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21 11 14 주일 평화방송 미사 전에는 침샘에서 미사 중과 후에는 부교감신경 작동으로 장액성 침을 양쪽에서 집중적으로 상처에 보내주어 치유 극대화
작성자한영구 쪽지 캡슐 작성일2022-12-06 조회수218 추천수0 반대(0) 신고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흠숭 하올 삼위일체이신 우리 주님,

오늘 11월 14일 연중 제33주일 세계 가난한 이의 날 일요일 오전 11시 50분을 선택하여 평화방송 미사에 참례하였습니다. 오늘도 미사 전에 성장 과정을 기록하기 위하여 말을 글자로 바꾸어 놓은 글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작업을 마치었습니다. 제목은 붙이지 못하였습니다. 미사 전에 거실에 나가 아랫배에 힘을 주어 목구멍으로 가스를 토해냅니다. 가스가 많이 나옵니다. 오늘 아침에 대변을 보지 못하였으므로 대변이 직장에 머물러 있는 느낌입니다그러므로 가스를 계속 토해내자 눈물은 고이지 않고 침을 많이 삼키게 다스려주십니다. 생 미사를 신청한 명단과 수험생 미사 명단과 연미사를 신청한 명단이 나올 때에도 가스를 토해냈습니다. 가스를 토해내면서 침을 여러 차례 삼키었습니다. 선순환이 이루어지도록 인도하십니다. 그런데도 아래에 변화는 없는 느낌입니다. 장액성 침을 많이 삼키게 하는 것은, 대장에 굳어 있는 변에도 침을 보내어 부드럽게 하여준다고 상상하였습니다.

오늘 미사가 시작되자 저의 두 눈 사이 콧날 경사 끝 뼈 양쪽에 머물러 만져주십니다. 이어서 저의 두 눈 사이 콧날 오른쪽 경사 끝 뼈에만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저의 오른쪽 눈썹 오른쪽 끝 뼈 그 위와 연결하여 만져주시면서 다스려주십니다. 이는 이마뼈 굴이 나비 굴을 열어 나비 굴 안의 부교감신경 작동과 연결하여 침의 분비를 자극하여 장액성 침을 분비하여 죄의 상처가 있는 대장과 파생 상처가 있는 소장에 보내도록 다스려 상처를 치유하여 주신다고 느낍니다.

이어서‘감사송’이 시작되자 저의 두정엽 정수리에 머물러 만져주시고, 아래 두 눈 사이 오른쪽 경사 끝 뼈 위턱뼈 굴 안 위치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저의 전두엽 우뇌 앞이마 살갗 좌우 기준으로는 두정엽 정수리 수직선에서 오른쪽으로 4분지 1 위치에, 상하로는 전두엽 우뇌 앞이마 살갗 밑 뼈 중간 위치에 머물러, 이 들 삼각형 끝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다스려 상처를 치유하여 주십니다. 이 역시 위턱뼈 굴이 나비 굴을 열어 부교감신경 작동과 연결하여 침과 눈물을 안구가 건조한 눈에 보내는 다스림을 시작하여, 입안에 침샘 구멍에서 침이 솟아오르게 하여 그침을 삼키게 하여주십니다. 침의 선순환이 이루어져 지금 침이 부족한 비강 점막과 건조한 귀 안의 기관에 그리고 장기에 보내주어 상처를 치유하여 주십니다.

이처럼 삼각형으로 머물러 만져주시다가, 다시 저의 오른쪽 눈썹 오른쪽 끝 뼈 이마뼈 굴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위턱뼈 굴 위치 안에 있는 오른쪽 경사 끝 뼈와 연결하여 다스려주십니다. 침의 분비를, 부교감신경이 작동하여 분비를 촉진하여, 침이 부족한 비강 점막과 귀 안의 기관과 아랫배 장기에 계속 보내주는 다스림을 반복하여 주어 상처치유를 극대화한다고 상상합니다.

그리고‘영성체기도’ 후에는 두정엽 정수리 가운데에 머물러 만져주시면서 빛의 생명을 아래로 위턱뼈 굴 위치 안의 오른쪽 경사 끝 뼈에 연결하여 다스려주십니다. 이 역시 침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어 침이 부족한 파생 상처가 있는 장기와 기관에 침을 보내주어 집중적으로 상처를 치유하여 준다고 상상합니다. 오늘 미사 끝난 후에 또 화장실에 가서 소변을 보았습니다. 침의 물질대사를 다스려주시어 직장에 영향을 미쳐 직장에 치유가 이루어져 가스가 차므로, 그 가스가 오줌통을 압박하여 소변이 나왔다고 상상합니다.

흠숭 하올 우리 주 성체 예수 그리스도님.

오늘도 이처럼 성장하고 발전한 저의 영혼과 몸과 하느님 뜻의 생명을 주시어 다스려주시는 그 생명 지식을 제가 조금 더 아는 것과 이 모두를 주님께 바칩니다.

하느님 뜻 안에서 살기로 맹세한 저에게 성령님께서 저와 함께 생활하시면서, 이처럼 하느님 뜻의 생명을 주시고 다스려주시는 그 영광을 저에게 주시니 감사합니다. 주님을 더욱더 사랑합니다.

지극히 높으시고 지극히 거룩하신 하느님 뜻의 빛이 하나로 통합하는 일치의 으뜸가는 기적 안에서, 하느님은 하느님 자신의 힘으로, 이 못난 작은 이는 저를 휩싸고 있는 빛이 하나로 통합하는 일치의 힘을 더 소유하게 하여 주십니다. 하느님 뜻의 무한한 사랑으로 저를 사랑하여주시어, 저를 선택하시어 저에게 하느님 뜻의 생명을 주시고 다스려주시는 행위를, 능력과 힘을 주신 성령님께 위임하여, 저와 항상 함께 생활하시는 성령님께서 하느님 뜻의 생명을 하느님 뜻의 기본인 질서와 조화와 균형에 따라, 완벽하게 생명을 주시고 다스려주시는 단일 행위를 성령께서 저와 단둘이서 함께 하여주시는 크나큰 영광을 베풀어주십니다. 더 깊고 넓고 높고 두터운 감사를 드립니다. 하느님을 사랑합니다. 이 기쁨과 희망과 영혼의 행복과 하느님을 더욱더 확고하게 믿는 그 믿음이 저의 영혼과 마음과 정신 안에 가득 찹니다 그 가득 참 안에서 이 못난 작은 이가 온 마음 다 바쳐서 하느님께 머리 숙여 경배를 드립니다. 하느님 뜻의 사랑과 신성한 평화 안에서 하느님께 깊은 흠숭을 드리며 ‘마침영광송’을 기쁜 마음으로 하느님께 바칩니다. ‘그리스도를 통하여 그리스도와 함께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으로 하나 되어 전능하신 천주 성부 모든 영예와 영광을 영원히 받으소서. 아멘. 아멘. 아멘, 아멘. 아멘. 아멘. 아멘. 아멘. 아멘.’

영광이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처음과 같이 이제 와 항상 영원히 아멘.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작용에에 의한 내부 기관의 활동조절  


그림 출처 Pinterest

부교감신경절 전섬유는 아래 타액핵에서 발생하여 중이의 고실(鼓室)을 통과하여 귀 신경절과 연결됩니다.

신경절의 후방에 위치하는 섬유(神經節後纖維) 는 귀밑샘에 공급합니다.

 

Postganglionic fibers 신경절의 후방에 위치하는 신경섬유.

Inferior salivatory nucleus 아래 침분비핵.

Otic ganglion 귀 신경절

Tympanic cavity (중이의) 고실(鼓室).

Auriculotemporal nerve  이개측두신경(耳介側頭神經). 귓바퀴관자신경.

Lesser petrosal nerve  작은바위신경. 소추체신경.

 

그림출처 Slideshare

                                                             귀밑샘의 신경공급

Sympathetic presynaptic fibers 교감신경의 연접전 섬유

Sympathetic postsynaptic fibers 교감신경의 시냅스후 섬유

Parasympathetic presynaptic fibers 부교감 신경(계)(의) 연접전 섬유

Parasympathetic postsynaptic fibers 부교감 신경(계)(의) 시냅스후 섬유

 

External Carotid Artery 외경동맥(外頸動脈)

Parotid gland 귀밑샘

Lesser Superficial petrosal nerve 작은 표피성 측두신경

Tympanic Plexus 고실신경총(鼓室神經叢)

Tympanic Branch (Nerve of Jacobson)야콥손 고실신경 가지

Glossopharyngeal nerve 혀인두신경, 설인신경

Superior Cervical Ganglion 상경부(上頸部)신경절

 

신경

출처 : StatPearls [인터넷].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이하선 - 귀밑 샘-을 자극합니다. 교감신경분포는 혈관수축을 일으키고 설인두신경(CN IX)의 부교감신경분포는 타액을 분비한다[5] 부교감신경 섬유는 수질의 하타액핵에서 시작하여 경정맥공을 통해 하신경절로 이동합니다. 고막 또는 야콥센 신경이라고 하는 설인두 신경의 작은 가지가 중이 내에서 고막 신경총을 형성합니다. 이 신경절전 섬유는 작은 페트로살 신경이 되어 난원공을 통해 빠져나가기 전에 중두개와를 통과합니다. 그들은 귀 신경절에서 시냅스하고, 신경절 후 부교감 신경 섬유는 귀 측두 신경과 결합하여 귀밑샘을 자극하여 타액을 분비합니다.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ACh)과 노르에피네프린(NE)은 귀밑샘 내에서 작용합니다. ACh는 muscarinic 수용체에 결합하여 acinar 활동과 ductal transport를 자극합니다. 또한 2차 메신저 활동을 사용하여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키는 이노시톨 삼인산을 생성합니다. 결과적으로 타액 분비가 증가합니다. 노르에피네프린은 신경절 후 교감 신경 섬유를 통해 타액선으로 교감 신경 자극을 전달합니다. 교감 신경 유출은 타액을 두껍게 만듭니다. NE는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아데닐산 사이클라제 2차 메신저 시스템을 활성화하여 cAMP, 인산화 단백질 및 활성화 효소를 생성합니다.

안면 신경은 귀밑샘을 통과하여 표정 근육에 운동 공급을 제공하지만 샘에 신경 분포를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