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연중 제34주간 금요일] 오늘의 묵상 (김상우 바오로 신부)
작성자김종업로마노 쪽지 캡슐 작성일2022-11-24 조회수425 추천수3 반대(0) 신고

 

 

 

 

2022년 11월 25일 금요일

[연중 제34주간 금요일오늘의 묵상 (김상우 바오로 신부)

 

오늘 복음은 무화과나무의 비유입니다.

루카 복음사가는 팔레스티나 지역의 교회 공동체를 독자로 삼지 않는다는 것이 많은 학자의 의견입니다.

그런 이유로 마태오 복음(24,32-35 참조)과 마르코 복음(13,28-31 참조)의 병행 구절과 달리,

루카는 오늘 복음 속 비유에서 무화과나무와 다른 모든 나무에까지 확대 적용하는 해석을 제시합니다.

독자가 무화과나무를 모를 수 있다는 사실을 전제한 저자의 배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병행 구절에서 마태오 복음과 마르코 복음은 종말의 사건에 집중하는데,

루카 복음은 구체적으로 하느님의 나라에 적용하여 서술합니다.

한편 마태오마르코루카곧 공관 복음서가 전하는 무화과나무의 비유에서 공통점도 나타납니다.

이와 같이 너희도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보거든”,

이 세대가 지나기 전에 모든 일이 일어날 것이다.”,

하늘과 땅은 사라질지라도 내 말은 결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등의 말씀입니다.

무화과나무에서 드러나는 현상과 징표를 보며 여름이 다가온 것을 알 수 있듯이,

예수님께서 예고하신 일들이 이루어질 때 종말 또는 하느님 나라가 다가온 줄로 알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은 사라지지 않고 모두 그대로 실현될 것이라는 의미입니다.

무화과나무의 비유가 우리에게 전해 주는 교훈은 시대적 징표를 읽을 수 있도록 깨어 있으라는 것입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오늘의 현실 속에서 하느님 나라가 완성되고 하느님의 뜻을 이 땅에 실현하려면

언제나 깨어 있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시대적 징표에 귀 기울여야 합니다.

오늘 나는 어떤 신앙인으로 살고 있습니까?

 

(김상우 바오로 신부)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