 먹는다고 시비를 겁니다.

그들의 주장은 예수님의 제자들이 조상들의 전통을 지키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시나이 율법을 십계명의 성문율법 외에도 구두율법도 받아들였습니다. 그리고 율법을 613개로 확대하여 지켰습니다. 그리하여 그들은 이러한 조상들의 전통을 겉으로는 지키면서 자신들을 거룩하게 여기는 반면, 그렇지 못한 이들, 곧 가난하고 소박한 이들을 저주받은 사람들(요한 7, 49)라고까지 하면서 족쇄를 씌워 짐 지우고, 반면에 예수님의 가르침을 배척하면서 다른 이들이 그분을 따르는 것마저 막았습니다(마태 23, 13).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이르십니다.

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다.”(마르 7,8)

 

그러고 나서, 군중을 가까이 불러 말씀하십니다.

너희는 모두 내 말을 듣고 깨달아라.

~안에서 곧 사람의 마음에서 나쁜 생각들~이 나온다.”(마르 7, 14-22)

 

오늘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율법의 올바른 실천을 가르쳐주십니다. 사실, 참된 실천은 법의 원칙에 대한 외면적 준수가 아니라, 법의 근본정신에 맞게 사는 내면적 삶과 추종입니다. 곧 마음과 행실의 상관관계를 말해줍니다.

흔히 우리는 수행이란 말을 사용합니다. 행위를 닦는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행위를 닦는 일은 그 행위를 유발시키는 뿌리인 마음을 닦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의 행동은 우리의 마음을 드러내기 때문입니다. 마음에서 행위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인간의 마음을 샘에 견주기도 합니다. 샘이 맑으면 그곳에서 흘러나오는 물도 맑지만, 샘이 더러워지면 그 물도 더러워지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의 마음이 맑으면 성스러워지고, 더러우면 죄스러워질 것입니다.

그러니 문제는 사람의 마음에서 나오는 나쁜 생각입니다. 바로 그 나쁜 생각이 사람을 더럽히는 원인이 됩니다. 그러니 겉이 아니라 속을 사랑으로 채우라는 말씀입니다. 그리고 그 사랑을 실천하라는 말씀입니다.

그래서 사도 바오로는 말합니다.

사랑이 율법의 완성입니다.”(로마 13, 10)

 

그렇습니다. 율법의 완성은 사랑입니다. 그러기에 우리는 사랑의 실천을 과업으로 짊어지고 살아갑니다. 그러나 모든 실천이 다 옳은 것은 아닙니다. 실천하더라도 참된 실천을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곧 아무 것이나 실천하라는 것이 아닙니다. 사람에게서 나오는 생각에 따라 실천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안에 심어진 하느님의 말씀을 깨닫고 실천하라는 말씀입니다. ‘사람의 전통을 따라 실천하라는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계명을 따라 실천하라는 말씀입니다. 그러니 진정 중요한 것은 실천하더라도 빛 안에서 실천하는 것이요, 사랑하더라도 진리 안에서 사랑하는 일입니다.

사도 요한은 말합니다.

자녀 여러분, 말과 혀로 사랑하지 말고

행동으로 진리 안에서 사랑합시다.”(1요한 3,18)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