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가톨릭인간중심교리( 25-1 순례(Pilgrimage)의 뜻)
작성자김중애 쪽지 캡슐 작성일2018-11-30 조회수1,602 추천수1 반대(0) 신고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25. 순례 (성지순례)
 25-1 순례(Pilgrimage)의 뜻
"여행을 많이 한 사람은
아는 것이 많고 경험이 많은
사람은 지각 있게 말하리라. 
 시련을 겪지 않은 사람은
아는 것이 적지만
여행을 많이 한 사람은
모든 일에 능통하다.
(집회 34, 9-11). 
25-1 순례(Pilgrimage)의 뜻
 성지는 하느님과 관련된
성스러운 땅입니다. 
 예를 들면 하느님이
계셨던 곳이나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는 곳, 
 혹은 특별히 신성하다고
생각되는 곳으로,
 성지를 방문하여 하느님께 직접,
간접으로 예를 드리는 경신(敬神)
행위를 말합니다. 
  순례의 뜻은 인생의 여정을 그리는
교리적 측면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이스라엘 민족이 하느님께서
약속하신 땅에 이르기 위한
순례의 역사는 메시아를 만나
 민족이 구원받는 순례의 역사로
갖은 난관을 헤쳐 나가야 했습니다. 
 그리고 그리스도 이후 인류의
창조적 진화는 하느님의 나라를 향한 
 순례의 여정을 걷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성지순례의 기원은 뚜렷하지는
않지만 유다교에서 이스라엘
남자들이 유월절(Pesah)과 오순절
(Shavout) 및 초막절(Sukkot)등 
 매년 3번씩 예루살렘 성전에 가서
그들이 수확한 곡식과 가축들을 
 바치던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봅니다. 
 그 후 그리스도교 시대에 들어오면서
순례는 신에 대한 흠숭의 의미 뿐
아니라 회개하는 행위로,
혹은 성인에 대한 존경의 행위로, 
 혹은 영적인 은혜를 받기 위한 행위로,
 혹은 은혜에 감사하기 위한 행위로,
  혹은 보속과 기도하는 행위로
변천하여 왔습니다. 
 초대 교회에서는 주로
예수 그리스도께서 생활하시던
팔레스티나로 순례하였고,
  그 후에는 많은 순교자들의 피로
물들여진 로마로 순례가
성행하게 되었습니다.
  8 세기 이후부터 성지순례는
신자들의 의무에 속한다는
관습이 생겨나 대 순례단이
조직되기도 하였습니다.
(가톨릭 대사전 '순례' 참조). 
 이러한 성지순례의 활기를 종교행사,
전례생활의 일면으로 점차 발전시켜
나가야 할 여지가 있습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