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3.09.19)
작성자김중애 쪽지 캡슐 작성일2023-09-19 조회수523 추천수5 반대(0) 신고

 

2023년 9월 19일

연중 제24주간 화요일

사제가 된 후,

다른 나라에 참 많이 다녔습니다.

해외 성지순례도 꽤 많이 다녔고,

한인교회에 강의를 위해

다녀온 적도 많습니다.

또 친구와 가족과 여행했던 적도 있습니다.

이렇게 많이 다닌 것을 아는 어떤 분이

제게 가장 기억나는 나라는

어디였냐고 물었습니다.

이스라엘 성지순례도 좋았고,

성모 발현지 순례도 좋았습니다.

그러나 그 어떤 곳보다도

가장 기억에 많이 남는 1등은

안식년 때 신부들과 함께했던

유럽 여행인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당시에 허리가 너무 아파서

고생을 많이 했기 때문입니다.

여행 중에 허리를 삐끗했는데,

함께하는 열흘 동안 허리가 아파서

제대로 걷기도 힘든 것입니다.

그러나 같이 간 신부들에게 피해 주지

않으려고 진통제 먹으면서 버텼습니다.

당시에는 너무나 괴로운 시간이었지만,

지나고 나니 잊지 못할 여행이 되었습니다.

허리가 아파도 꾹 참으면서 계획했던 곳을

빠지지 않고 다 다녔고,

그래서인지 그 장소들도 더 기억에

선명하게 남습니다.

사실 우리는 쉽고 편한 것만을 찾습니다.

또 별 어려움 없이 편안하게 지내길 원합니다.

하지만 기억에 남을까요?

오히려 강한 인상이 남았던 때는

어렵고 힘들 때였습니다.

그리고 훗날 그날을 바라보며 미소 지으며

지금 더 힘을 내며 살 수 있습니다.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편하고

쉬운 것만을 주시지 않습니다.

너무나 힘든 고통과 시련도

자주 우리에게 주십니다.

그때 주님께 불평불만을 해서는 안 됩니다.

오히려 ‘지금 내게 잊지 못할 시간을

또 주시는 구나.’라고 생각한다면 어떨까요?

그리고 그 어려움 속에서 당신의 영광을

드러내신다는 굳은 믿음을 갖는다면,

포기와 좌절이 아닌 희망을 좇을 수 있는

우리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나인이라는 고을에 가셨다가

장례 일행을 만나게 됩니다.

특히 아들을 잃고 슬피 우는

어머니를 보시게 되지요. 이때

“울지 마라.”면서 직접 위로해주십니다.

그리고 이미 죽어서 관 속에 있는 이에게

“젊은이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라고 명령하시자,

죽은 이가 앉아서 말을 하기 시작합니다.

과부라고 표현된 것을 보면,

이미 남편을 잃은 상태였습니다.

여기에 사랑하는 아들까지 잃었으니

그 슬픔이 얼마나 대단했을까요?

그러나 주님은 이 슬픔과 아픔을 외면하지 

않으신다는 것을 보여주십니다.

고통과 시련은 우리를 좌절과

절망에 빠지게 합니다.

하지만 주님은 우리가 이 상태에

계속 머무르길 원하지 않으십니다.

오히려 당신의 손길을 느끼면서

희망을 바라볼 수 있기를 원하십니다.

주님 사랑에 감사하면서 잊지 못할 순간을

마음 깊이 간직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오늘의 명언

인생을 사는 데는 딱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내게 주어진 모든 것이 기적인 듯 사는 것’,

또는 ‘아무 것도 기적이 아닌 듯 사는 것’

(알버트 아인슈타인)

사진설명: 젊은이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