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20 08 24 (월) 운동기구 운동 침의 물질대사 다스린 후에 부비동의 3곳에 공기의 습도 온도 압력 다스려 침과 공기를 귀 안에 보내어 청력 회복시킴
작성자한영구 쪽지 캡슐 작성일2020-10-14 조회수1,749 추천수0 반대(0) 신고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 8월 24일 월요일 오후 7시 30분부터 운동기구에서 운동하였습니다. 양팔 줄 당기기 운동을 하는 동안 입안에서 침이 솟아올라 그 침을 코의 인두 위로 보내어 삼키게 하여주십니다. 침이 양쪽 귀 안으로 흘러들고 나머지는 식도로 십이지장과 소장과 대장으로 흘러들게 하여주십니다. 바로 귀 안에서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움직임이 다르게 그 소리가 들립니다. 오른쪽 귀는 좀 크게 들리고 왼쪽 귀에서는 소리가 작게 들리며 왼쪽 귀는 서너 번 움직이는 것을 반복하는 소리가 들리고 오른쪽 귀에서는 한 번 크게 움직이는 소리가 반복하여 들립니다. 침이 입안에 솟아올라 그 침을 5번 정도 삼키었습니다. 그러자 목구멍에서 가스가 솟아올라 약하게 토해내게 다스려주십니다. 그리고 양팔 줄 당기 운동을 계속하자 하품도 크게 하여주십니다. 가스는 토해내지 않습니다. 줄 당기기 운동을 13분 동안 하면서 양쪽 귀 안에서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침을 받아 활발하게 움직이도록 다스려주시었습니다. 십이지장과 소장이 처져 있다는 느낌은 전혀 느낄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끝날 무렵에는 항문으로 방귀가 나옵니다. 흘러 들어간 침이 대장에서 작용하여 방귀가 나오도록 하여준다고 상상합니다.

발걸음 운동기구로 발걸음 폭을 크게 넓히어 활발하게 운동을 하였습니다. 밤에 잠을 잘 때는 입을 다물고 자는 것이 정상이므로 활발하게 운동을 하면서 내쉬는 숨도 코로 내쉬고, 내쉴 때 이산화탄소가 배출됩니다. 숨을 들여 마실 때도 코로 들여 마시고, 산소가 허파에 가득 찹니다. 그러자 역시 발걸음 운동기구에서도 양쪽 귀 안에서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활발하게 움직이는 소리가 들립니다. 계속 심호흡을 하자 10분이 지나면서 저의 두정엽에서 오른쪽으로 떨어진 위치 중앙 전두엽 가운데보다, 약간 두정엽 쪽으로 옮긴 위치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저의 오른쪽 코의 인두에 약간 아래쪽 위치에 머물러 연결하여,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침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신다고 상상합니다.

그러자 오른쪽 아래 눈꺼풀과 광대뼈 경계선에 가로로 오른쪽으로 움직이다 머물러 만져주시어 다스려주십니다. 부비동에 광대뼈 부위 위턱뼈 굴 – 상악동 - 광대뼈 안쪽을 다스려주시어 공기가 활발하게 움직이어 그 공기가 귀 안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여, 귀 안에서 침도 받고 공기도 받아 내이와 중이의 조직의 기관이 활발하게 움직여주시도록 다스려주신다고 상상합니다. 이번에는 눈썹 아래의 위 눈꺼풀에 가로로 오른쪽으로 옮겨가시다가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역시 부비동에 접형동- 나비굴 - 부위를 다스려주시어 안의 공기가 귀 안으로 들어가게 하여주신다고 상상합니다. 그리고 직전에 오른쪽 눈꺼풀과 광대뼈 경계선에 머물러 만져주실 때, 왼쪽 광대뼈 살갗에서 가려움을 느꼈습니다. 계속 가려웠습니다. 그러므로 손가락으로 살짝 가려운 위치를 만져 왼쪽 광대뼈의 살갗임을 확인하였습니다. 처음 경험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오른쪽 눈썹 위 가로로 짧게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부비동의 맨 윗부분의 이마뼈 굴 – 전두동- 의 공기를 다스려주신다고 상상하였습니다.

오늘은 이처럼 오른쪽 코의 인두에 머물러 침의 물질대사를 먼저 다스려주시고, 그다음에 부비동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공기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어 귀 안에서 내이의 조직의 기관에 침과 공기가 들어가게 하여, 내이와 중이의 조직의 기관이 활발하게 움직이게 다스려주시었습니다. 귀의 청력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침과 공기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는 것으로 마감하셨습니다.

발걸음운동을 20분을 하였습니다. 서서히 발걸음 보폭을 줄여나가 멈추자 오히려 운동 후에 이완으로 부교감신경이 작용하여 오른쪽 귀 안의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크게 한 번 움직이는 것을 반복하여 주시어 그 소리가 크게 들리게 하여주십니다. 왼쪽 귀 안에서는 약하게 서너 번 움직이는 것을 반복하는 소리가 들립니다.

 

오늘은 이처럼 양쪽 귀 안으로 침이 흘러 들어가게 하여주시고 공기도 들어가게 하여주시어, 청력을 정상으로 회복시켜주시는 다스림으로 마감하셨습니다. 오늘 부비동을 다스려주신 것은 전 같으면 오른쪽 눈물샘과 눈물점을 다스려주신 것으로 착각을 하였을 것입니다. 지금은 부비동에 대한 지식이 있으므로 부비동을 다스려주시어 그 공기가 귀 안으로 들어가게 하여주신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습니다. 오늘도 이처럼 새롭게 성령님께서 다스려주시어 부비동에 대한 지식을 좀 이해할 수 있게 하여주시어 감사합니다. 그러나 이 못난 작은 이가 너무 기억력이 없고 아둔하여 부비동의 4개 조직의 역할을 지금도 기억을 잘못합니다. 다시 또 아침 새벽에 맑은 정신일 때에 그 부비동 네 곳의 역할에 대하여 되풀이하여 읽고 이해를 하여 기억하도록 하겠습니다.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도 성령님께서 양팔 줄 당기기 운동과 발걸음운동에서 새롭게 다스려주시어 저의 영혼과 몸이 성장하고 발전하였습니다. 그리고 빛의 생명을 주시어 침의 물질대사와 공기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고 그 침과 공기가 양쪽 귀 안으로 들어가게 하여 양쪽 귀 안에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활발하게 움직이도록 다스려주시어 청력을 회복시켜주시면서 새로 알게 된 지식과 이 모두를 주님께 바칩니다. 운동의 중요성을 다시 깨닫게 하여주시어 감사합니다. 이 못난 작은 이를 이처럼 사랑하시어 오늘 뜻밖에 새로운 방법으로 다스려주시어 감사합니다. 이 못난 작은 이를 이처럼 지극히 사랑하여주시는 하느님을 그 하느님 뜻의 지극하신 사랑으로 사랑합니다.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 와 항상 영원히 아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부비동

출처 TeachMe 해부학

The paranasal sinuses are air-filled extensions of the nasal cavity. There are four paired sinuses named according to the bone in which they are located maxillary, frontal, sphenoid and ethmoid. Each sinus is lined by a ciliated pseudostratified epithelium, interspersed with mucus-secreting goblet cells.

 

The function of the paranasal sinuses is a topic of much debate. Various roles have been suggested:

 

Lightening the weight of the head

Supporting immune defence of the nasal cavity

Humidifying inspired air

Increasing resonance of the voice

The paranasal sinuses are formed during development by the nasal cavity eroding into the surrounding bones. All the sinuses therefore drain back into the nasal cavity openings to the paranasal sinuses can be found on the roof and lateral nasal walls.

 

In this article, we shall look at the anatomy of the paranasal sinuses their structure, anatomical relations and innervation

 

얼굴뼈 비강 안쪽에 공기로 채워진 빈 공간입니다. 상악, 전두엽, 접형골, 사골 등 네 쌍의 부비동이 있습니다.-그들이 위치한 뼈에 따라 명명됩니다. 각 부비동에는 점액을 분비하는 잔 세포가 산재 해있는 섬모 위층 화 된 상피가 늘어서 있습니다.

 

부비동 의 기능 은 많은 논쟁의 주제입니다. 다양한 역할이 제안되었습니다.

 

머리의 무게를 가볍게

비강의 면역 방어 지원

들여마신 산소를 가습

목소리의 공명 증가

부비동은 주변 뼈로 침식 되는 비강에 의해 발달 중에 형성됩니다 . 따라서 모든 부비동은 비강으로 다시 배출됩니다. 부비동 입구는 지붕과 비강 측벽에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 우리는 부비동 의 구조, 해부학 적 관계 및 신경 분포를 살펴볼 것입니다.

Frontal Sinuses

There are two frontal sinuses located within the frontal bone of the skull. They are the most superior of the paranasal sinuses, and are triangular in shape.

 

Drainage is via the frontonasal duct. It opens out at the hiatus semilunaris, within the middle meatus of the nasal cavity.

 

Sensation is supplied by the supraorbital nerve (a branch of the ophthalmic nerve), and arterial supply is via the anterior ethmoidal artery (a branch of the internal carotid).

 

Sphenoid Sinuses

The sphenoid sinuses are situated within the body of the sphenoid bone. They open out into the nasal cavity in an area supero-posterior to the superior cocha known as the spheno-ethmoidal recess.

 

They are innervated by the posterior ethmoidal nerve (a branch of the ophthalmic nerve), and branches of the maxillary nerve. They recieve blood supply from pharyngeal branches of the maxillary arteries.

 

정면 부비동

두개골의 전두골 내에 는 두 개의 전두동 이 있습니다 . 그들은 부비동 중 가장 우월하고 삼각형 모양입니다.

 

배액 은 전두 관을 통해 이루어 집니다. 그것은 비강의 중간 도관 내에있는 반창 열공에서 열립니다.

 

감각은 안와 상 신경 (안과 신경의 한 가지)에 의해 공급되고 동맥 공급은 전방 사골 동맥 (내 경동맥의 한 가지)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접형동 부비동

접형동 은 접형골 의 몸체 안에 위치합니다. 그들은 spheno-ethmoidal 움푹 들어간 곳으로 알려진 상 코카의 상-후 영역에서 비강으로 열립니다.

 

그들은 후 사골 신경 (안과 신경의 한 가지)과 상악 신경의 가지에 의해 신경 분배됩니다. 그들은 상악 동맥 의 인두 가지에서 혈액 공급을받습니다 .

 

Clinical Relevance - Transsphenoidal Surgery

The sphenoid bone shares a close anatomical relationship with the pituitary gland. Indeed, the pituitary can be accessed surgically by passing instruments through the sphenoid bone and sinus.

 

This type of surgery is known as endoscopic trans-sphenoidal surgery (ETSS), and is the usual treatment of choice for pituitary adenomas. It allows for the surgical management of pituitary pathology without the need for a more extensive craniotomy.

 

임상 관련성 -Transsphenoidal Surgery

접형골은 뇌하수체 와 밀접한 해부학 적 관계를 공유합니다 . 실제로 뇌하수체는 접형골과 부비동을 통해기구를 통과시켜 외과 적으로 접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유형의 수술은 내시경 경 접형 수술 (ETSS) 로 알려져 있으며 뇌하수체 선종에 대한 일반적인 치료법입니다. 보다 광범위한 개두술 없이도 뇌하수체 병리학의 외과 적 관리가 가능합니다.

 

저자 TeachMeSeries 회사 (2020)

그림 4-뇌하수체 수술에 대한 transsphenoid 접근법.

그림 4 뇌하수체 수술에 대한 경 접근 접근법.

Ethmoidal Sinuses

There are three ethmoidal sinuses located within the ethmoid bone:

 

Anterior Opens onto the hiatus semilunaris (middle meatus)

Middle Opens onto the lateral wall of the middle meatus

Posterior Opens onto the lateral wall of the superior meatus

They are innervated by the anterior and posterior ethmoidal branches of the nasociliary nerve and the maxillary nerve. The anterior and posterior ethmoidal arteries are responsible for arterial supply.

 

Maxillary Sinuses

The maxillary sinuses are the largest of the sinuses. They are located laterally and slightly inferiorly to the nasal cavities.

 

They drain into the nasal cavity at the hiatus semilunaris, underneath the frontal sinus opening. This is a potential pathway for spread of infection fluid draining from the frontal sinus can enter the maxillary sinus.

 

By TeachMeSeries Ltd (2020)

 

사골동

세 가지가 있습니다 벌집 부비동 사골 뼈 내에 위치한 :

 

전방 열공 반달 모양 (중간 도관)으로 열립니다.

중간 중간 도관의 측면 벽으로 열립니다.

후방 상미도의 측벽으로 열립니다.

그들은 비골 신경과 상악 신경의 전방 및 후방 사골 분지에 의해 신경 분포를 나타냅니다. 전방 및 후방 사골 동맥은 동맥 공급을 담당합니다.

 

상악동

상악동이 가장 큰 부비동입니다. 그들은 옆으로 그리고 비강 보다 약간 아래에 있습니다.

 

그들은 정면 부비동 개구부 아래의 반달 열공에서 비강으로 배출됩니다. 이것은 감염 확산의 잠재적 인 경로입니다. 전두동에서 흘러 나온 액체가 상악동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Clinical Relevance: Sinusitis

As the paranasal sinuses are continuous with the nasal cavity, an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can spread to the sinuses. Infection of the sinuses causes inflammation (particularly pain and swelling) of the mucosa, and is known as sinusitis. If more than one sinus is affected, it is called pansinusitis.

 

The maxillary nerve supplies both the maxillary sinus and maxillary teeth, and so inflammation of that sinus can present with toothache.

 

임상 적 관련성 : 부비동염

부비동이 비강과 연속적이기 때문에 상부 호흡기 감염 이 부비동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 부비동 감염은 점막의 염증 (특히 통증과 부기)을 유발하며 부비동염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나 이상의 부비동이 영향을받는 경우이를 범 부비동염이라고 합니다.

 

상악 신경 공급 상악동과 상악 치아 모두, 그 부비동의 염증으로 제공 할 수 있도록 치통 .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