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20 10 28 (수) 평화방송 미사 오른쪽 눈꺼풀을 덮어 만져주시어 코의 부비동 나비 굴과 연결하여 다스려주는 일에 관한 저의 상상과 검색 자료가 다름
작성자한영구 쪽지 캡슐 작성일2021-01-04 조회수1,236 추천수0 반대(0) 신고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 10월 28일 수요일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사도 축일 평화방송 정오 미사를 선택하여 참례하였습니다. 오늘도 미사 전에 녹음을 문자로 바꾸어 놓은 글을 수정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하느라고 시간에 쫓기었습니다. 미사 전에 서서 아랫배에 힘을 주어 가스를 토해내려고 하자 바로 입안의 침샘에서 침이 약간 솟아올라 그 침을 삼키었습니다. 그리고 다시 아랫배에 힘을 주어 가스를 토해내자 하품을 크게 하여주시어 두 눈에 약간 눈물이 고이게 다스려주십니다. 컴퓨터 작업을 오래 하면 왼쪽 눈알이 건조해지는 증세(症勢)가 계속되고 있어 눈에 눈물이 고이도록 다스려주십니다.

 

미사가 시작되자 저의 두 눈 사이 콧날 양쪽 경사 끝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이어서 바로 저의 오른쪽 눈썹 오른쪽 끝부분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그 눈썹 아래 오른쪽 끝에 있는 눈물샘을 만져주십니다. 제가 요사이 미사 중에 성령님의 다스림을 받을 때 입이 건조하여지는 것을 가끔 느낍니다. 그러므로 오늘은 그 눈물주머니에 머물러 눈물이 분비되도록 하여 그 눈물을 침과 함께 눈물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어 눈물을 양쪽 귀 안에 내이의 조직의 기관에 보내준다고 상상하였습니다. 오른쪽 눈썹의 위치는 이마뼈 굴 맨 아랫부분이므로 이마뼈 굴에 머물러 다스려주신다고 요사이 성령님께 기도 말을 드려왔습니다.

오늘은 미사 시작하자 바로 오른쪽 눈썹 오른쪽 끝과 그 아래에 머물러 다스려주시어 눈물의 분비가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다스려주신다고 상상하였습니다. 그리고 미사 중에 두 눈 사이 콧날 양쪽 경사 끝 그 뼈보다 약간 아래 위치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을 주시어 다스려주십니다. 그곳은 오른쪽 눈 아래 눈꺼풀을 가로로 오른쪽으로 옮겨가시면서 만져주시며 다스리시는 곳입니다. 이어서 바로 또 왼쪽 눈의 눈동자 위의 눈꺼풀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그러므로 이곳은 코의 부비동 나비 굴과 연결하여 다스려주시는 곳이므로 나비 굴을 다스려주신다고 상상하였습니다. 부비동의 나비 굴도 역시 공기의 습도 온도 압력을 조절하여 산소를 생성하여 혈관 안에 보내주고, 점액의 분비를 다스려주어 세균의 침범을 막아 주는 곳이라고 기억합니다. 그러므로 눈물을 다스려주시고 이어서 나비 굴을 다스려주시는 이유를 생각하여 보았습니다. 혹시 제가 새벽에 코가 막혀 잠을 깬 후에 비갑개 점막에 붙어있는 작은 침 덩어리를 뱉어내므로, 점액에 중점을 두어 다스려주시는 것일 수 있다고 상상하였습니다. 양쪽 눈 콧날 쪽에 작은 눈곱이 낀 것을 세수할 때 손으로 떼어냅니다.(첨부 : 나비 굴 참조. 임파선 – 림프액 – 배수가 이루어집니다. 후방 벌집 굴 – 사골동 - 신경과 군 날개 신경절의 눈알이 박혀있는 구멍의 가지가 나비 굴을 자극합니다.)

그리고 오늘 미사 중에‘성체성사 축성 기도’가 끝난 후에 바로 저의 아랫배에서 가스를 토해내게 하여주시고 침을 삼키도록 다스려주셨습니다. 미사 중에 재채기하게 하여주시었습니다. 미사 중에 재채기한 것은 처음입니다. 그리고 ‘영성체기도’에서도 아랫배에 힘을 주어 가스를 토해내고 입안의 침샘에서 침이 많이 솟아올라 침을 삼키게 다스려주시었습니다. 오늘의 다스림은 눈물샘에서 눈물의 분비를 촉진하여 눈물을 귀에 보내주시고, 입안의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의 침 구멍에서 침이 많이 솟아오르게 하여 그 침을 삼켜 양쪽 귀 안에 보내주고 비갑개 점막에도 보내주고, 식도로 흘러들어 십이지장과 소장 대장에 보내주신 것이 특징이라고 상상합니다. 침과 눈물의 물질대사를 다시 강조하여주시는 다스림이었다고 상상합니다.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도 이처럼 다스려주시어 성장하고 발전한 저의 영혼과 몸과 침과 눈물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는 그 새로운 생명 지식을 제가 알게 된 것과 이 모두를 주님께 바칩니다. 이 못난 작은 이를 이처럼 사랑하시어 오늘도 좀 새롭게 다스려주시니 감사합니다. 지극하신 하느님 뜻의 그 사랑으로 주님을 더욱더 사랑합니다.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 와 항상 영원히 아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끝 무렵에 입술이 건조하므로 입술에 침을 발랐습니다. 침이 충분하여 입술에 많이 바를 수가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semilunar hiatus 반달틈새, 반월열공(半月裂孔). 사골포(篩骨胞)의 전하부에 있는 열공으로 전사골봉소(前篩骨蜂巢), 상악동(上顎洞) 때로 전두동(前頭洞)이 열공을 중계하여 중비동(中鼻洞)에 개구한다. 열공(裂孔) - 상피의 층 혹은 세포 사이에 있는, 내용물이 없는 작은 틈새나 움푹 들어간 부분 (우리말 샘에서 인용) ethmoid bulla 사골포(篩骨胞), 벌집 뼈 융기.

                                                         출처 : TeachMeSeries

---------------------------------------------------

부비동

출처 : Ken Hub

작성자 : Alexandra Sieroslawska MD • 검토 자 : Dimitrios Mytilinaios MD, PhD

마지막 검토 : 2020 년 10 월 29 일

읽기 시간 : 5 분

 

상악동 (Sinus maxillaris) 위턱뼈 굴; 이미지 : 고 유선

상악동

(상악동)

부비동은 호흡기에서 호흡하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데 도움이되는 공기 구멍입니다. 그들은 비강 주위에 위치하며 모두 쌍을 이루고 때로는 대칭이며 항상 양측입니다. 네 가지 부비동 쌍이 있으며 다음과 같이 불립니다.

 

상악동 - 위턱뼈 굴

전두동 - 이마뼈 굴

접형동 - 나비 굴

사골동 - 벌집 굴

중요한 사실들

상악동 위의 벽 - 뼈 궤도

하벽 - 상악의 치조골 - 치조골(齒槽骨)

(치아의 뿌리가 박혀 있는 턱뼈의 일부. 치아의 뿌리를 둘러싸서 이를 직접 지지하는 고유 치조골과 고유 치조골을 지지하는 지지골로 이루어져 있다. : 고려대 우리말 샘

이가 박혀 있는 위턱 아래턱의 구멍이 뚫린 뼈.  :표준국어대사전 우리말 샘)

 

내측 벽 - 비강

측면 과 전방 벽 - 광대뼈

후방 벽 - 날개입천장 오목 (pterygopalatine fossa), 측두 관자 아래 오목

 

신경 분포 - 전방 위의 기포, 중간 위의, 후방 위의 신경 ( 상악 신경  가지)

혈관 화 -전방 상부 폐포- 기포, 중간 상부 폐포-기포, 후방 상부 폐포-기포 동맥 ( 상악 동맥의 가지 )

정면 부비동 전방 벽 - 이마와 눈썹의 아치

위와 뒤쪽의  벽 - 전방 두개골 오목

아래 벽 - 뼈 궤도

안쪽 벽 - 반대측의 유사부분과 연동하는 굴

 

신경 분포 - 눈구멍 위의(supraorbita)l 신경, 도르래 위의 (supratrochlear) 신경 (의 지점 안과 신경 )

혈관 신생 - 전방 벌집, 눈구멍 위의(supraorbita)l, 도르래위의(supratrocheal) 동맥 (지점 의 안 동맥 )

 

접형동 앞벽 - 비강

위 벽 - 뇌하수체 오목

아래 벽 - 비 인두와 날개 근 운하(運河)

 

자극 전달 - 후방 벌집 신경 (의 분기  코섬모체의 신경 )

혈관 신생 - 후방 벌집 후방 측 비강 동맥 (분기의 안 동맥 )

사골동 위 벽 - 전방 뇌 오목, 전두골

옆벽 - 뼈 궤도

안쪽 벽 - 비강

 

자극 전달 - 전후방 벌집 신경 (의 분기 코섬모체의 신경 )

혈관 신생 - 전후방 벌집 동맥 (의 분기 안 동맥 )

임상 관계 정맥 두염

이 기사에서는 부비동의 자세한 해부학에 대해 설명합니다.

 

내용

상악동

해부

혈관 형성, 신경 분포 및 림프절

정면 부비동

해부

혈관 형성, 신경 분포 및 림프절

접형동

해부

혈관 형성, 신경 분포 및 림프절

사골동

해부

혈관 형성, 신경 분포 및 림프절

정맥 두염

+ 모두 표시

상악동

해부

상악동 (Sinus maxillaris) - 위턱뼈 굴; 이미지 : 고 유선

상악동

(상악동)

상악동은 모든 부비동 중 가장 큽니다. 그들은 종종 상악 구치(久齒)의 긴 뿌리에 의해 관통되는 얇은 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부비동의 상부 경계는 뼈 안와, 하부는 상악 치조골과 해당 치아 뿌리, 내측 경계는 비강으로 구성되며 측면 및 전방 경계는 광대뼈에 의해 제한됩니다.(구치 : 젖니가 빠진 뒤에 나는 이와 뒤어금니를 통틀어 이르는 말. 사람은 위아래로 모두 32개가 있다. )

 

뒤쪽에는, 날개입천장 오목 (pterygopalatine fossa), 측두 관자 아래 오목 (infratemporal fossa )으로 알려진 두 개의 해부학 적 공간이 존재합니다.

 

혈관 형성, 신경 분포 및 림프절

턱밑 림프절 (Nodi lymphatici submandibulares); 이미지 : 고 유선

턱밑 림프절

( Nodi lymphatici submandibulares )

턱밑 림프절은 림프 배수 중 주요 목적지입니다. 혈액 공급에는 다음의 기여가 포함됩니다.

전방 상 폐포 동맥

중상 동맥

후상 폐포 동맥

신경 지배는 동맥과 같은 이름의 신경을 통해 발생합니다.

 

정면 부비동

해부

전두동 (Sinus frontalis) - 이마뼈 굴; 이미지 : 고 유선

전두동

(Sinus frontalis)

앞쪽으로, 앞쪽 부비동은 이마와 상 섬모 아치에 의해, 앞쪽 두개골과 뒤쪽으로, 그리고 뼈 궤도, 앞쪽 사골동 및 비강에 의해 아래쪽으로 포함됩니다. 내측 부비동은 정중선으로 분리되어 서로 마주보고 있습니다.

 

이 부비동 쌍은 서로 비교했을 때 모양이 불규칙하고 출생시 저 발달됩니다. 그들은 약 7-8 세에 완전한 크기와 형태에 도달합니다.

 

혈관 형성, 신경 분포 및 림프절

전방 사골 동맥 (Arteria ethmoidalis anterior); 이미지 : 고 유선

전방 사골 동맥

(Arteria ethmoidalis anterior)

이들은 주로 사골 근 으로 배출되며 이에 상응하는 림프 배출은 턱밑 림프절을 통해 발생합니다 . 그것은 눈구멍 위의(supraorbital) 및 도르래위의(supratrochlear) 가지를 포함하여 안과 신경에 의해 자극됩니다 .

 

전두동은 다음에 의해 공급됩니다.

 

전사 골 동맥

안와 상 동맥

supratrochlear 동맥

접형동

해부

접형동 (Sinus sphenoidalis) - 나비 굴; 이미지 : 고 유선

접형골 동

(부비동 sphenoidalis)

가장 뒤쪽 머리에 모든 부비동의는 접형골 부비동 단지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자신의 격막처럼 크고 불규칙 나비 뼈 . 측면으로 , 중두 개와의 일부인 해면 동이 존재하고 경동맥 및 뇌신경 III , IV , V / I, V / II 및 VI 가 발견 될 수 있습니다.

 

전방의 벽은 뇌하수체 오목이 하는 것처럼, 뇌하수체와 위에 있는 시신경 오목과 아래에 있는 날개 수로관으로 분리하여 비강으로부터 쌍 굴- 시누스-로  분리합니다.

 

 

혈관 형성, 신경 분포 및 림프절

림프 배수는 후 사골동과 같은 방식으로 발생합니다. 뒤 벌집 동맥 과 후방 측면 코 가지 접형골 부비동를 제공합니다.

 

뒤 벌집 신경 과의 궤도 지점신경 분포 - 눈구멍 위의(supraorbita)l 신경, 도르래 위의 (supratrochlear) 신경 (의 지점 안과 신경 )

혈관 신생 - 전방 벌집, 눈구멍 위의(supraorbita)l, 도르래위의(supratrocheal) 동맥 (지점 의 안 동맥 )

날개입천장(pterygopalatine) 신경절은 그들에게 신경을 분포시킨다.

 

 

사골동(The ethmoidal sinuses) - 벌집 굴

해부

전방 사골 동맥 (Arteria ethmoidalis anterior); 이미지 : 고 유선

전방 사골 동맥

(Arteria ethmoidalis anterior)

정맥 두염

이들은 주로 사골 근으로 배출되며 해당 림프 배출은 턱밑 림프절을 통해 발생합니다. 그것은 눈구멍 위의(supraorbital) 및 도르래 위의 (supratrochlear) 가지를 포함하여 안과 신경에 의해 자극됩니다.

 

사골동

해부

사골 세포 (Cellulae ethmoidales) - 벌집 굴 세포 : 이미지 : Samantha Zimmerman

사골 세포 (Cellulae ethmoidales)

사골동보다 위에 있는 것은 전 두개골과 전두골(머리뼈의 이마를 구성하는 뼈. 눈구멍의 윗부분을 형성하며, 마루뼈와 접해 있다. =이마뼈. )이며, 옆으로 궤도를 찾을 수있는 반면 비강은 중앙에 위치합니다. 사골동은 단일 구멍보다 더 복잡한 유일한 부비동이기 때문에 독특합니다.

 

정중선의 각면에서 3 개에서 18 개의 사골 세포가 함께 그룹화 될 수 있습니다. 이 공기 세포는 더 작은 개별 부비동으로 함께 그룹화되어 전, 중, 후 비강 부위를 포괄하는 하나의 큰 부비동을 형성합니다.

 

혈관 형성, 신경 분포 및 림프절

전방 및 중간 사골동은 림프 배수를 턱밑 림프절로 보내고 후방 사골동은 자체를 후 인두 림프절로 보냅니다.

 

전방 및 후방 사골 동맥과 후방 측면 비강 가지는이 부위에 충분한 혈액 공급을 제공합니다. 한편, 전방 및 후방 사골 신경과 후방 외측 상부 및 하부 비강 신경이 신경 분포를 돕습니다.

Google 번역을 수정 보완하였습니다.  - 도와 주어 감사합니다.

 

Paranasal sinuses

Author: Alexandra Sieroslawska MD • Reviewer: Dimitrios Mytilinaios MD, PhD

Last reviewed: October 29, 2020

Reading time: 5 minutes

 

Maxillary sinus (Sinus maxillaris); Image: Yousun Koh

Maxillary sinus (Sinus maxillaris)

The paranasal sinuses are air cavities that help circulate the air that is breathed in and out of the respiratory system. They are situated around the nasal cavity and they are all paired and sometimes symmetrical, while always being bilateral. There are four different pairs of sinuses and they are called the:

 

maxillary sinuses

frontal sinuses

sphenoidal sinuses

ethmoidal sinuses

Key facts

Maxillary sinuses Superior wall - bony orbit

Inferior wall - alveolar bone of the maxilla

Medial wall - nasal cavity

Lateral and anterior walls - cheekbones

Posterior wall - pterygopalatine fossa, infratemporal fossa

 

Innervation - anterior superior alveolar, middle superior, posterior superior nerves (branches of the maxillary nerve)

Vascularization - anterior superior alveolar, middle superior alveolar, posterior superior alveolar arteries (branches of the maxillary artery)

Frontal sinuses Anterior wall - forehead and superciliary arches

Superior and posterior walls - anterior cranial fossa

Inferior wall - bony orbit

Medial wall - contralateral sinus

 

Innervation - supraorbital nerve, supratrochlear nerve (branches of the ophthalmic nerve)

Vascularization - anterior ethmoidal, supraorbital, supratrocheal arteries (branches of the ophthalmic artery)

Sphenoidal sinuses Anterior wall - nasal cavity

Superior wall - hypophyseal fossa

Inferior wall - nasopharynx and pterygoid canal

 

Innervation - posterior ethmoidal nerve (branch of the nasociliary nerve)

Vascularization - posterior ethmoidal, posterior lateral nasal arteries (branches of the ophthalmic artery)

Ethmoidal sinuses Superior wall - anterior cranial fossa, frontal bone

Lateral wall - bony orbit

Medial wall - nasal cavity

 

Innervation - anterior and posterior ethmoidal nerves (branches of the nasociliary nerve)

Vascularization - anterior and posterior ethmoidal arteries (branches of the ophthalmic artery)

Clinical relation Sinusitis

This article will discuss detailed anatomy of the paranasal sinuses.

 

Contents

The maxillary sinuses

Anatomy

Vascularization, innervation and lymphatics

The frontal sinuses

Anatomy

Vascularization, innervation and lymphatics

The sphenoidal sinuses

Anatomy

Vascularization, innervation and lymphatics

The ethmoidal sinuses

Anatomy

Vascularization, innervation and lymphatics

Sinusitis

+ Show all

The maxillary sinuses

Anatomy

Maxillary sinus (Sinus maxillaris); Image: Yousun Koh

Maxillary sinus (Sinus maxillaris)

The maxillary sinuses are the largest of the all the paranasal sinuses. They have thin walls which are often penetrated by the long roots of the posterior maxillary teeth. The superior border of this sinus is the bony orbit, the inferior is the maxillary alveolar bone and corresponding tooth roots, the medial border is made up of the nasal cavity and the lateral and anterior border are limited by the cheekbones.

 

Posteriorly, two anatomical spaces known as the pterygopalatine fossa and the infratemporal fossa exist.

 

Vascularization, innervation and lymphatics

Submandibular lymph nodes (Nodi lymphatici submandibulares); Image: Yousun Koh

Submandibular lymph nodes (Nodi lymphatici submandibulares)

The submandibular lymph nodes are the main destination during lymphatic drainage. The blood supply includes a contribution from the:

 

anterior superior alveolar artery

middle superior artery

posterior superior alveolar artery

Innervation occurs through nerves of the same names as the arteries.

 

The frontal sinuses

Anatomy

Frontal sinus (Sinus frontalis); Image: Yousun Koh

Frontal sinus (Sinus frontalis)

Anteriorly, the frontal sinuses are contained by the forehead and the superciliary arches, superiorly and posteriorly by the anterior cranial fossa and inferiorly by the bony orbit, the anterior ethmoidal sinuses and the nasal cavity. Medially the sinuses face one another, separated by the midline.

 

This pair of sinuses are irregular in shape when compared to one another and is underdeveloped at birth. They reach their full size and shape around seven to eight years of age.

 

Vascularization, innervation and lymphatics

Anterior ethmoidal artery (Arteria ethmoidalis anterior); Image: Yousun Koh

Anterior ethmoidal artery (Arteria ethmoidalis anterior)

They drain primarily into the ethmoidal infundibulum and the corresponding lymph drainage occurs via the submandibular lymph nodes. It is innervated by the ophthalmic nerve, including the supraorbital and supratrochlear branches.

 

The frontal sinuses are supplied by the:

 

anterior ethmoidal artery

supraorbital artery

supratrochlear artery

The sphenoidal sinuses

Anatomy

Sphenoidal sinus (Sinus sphenoidalis); Image: Yousun Koh

Sphenoidal sinus (Sinus sphenoidalis)

The most posterior of all the sinuses in the head, the sphenoidal sinuses are large and irregular, just like their septum, which is made by the sphenoid bone. Laterally, a cavernous sinus exists which is part of the middle cranial fossa and also the carotid artery and cranial nerves III, IV, V/I, V/II and VI can be found.

 

The anterior wall separates this pair of sinuses from the nasal cavity, as does the hypophyseal fossa, the pituitary gland and the optic chiasm superiorly and the nasopharynx and pterygoid canal inferiorly.

 

Vascularization, innervation and lymphatics

The lymphatic drainage occurs in the same way as the posterior ethmoid sinus. The posterior ethmoidal artery and the posterior lateral nasal branches supply the sphenoidal sinuses.

 

The posterior ethmoidal nerve and the orbital branch of the pterygopalatine ganglion innervate them.

 

The ethmoidal sinuses

Anatomy

Ethmoidal cells (Cellulae ethmoidales); Image: Samantha Zimmerman

Ethmoidal cells (Cellulae ethmoidales)

Superior to the ethmoidal sinus is the anterior cranial fossa and the frontal bone, laterally the orbit can be found, while the nasal cavity is situated medially. The ethmoid sinuses are unique because they are the only paranasal sinuses that are more complex than just a single cavity.

 

On each side of the midline, anywhere from three to eighteen ethmoidal air cells may be grouped together. These air cells are smaller individual sinuses grouped together to form one large one which encompass the anterior, middle and posterior nasal meatuses.

 

Vascularization, innervation and lymphatics

The anterior and middle ethmoid sinuses send their lymphatic drainage to the submandibular lymph nodes while the posterior ethmoid sinus sends its own to the retropharyngeal lymph nodes.

 

The anterior and posterior ethmoidal arteries, as well as the posterior lateral nasal branches provide an ample blood supply to this region. Meanwhile the anterior and posterior ethmoidal nerves and the posterior lateral superior and inferior nasal nerves help innervate it.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