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20 11 25 (수) 평화방송 미사 부비동 4곳에 머물러 다스려주시어 산소 눈물 침을 귀 안으로 보내어 조직의 기관과 청신경의 상처를 없애 청력 회복시킴
작성자한영구 쪽지 캡슐 작성일2021-02-01 조회수1,101 추천수0 반대(1) 신고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 11월 25일 연중 제34주간 수요일 평화방송 정오 미사를 선택하여 참례하였습니다. 미사 전에 아랫배에 힘을 주어 가스를 토해내려고 하였으나 가스가 별로 나오지 않습니다. 침만 삼키게 다스려주시었습니다.

미사가 시작되자 저의 두 눈 사이 콧날 양쪽 끝 뼈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이어서 두정엽 정수리 가운데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을 아래로 주십니다. 부비동 벌집 굴의 역할은 공기의 습도 온도 압력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고, 기포(氣胞)를 통하여 산소를 충분히 들여 마시어 혈관 안으로 보내어 혈관 안의 피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여 상처가 있는 곳에 상처를 점진적으로 없애 주십니다. 벌집 굴을 열어주신 후에, 두정엽 정수리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을 주신다고 상상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바로 두정엽 정수리 오른쪽에서 가까운 전두엽 우뇌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아래로 빛의 생명을 주시어 다스려주십니다. 벌집 굴의 위치가 아닌 약간 아래로 내려온 콧날 양쪽 경사 끝 오른쪽 뼈끝에 머물러 연결하여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십니다. 오른쪽 약간 위의 뼈끝에서 오른쪽의 짧은 가는 막대기 모양 끝에 연결하여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이어서 저의 오른쪽 눈썹 오른쪽 끝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이 두 곳을 연결하여 만져주십니다. 이어서 저의 오른쪽 눈알 위의 눈꺼풀에 머물러 가로로 서서히 움직이면서 오른쪽 눈썹 오른쪽 눈의 끝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이어서 저의 오른쪽 눈썹 아래 왼쪽 끝에 머물러 만져주시어, 물렁 코뼈 오른쪽 경사 아래 끝 뼈 가로로 약간 나온 그곳과 짧은 수직으로 연결하여 만져주십니다. 이번에는 눈알 아래 눈꺼풀에 머물러 오른쪽으로 옮겨 가면서 아래와 위의 눈꺼풀 전부를 덮어주십니다. 눈꺼풀을 덮어주시어 나비 굴을 열어 나비 굴의 시신경과 신경계의 모세혈관 안에 산소를 흘러들게 하여 순환시키시어 산소를 저의 눈에는 시신경 안에, 귀에는 청신경 안에 보내주십니다. 미사에서 소리 내어 사제와 함께 미사 통상문 기도를 드릴 때 그 산소가 귀 안에서 움직이는 윙윙 소리가 들립니다.

그리고 오른쪽 눈썹 끝 그 바로 아래는 눈물샘이 있으므로, 침이 부족한 상황이 지속하여 눈물도 분비하여 그 눈물을 저의 귀 안으로 보내주시었다고 상상을 합니다. 그 직전에 저의 오른쪽 귀 안에서 산소의 윙윙 소리는 안 들리고, 눈물을 받아 부드럽게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움직이는 소리가 들립니다. 그 직전에는 산소가 왼쪽 귀 안에 조직의 기관 안에 유스타키오 관으로 흘러들어감에 따라, 압력이 줄어들어 일정한 간격으로 한 번씩 반복하여 좀 약하게 움직이는 소리가 들렸습니다. 3가지 공급이 즉시 반응하는 다스림을 주십니다. 이처럼 저의 귀 안에 그리고 제가 미사 중에도 침을 삼키게 다스려주시었습니다. 그 침이 저의 귀 안에 내이의 조직의 기관 안에 흘러 들어가 산소의 두 가지 기능과 눈물과 침 4가지가 동시에 귀 안에 받아들여져 내이의 조직의 기관이 움직인다고 상상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다시 두정엽 정수리에서 가까운 전두엽 우뇌 상단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오른쪽 아래로 옮겨가십니다. 오른쪽 사선으로 저의 오른쪽 눈썹 오른쪽 끝까지 연결하여 내려오시어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역시 오른쪽 그 눈썹 오른쪽 끝 뼈는 이마뼈 굴에 속하므로 나비 굴을 열어 연결하여 시신경과 신경계에 산소를 혈관 안으로 흘러 들어가게 하여, 그 산소를 귀 안으로 보내주신다고 상상하였습니다. 시신경은 느낄 수가 없습니다. 신경계에서 청신경에 산소를 공급하여 주어 귀 안에서 조직의 기관이 움직이는 소리가 들립니다.

그리고 오른쪽 눈 오른쪽 끝에 머물러 수평으로 측두엽 관자놀이 아래와 오른쪽 귀 사이로 후두엽으로 옮겨갑니다. 후두엽 뼈끝 가운데에서 두뇌 안으로 들어가면 바로 나비 굴의 위치임을 성령님께서 며칠 전 기도에서 저에게 확인하여 주시었습니다. 그러므로 지금은 나비 굴을 중점적으로 다스려주신다고 믿습니다.

미사가 끝난 후에도 침을 삼키게 하여주십니다. 침이 부족하므로 침을 귀 안에 조직의 기관에 보내주시어 산소와 눈물과 침이 동시에 그 조직의 기관을 활발하게 움직이도록 하여 귀의 청신경도 회복시켜주시고, 귀 안이 건조하여 상처가 생긴 조직과 기관도 치유하여주신다고 상상합니다. 오늘도 그 두 눈 사이 콧날 코뼈 그 물렁 코뼈 양쪽 약간 위 경사 끝 뼈에 머물러 위턱뼈 굴을 열어 연결하여 머물러 만져 다스려주셨습니다.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도 이처럼 저의 청력을 회복시켜주시기 위하여 이마뼈 굴 벌집 굴 나비 굴 위턱뼈 굴 부비동 4곳을 집중적으로 다스려주시어 감사합니다. 미사 40분과 미사 후 10분 모두 50분 동안 이처럼 다스려주시어 성장하고 발전한 저의 영혼과 몸과 다스려주시는 그 생명 지식을 조금이라도 제가 더 이해한 지식과 이 모두를 주님께 바칩니다. 녹음 기도를 드리는 지금 입술이 건조하여 침을 바릅니다. 주님 감사합니다. 이 못난 작은 이를 사랑하시어 자상하고 세밀하게 다스려주시어 저의 청력을 회복시켜주시니 하느님 뜻의 지극하신 사랑으로 주님을 더욱더 사랑합니다.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 와 항상 영원히 아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출처 : Health Jade

 

중이염 (분비성) 출처 : MSD 매뉴얼 일반인 용

(장액성 중이염)

작성자: Richard T. Miyamoto , MD, MS,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최근 전체 검토/개정 2019년 5월 9일| 최근 내용 수정일 2019년 5월 9일

요약 정보

주제 참고 자료

3D 모델 (0)

비디오 (1)

사이드바 (0)

실험실 검사 (0)

오디오 (0)

이미지 (3)

표 (0)

분비성 중이염은 중이 내 액체의 축적을 말합니다.

분비성 중이염은 급성 중이염이 완전하게 해결되지 않았거나 알레르기가 유스타키오관의 차단을 유발했을 때 나타납니다.

사람들은 병이 나타난 쪽의 귀에 먹먹함 및 일시적인 청력 손상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의사는 귀를 검사하고 고실계측법을 사용하여 이 장애의 진단을 내립니다.

의사는 고막에 구멍을 내어 액체를 빼내야 할 수 있습니다.

분비성(장액성) 중이염은 완전히 치료되지 않은 급성 중이염이나 차단된 유스타키오관(중이와 코의 뒤를 연결하는)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와 인두편도 비대가 유스타키오관 차단의 일반적인 원인입니다. 종양은 드물게 차단의 원인입니다. 분비성 중이염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으나, 소아들에서 특히나 일반적이고(소아의 분비성 중이염 참조) 수 주에서 수 개월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보통 중이의 압력은 삼킬 때 유스타키오관이 열리는 것과 같이 1분당 3번 또는 4번 정도 균일하게 됩니다. 유스타키오관이 차단되면 중이에서 산소가 혈류로 흡수되면서 중이의 압력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압력이 감소하면서 중이의 액체가 쌓이고, 이는 고막의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저하합니다.

 

증상

정상 고막

정상 고막

CLINICA CLAROS/SCIENCE PHOTO LIBRARY

 

분비성 중이염

분비성 중이염

TONY WRIGHT, INSTITUTE OF LARYNGOLOGY AND OTOLOGY/SCIENCE PHOTO LIBRARY

 

항상은 아니더라도 대개 중이 내 액체는 일부 박테리아를 포함하지만 활동적인 감염의 증상들(붉어짐, 통증, 그리고 고름과 같은)은 드뭅니다. 사람들은 보통 감염된 귀에서 먹먹함을 느끼고 삼킬 때 펑 터지는 소리나 타닥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어느 정도의 청력 상실이 흔히 나타납니다.

 

진단

의사의 평가

의사는 진단을 내리기 위해 귀를 검사합니다. 고실계측법은 액체가 중이에 존재하는지를 알아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의사들은 성인과 청소년의 콧구멍과 상부 인후를 검사하여 종양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치료

고연령 소아 및 성인의 경우 충혈 완화제

귀 내 압력을 증가시키는 수기

때때로 귀 내 배액관

대부분의 분비성 중이염을 앓는 사람들은 치료 없이도 좋아집니다. 고연령 소아 및 성인은 의사의 권고에 따라 코막힘을 줄이기 위해 페닐에프린, 수도에페드린과 같은 충혈 완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분비성 중이염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저연령 소아, 특히 2세 미만 소아의 경우에는 충혈 완화제를 피해야 합니다. 알레르기로 인한 충혈이 있는 경우, 경구 및/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코 분무제로 항히스타민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항생제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중이의 낮은 압력은 강제로 공기가 차단된 유스타키오관을 지나게 하여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입을 닫고 코를 막은 채로 숨을 뱉어냅니다(발살바법). 또는 환자가 숨을 삼길 때 의사가 한 콧구멍을 막은 채 다른 콧구멍에 특수 주사기(중이 팽창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습니다. 이 기법(폴리처통기법)은 공기를 유스타키오관과 중이로 강제로 밀어넣습니다.

 

증상이 만성으로 변한다면(1 ~3달 이상 지속), 의사는 고막에 구멍을 뚫어 중이로부터 액체를 빼내는 고막 절개술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아주 작은 배액관(조루술관—그림 고막 절개술 참조)이 고막의 구멍으로 삽입되어 액체를 빼내고 중이로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소아는 인두편도를 제거해야 할 수 있습니다(인두편도 절제술). 정상적인 언어 발달을 보장하기 위해, 오래 지속된 분비성 중이염으로 인해 장기간 청력 상실을 겪는 어린 소아들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고막 절개술: 분비성 중이염의 치료

고막 절개술 동안 의사들이 중이에서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고막을 절개하여 작은 구멍을 냅니다. 그 후 절개한 구멍을 통해 작고 속이 빈 플라스틱 또는 금속 관(고막천공관 또는 환기관)을 삽입합니다. 이 관은 외부 환경의 압력과 중이 압력의 균형을 맞춰줍니다. 의사는 재발성 귀 감염(급성 중이염) 또는 중이에 재발성 또는 지속적인 체액 축적(만성 분비성 중이염)이 있는 일부 소아에게 환기관을 권장합니다.

 

환기관 배치는 병원 또는 의사 사무실에서 실시하는 일반적인 외과 절차입니다. 보통 전신 마취 또는 진정이 필요합니다. 절차 후 소아는 보통 몇 시간 이내에 집으로 돌아갑니다. 때때로 절차 후 약 1주일 동안 항생 점이제를 투여합니다. 관은 보통 약 6~12개월 후 저절로 빠져 나오나, 일부 유형은 보다 긴 기간 동안 남아 있게 됩니다. 저절로 빠져 나오지 않는 관은 의사가 제거하고, 때때로 전신 마취 또는 진정 상태에서 제거합니다. 구멍이 저절로 닫히지 않는 경우, 외과적으로 닫아야 할 수 있습니다.

 

환기관을 삽입한 소아가 머리를 감고 수영을 할 수 있으나, 일부 의사들은 소아가 귀마개 없이 깊은 물에 머리를 완전히 넣지 않도록 권장합니다.

 

귀에서의 체액 배출은 감염을 나타내고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고막 절개술: 분비성 중이염의 치료

이관

이관

비디오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환경에서 알려진 알레르기 항원을 제거하려 노력해야 합니다. 의사들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신체 면역체계를 자극하는 치료(면역요법)를 받도록 권장할 수 있습니다.

 

분비성 중이염이 있는 사람은 환경적 압력의 변화가 귀 통증 및 손상(압력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스쿠버 다이빙 및 비행기 여행을 피하거나 미루어야 합니다. 비행기 여행을 피할 수 없다면, 어린 소아의 경우 음식을 씹거나 음료를 마시는 것(예를 들어 병 음료)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고연령 소아 및 성인의 경우에는, 흔히 중이의 압력이 동일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여러 술기에 의해 불편감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만약 비행기 상승 시와 같이 외부 압력이 감소하면, 입을 연 채로 호흡하거나 하품하거나 껌을 씹거나 삼키는 방법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만약 비행기 하강 시 또는 보다 깊은 심해로 들어가는 다이버의 경우와 같이 외부 압력이 증가하면, 코를 막고 입을 닫은 후 코를 통해 살살 불어내는 방법을 시도합니다. 이 방법은 막힌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공기를 강제적으로 내보내도록 합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