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20 09 24 (목) 평화방송 미사 코의 부비동 4곳에 공기의 습도 온도 압력을 다스려주고 침의 물질대사도 다스려주어 기도의 창에 파란색 구름 나타남
작성자한영구 쪽지 캡슐 작성일2020-11-08 조회수1,589 추천수0 반대(0) 신고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 9월 24일 목요일 연중 제25주간 평화방송 오전 11시 40분 미사를 선택하여 참례하였습니다. 미사 전에 녹음하여 문자로 바꿔놓은 것을 수정하고 정리하여 저의 블로그에 올리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작업을 미사 전에 끝내려고 첨부할 자료 검색도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긴장 상태가 유지됩니다.

미사 전에 아랫배에 힘을 주어 목구멍으로 가스를 토해냅니다. 가스가 아랫배에서 식도를 통하여 목구멍으로 나옵니다. 소리가 납니다. 끝 무렵에 소리가 나지 않고 기도(氣道)로 나옵니다. 그리고 입을 크게 벌려 하품을 시도하였습니다. 처음에는 하품이 만족스럽게 나오지 않습니다. 입안에 침샘에서도 침이 조금 솟아올라 삼킵니다. 3번을 거듭하자 하품도 크게 이루어지고 입안의 혀밑샘에서 침이 많이 솟아올라 코의 비갑개 살갗 점막으로 보내고, 양쪽 귀에도 보내고 나머지는 식도로 십이지장과 소장과 대장으로 흘러들게 합니다.

미사가 시작되자 성령님께서 바로 저의 두정엽 정수리 가운데에 머물러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그리고 두 눈 사이 콧날 뼈에 머물러 만져주시는 느낌입니다. 그러자 바로 저의 심장박동 안에서 창조주 하느님의 심장박동이 고동쳐주시어 그 고동이 양쪽 허파에도 퍼져나가 양쪽 허파의 윗부분 두 곳에 머물러 고동쳐주시어 뻐근함을 느낍니다. 시작하자마자 두 눈 사이 콧날 뼈 부비동의 벌집 굴- 사골동(篩骨洞) Ethmoid sinuses- 빛의 생명과 새 생명을 주시어 죄의 상처를 없애주시고 태초의 생명으로 되돌려주신다고 상상하였습니다.

그리고 미사예물 기도가 시작되자 바로 저의 전두엽 우뇌 상단 두정엽 정수리에 오른쪽 가까운 위치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저의 오른쪽 코의 인두가 아니고, 코뼈 끝부분에서 양쪽 경사 끝에 뼈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을 주십니다. 그 뼈는 위턱뼈 굴 -상악동(上顎洞) Maxillary sinuses 의 광대뼈와 연결되므로 위턱뼈 굴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을 주시어 다스려주신다고 상상하였습니다. 그리고 다시 바로 저의 전두엽 앞이마 살갗 오른쪽 끝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이어서 아래로 내려와 저의 오른쪽 눈썹 위 끝 오른쪽 끝부분 이마뼈 골 -전두동(前頭洞) Frontal sinuses 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그리고 그곳에서 다시 오른쪽 눈꺼풀의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내려와 코뼈 양쪽 끝 먼저 위치에서 가로로 아래 눈꺼풀을 만져주시면서 오른쪽으로 옮겨가면서 다스려주십니다. 이는 눈꺼풀을 만져주시어 시신경과 청신경을 다스려주시는 것이라고 상상합니다.

 

 

그리고 저의 오른쪽 측두엽  관자놀이 위의 부분에도 머물러 주시어 만져주십니다. 오늘 미사가 진행되는 중에 미사의 내용과 관계없이 성령님이 정한 순서에 따라 계속 다스려주신다고 느꼈습니다. 오늘 다스림으로 부비동의 네 곳 중에 나비 굴 – 접형동(蝶形洞) Sphenoid sinuses –에만 머물러 만져주시지 않은 것 같습니다. 나비 굴은 부비동 맨 뒷부분 뒤통수에 가까운 위치이므로 코뼈와 연결하여 만져주시기가 어렵습니다.

그리고영성체 기도후에 성체 예수 그리스도님께 감사 기도를 드릴 때 저의 기도의 창에 옅은 파란색 구름이 나타났습니다. 오늘 코의 부비동 네 곳에 머물러 빛의 생명을 주시고 미사 처음에 두 눈 사이 콧날 뼈에 머물러 빛의 생명과 새 생명을 주시는 은혜, 벌집 굴에 머물러 다스려주신 이 모든 효과가 있었음을 가르쳐주시는 것이라고 상상하였습니다.

그리고 미사 후에도 아랫배에서 가스가 솟아올라 하품을 하고 침이 좀 많이 솟아오르는 것을 삼키도록 다스려주시었습니다. 양쪽 귀 안에서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공기의 물질대사와 침의 물질대사를 받아 오른쪽 귀에서 더 활발하게 움직이는 소리가 부드럽게 들립니다. 가스 토해내고 하품하는 것은 침을 솟아오르게 하여 그 침을 필요한 곳에 보내어 그 침을 받아 건조하였던 귀 안의 조직들의 기관이 침과 공기를 받아 활발하게 움직이게 하여 그 소리가 저의 귀에서 들리도록 하여주십니다. 이는 침의 물질대사와 공기의 물질대사가 궁극적으로는 저의 건조한 귀 내이의 조직의 기관들에 공급되어 조직의 기관들이 활발하게 움직이어서 그 효과들이 시신경과 청신경을 관할하는 측두엽에도 전달되어 귀의 청력을 회복시켜 주시는 것이라고 상상하였습니다.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도 성령님께서 미사의 내용과 관계없이 미사 중에 강력하게 부비동 네 곳의 공기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고, 가스 토해내고 하품하게 하여 입안의 혀밑샘에서 침이 솟아오르게 하여 그 침이 양쪽 귀에 흘러들고 비갑개 점막에도 보내고 나머지를 식도를 통하여 십이지장과 소장과 대장에 흘러들게 하는 다스림을 베풀어주시었다고 생각합니다. 주님 감사합니다. 이 못난 작은 이를 사랑하시어 지극하신 하느님의 뜻의 사랑을 주시어 감사합니다. 이 못난 작은 이도 하느님 뜻의 사랑으로 주님을 더욱더 사랑합니다. 지극히 높으시고 지극히 거룩하신 주님의 뜻으로 이처럼 다스려주시니 감사합니다.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 와 항상 영원히 아멘.

 

기도 중에 미사 진행 내용과 관계없이 성령님의 질서에 따라 다스려주시었다는 기도에서 약간 양쪽 옆머리가 아프게 하여주시었습니다. 이는 그렇지 않다고 알려주시는 것입니다. 미사 진행을 고려하면서 이처럼 빠르게 다스려주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아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측두엽 Temporal lobe

출처 : 위키페디아

 

The temporal lobe is one of the four major lobes of the cerebral cortex in the brain of mammals. The temporal lobe is located beneath the lateral fissure on both cerebral hemispheres of the mammalian brain.[3]

 

The temporal lobe is involved in processing sensory input into derived meanings for the appropriate retention of visual memory, language comprehension, and emotion association. Temporal refers to the head's temples.

 

측두엽은 포유류의 뇌에있는 대뇌 피질의 네 가지 주요 엽 중 하나입니다. 측두엽은 포유류 뇌의 양쪽 대뇌 반구의 측면 균열 아래에 있습니다. [3]

 

측두엽은 시각적 기억, 언어 이해 및 감정 연상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해 감각 입력을 파생 된 의미로 처리하는 데 관여합니다. 측두엽은 머리의 관자놀이에 위치합니다.

 

Structure

The temporal lobe consists of structures that are vital for declarative or long-term memory. Declarative (denotative) or explicit memory is conscious memory divided into semantic memory (facts) and episodic memory (events).[4]:194 Medial temporal lobe structures that are critical for long-term memory include the hippocampus, along with the surrounding hippocampal region consisting of the perirhinal, parahippocampal, and entorhinal neocortical regions.[4]:196 The hippocampus is critical for memory formation, and the surrounding medial temporal cortex is currently theorized to be critical for memory storage.[4]:21 The prefrontal and visual cortices are also involved in explicit memory.[4]:21

 

Research has shown that lesions in the hippocampus of monkeys results in limited impairment of function, whereas extensive lesions that include the hippocampus and the medial temporal cortex result in severe impairment.[5]

 

구조

측두엽은 선언적 또는 장기 기억에 필수적인 구조로 구성됩니다. 선언적 (설명 적) 또는 명시 적 기억은 의식적 기억을 의미 기억 (사실)과 일화 적 기억 (사건)으로 나눈 것입니다. [4] : 194 장기 기억에 중요한 내측 측두엽 구조에는 주변 해마와 함께 해마가 포함됩니다. 주변부, 해마 부 및 내 후부 신피질 영역으로 구성된 영역. [4] : 196 해마는 기억 형성에 중요하며 주변의 측두엽 피질은 현재 기억 저장에 중요한 것으로 이론화되어 있습니다. [4] : 21 시각 피질은 또한 명시 적 기억에 관여합니다. [4] : 21

 

연구에 따르면 원숭이 해마의 병변은 기능 장애를 제한하는 반면 해마와 내 측두엽 피질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병변은 심각한 손상을 초래합니다. [5]

 

Function

Visual memories

The temporal lobe communicates with the hippocampus and plays a key role in the formation of explicit long-term memory modulated by the amygdala.[4]:349

 

Processing sensory input

Auditory

Adjacent areas in the superior, posterior, and lateral parts of the temporal lobes are involved in high-level auditory processing. The temporal lobe is involved in primary auditory perception, such as hearing, and holds the primary auditory cortex.[6] The primary auditory cortex receives sensory information from the ears and secondary areas process the information into meaningful units such as speech and words.[6] The superior temporal gyrus includes an area (within the lateral fissure) where auditory signals from the cochlea first reach the cerebral cortex and are processed by the primary auditory cortex in the left temporal lobe.[citation needed]

Visual

The areas associated with vision in the temporal lobe interpret the meaning of visual stimuli and establish object recognition.[citation needed] The ventral part of the temporal cortices appear to be involved in high-level visual processing of complex stimuli such as faces (fusiform gyrus) and scenes (parahippocampal gyrus).[citation needed] Anterior parts of this ventral stream for visual processing are involved in object perception and recognition.[6]

 

Animation showing the position of the human left temporal lobe

Language recognition

The temporal lobe holds the primary auditory cortex, which is important for the processing of semantics in both speech and vision in humans. Wernicke's area, which spans the region between temporal and parietal lobes, plays a key role (in tandem with Broca's area in the frontal lobe) in speech comprehension.[7] The functions of the left temporal lobe are not limited to low-level perception but extend to comprehension, naming, and verbal memory.[8]

 

New memories

See also: Emotion and memory

The medial temporal lobes (near the sagittal plane) are thought to be involved in encoding declarative long term memory.[4]:194199 The medial temporal lobes include the hippocampi, which are essential for memory storage, therefore damage to this area can result in impairment in new memory formation leading to permanent or temporary anterograde amnesia.[4]:194199

 

기능

시각적 기억

측두엽은 해마와 소통하며 편도체에 의해 조절되는 명시 적 장기 기억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4] : 349

 

감각 입력 처리

귀의

측두엽의 상부, 후방 및 측면 부분의 인접 영역은 높은 수준의 청각 처리에 관여합니다. 측두엽은 청각과 같은 일차 청각 지각에 관여하며 일차 청각 피질을 보유합니다. [6] 1 차 청각 피질은 귀로부터 감각 정보를 수신하고 2 차 영역은 정보를 말과 단어와 같은 의미있는 단위로 처리합니다. [6] 상 측두 회는 달팽이관의 청각 신호가 먼저 대뇌 피질에 도달하고 왼쪽 측두엽의 일차 청각 피질에 의해 처리되는 영역 (측면 열구 내)을 포함합니다. [인용 필요]

비주얼

측두엽의 시각과 관련된 영역은 시각 자극의 의미를 해석하고 물체 인식을 확립합니다. [필요한 인용] 측두엽 피질의 복부 부분은 얼굴 (방추형 이랑)과 같은 복잡한 자극의 높은 수준의 시각 처리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및 장면 (해마 이랑). [필요한 인용] 시각 처리를위한이 복부 흐름의 앞부분은 물체 인식과 인식에 관여합니다. [6]

 

인간의 왼쪽 측두엽의 위치를 보여주는 애니메이션

언어 인식

측두엽은 1 차 청각 피질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의 음성과 시각 모두에서 의미론을 처리하는 데 중요합니다. 측두엽과 두정엽 사이의 영역에 걸쳐있는 베르 니케 영역은 (전두엽의 브로카 영역과 나란히) 언어 이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합니다. [7] 왼쪽 측두엽의 기능은 저수준 지각에 국한되지 않고 이해력, 이름 지정 및 언어 기억으로 확장됩니다. [8]

 

새로운 기억

참조 : 감정과 기억

내측 측두엽 (시상면 근처)은 선언적 장기 기억을 인코딩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4] : 194199 내측 측두엽에는 기억 저장에 필수적인 해마가 포함되어 있으므로이 영역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구적 또는 일시적인 전 행성 기억 상실로 이어지는 새로운 기억 형성의 손상을 초래합니다. [4] : 194199

 

Clinical significance

Unilateral temporal lesion

Contralateral homonymous upper quadrantanopia (sector anopsia)

Complex hallucinations (smell, sound, vision, memory)

Dominant hemisphere

Receptive aphasia

Wernicke's aphasia

Anomic aphasia

Dyslexia

Impaired verbal memory

Word agnosia, word deafness

Non-dominant hemisphere

Impaired non-verbal memory

Impaired musical skills

Bitemporal lesions (additional features)

Deafness

Apathy (affective indifference)

Impaired learning and memory

Amnesia, Korsakoff syndrome, KlüverBucy syndrome

 

임상 적 특성

일 측성 측두 병변

반대쪽 동음 상 사분면시 (섹터 무안시)

복잡한 환각 (냄새, 소리, 시각, 기억)

지배적 인 반구

수용 실어증

베르 니케 실어증

해부학 적 실어증

난독증

언어 기억 장애

단어 무지, 단어 난청

비 우성 반구

비언어적 기억 장애

음악 기술 장애

양측 두 병변 (추가 기능)

난청

무관심 (정서적 무관심)

학습 및 기억 장애

기억 상실증, 코르사코프 증후군, 클 뤼버-부시 증후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