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 7. 우리는 누구의 이웃이어야[3/4] / 상경기[3] / 공관복음[82]
작성자박윤식 쪽지 캡슐 작성일2023-10-05 조회수245 추천수1 반대(0) 신고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7. 우리는 누구의 이웃이어야[3/4](루카 10,29-37) / 부스러기 복음[82]

 

그것은 그들은 받고 내가 주는조건 없이 베푸는 사랑이 아니라, 어쩌면 그들도 받고 나도 받는외형적이고도 계산적으로만 보여주려는 사랑이 되기도 한다. 율법 학자는 이웃에 대한 이런 가진 자만이 가지려는 이 관행적으로 내려온 단순 논리로, 너는 나만큼 알고 있는가?’ 라며 건방지게 도전하는 것이었다. 사실 사랑과 자비를 베푸는 관점에서 누가 나의 이웃이냐?’ 라는 질문은 달리 말해, ‘우리는 누구의 이웃이 되어 주어야 하느냐?’ 와 일맥상통하는 질문이다. 그래서 예수님께서는 그 율법 학자의 물음에 대해 아주 구체적인 예를 들어 명쾌히 설명하셨다. 율법적으로 맞대응하면 또 다른 논쟁의 소지만 만들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분은 이런 소인배들과의 논쟁에만 매달릴 만큼 많은 시간을 가지시지 않으셨기에. 그렇게 그분께서는 우리 인류의 구원 사업을 위해 할 일이 너무나 많으셨다. 그래서 실제 상황을 들어 그 소인배인 율법 학자의 질문에 화답하셨다.

 

예루살렘에서 예리코로 향하는 행인이 있었는데, 그는 산적을 만나 가진 것은 다 빼앗기고 초주검이 될 정도로 두들겨 맞았다. 이 행인의 현재 상황은 어떤 처지인가? 누군가가 도와야 할 처지이다. , 누가 이 행인을 도왔는가? 예수님은 이 이야기에 세 사람을 등장시킨다. 이 세 사람 모두가 다 초주검이 된 행인의 주위를 지나간다. 사제와 세리, 그리고 사마리아 사람이었다. 사제는 아마도 미사 집전하러 가다가 볼 수도 있었고, 세리는 세금을 거두어서 돌아가고, 사마리아 사람은 일하러 가는 중일 수도 있었다. 다만, 세 사람의 직업은 분명히 달랐다. 그리고 사회적 지위나 신분 정도도 다 달랐다.

 

사제는 가다가 보고서는 피해서 달아났다. 분명히 초주검 상태인 사람이 쓰러져 있었는데도 멀리서 보고는 피해 달아났다. 왜 달아났을까? 사제는 쓰러져있는 이 행인의 꼬락서니가, 혹시 죽은 사람이 아닐까 하여 달아났는지도 모른다. 성스럽다고 여기는 미사 집전을 시신을 보고는 지낼 수 없을 것이라는 사제다운 율법 논리를 가졌을 수도 있다. 그래서 차마 다가가서 그 시체를 직접 확인해야 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으리라. 이런 혹시나 하는 마음에서, 그는 생각으로만 보고는 피하여서, 그의 갈 길을 재촉하였는지도 모른다. 그는 극도의 도움이 필요한 행인을 가다가 먼 거리에서 보고는, 부정을 타지 않으려고 보고는 지레짐작하고 달아났다고 여겨진다. 미사 집전을 충실히 수행하고자 제 갈 길을 재촉한, 사제 본연의 본분을 지킨 진정한 사제일 수도 있다.

 

한편, 세리는 어떠하였을까? 그는 가다가 다가가서 보고는 피해서 달아났다. 가서 보고는 분명히 초주검인 걸 확인하고 달아났다. 왜 다가가서 보았을까? 그 시각에 재수 사납게 그 꼴사나운 것을 목격한 것에 대한 두려움에서, 다가가 보았다라고 하면 혹시라도 후일을 위한 알리바이라도 건질 수 있는 막연한 생각을 했을 것이다. 그래서 그는 확인하고는, 이 정도면 자신의 지나침조차 모르는 초주검 그 자체라는 상태인 것을 확신하고 달아났던 게 아니었을까? 계산이 빠른 그에게는 그렇게 확인이 필요했고, 그리고는 안심하여도 될 것으로 믿어 달아났을 수도. 아무튼 세리는 행인의 그 어려움 처지를 안중에 두지 않고, 오라 가라 귀찮게 구는 나중의 난처함에 처할 것을 생각하여 다가가서 확인까지 하고는 피해 달아났던 것이다.

 

, 착한 사마리아 사람은 어떻게 하였을까? 그는 가다가 보고는 혹시나 하였지만, 즉시 지체 없이 다가갔다. 그리고는 그 행인의 초주검 상태에 대해 측은한 생각이 들어, 그 자리에서 응급 치료를 하고는 자기 나귀에 싣고 가까운 여관으로 데리고 가 밤새도록 치료를 하였다. 그리고는 이튿날 아침 갈 길이 바빠 여관 주인장한테 행인의 치료를 부탁하고는, 가진 돈 두 데나리온을 치료비에 보태어 쓰라고 주었다. 두 데나리온은 우리네 돈 가치로는 이틀분의 노임에 해당하는 금액이었다. 그리고 치료비가 더 들면, 돌아오는 길에 부족한 것을 갚아 주겠다고 약속까지 하고는 길을 떠났다.[계속]

 

[참조] : 이어서 ‘8. 우리는 누구의 이웃이어야[4/4](루카 10,29-37)’가 소개될 예정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사마리아 사람과 유대인과의 관계를 한번 이해해 볼 필요가 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사제,세리,사마리아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