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성 암브로시오 주교학자 기념일
작성자조재형 쪽지 캡슐 작성일2023-12-06 조회수458 추천수4 반대(0)

세도나 여행 중에 형제님께서 기꺼이 사진봉사를 해 주었습니다. 세도나 여행안내를 600번 하셨다는 형제님은 사진 찍기 딱 좋은 장소를 잘 아셨습니다. 산행이 힘들 때면 잠시 쉬어가면서 사진을 찍어 주었습니다. 그런데 그런 장소는 모두 사진 찍기 좋은 곳이었습니다. 여행을 마치고, 숙소에 돌아와서 사진을 감상하는 것도 즐거움이었습니다. 스치는 순간 속에 잊고 지나갔던 곳들도 새록새록 생각났습니다. 사진을 보면서 한 자매님은 구름 속에서 천사의 얼굴을 보았습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구름이 마치 천사 같았습니다. 그러면서 자매님은 자신의 체험을 나누어 주었습니다. 12년을 키우던 ‘Happy’라는 강아지가 죽었다고 합니다. 3년이 지난 뒤에 너무 보고 싶어서 하느님께 한번만 보여 달라고 기도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하늘을 보았는데 하늘에 죽은 ‘Happy’ 모습의 구름이 있더랍니다. 신기해서 사진을 찍었고, 저희에게도 사진을 보여주었는데 구름의 모습에 예쁜 강아지의 얼굴이 보였습니다. 이성과 과학, 논리와 자본에 익숙한 우리들은 어쩌면 우리들 내면에 있는 감성과 열정, 순수와 희망을 잃어버리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오늘은 지난번 김재덕 베드로 신부님의 강의 중에 향유를 부은 여인에 대해서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향유를 부은 여인의 이야기는 4복음에 공통으로 나옵니다. 그만큼 그 내용이 초대교회의 신앙인들에게 중요했다는 의미입니다. 마태오, 마르코, 루카는 향유를 붙는 것에 초점이 있다면 요한복음은 향유를 붙고 머리카락으로 닦아낸다고 합니다. 요한복음에만 독특한 것은 향유를 몸에서 닦아주는 것입니다. 다윗 왕이 어느 날 궁중의 보석 세공인을 불러 명했습니다. “날 위해 아름다운 반지를 하나 만들되 거기에 내가 전쟁에서 큰 승리를 거두어 환호할 때 교만하지 않게 하고, 내가 큰 절망에 빠져 낙심할 때 결코 좌절하지 않고 자신에게 큰 용기와 희망을 줄 수 있는 글귀를 새겨 넣으라.” 이에 세공인은 아름다운 반지를 만들었지만, 정작 거기에 새길 글귀가 떠오르지 않아 고민 끝에 지혜롭기로 소문난 솔로몬 왕자를 찾아가 도움을 청했습니다. “왕자님 왕이 큰 기쁨을 절제케 하는 동시에 크게 절망했을 때 용기를 줄 수 있는 글귀라면 어떤 것이 있을까요?” 이때 솔로몬 왕자는 잠시 상념에 잠기더니 이내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또한 지나가리라.” 발에 묻어 있는 향유를 마리아가 닦는 행위는 예수님께서 부활하시리라는 것을 드러낸다고 합니다. 향유를 붙는 것이 장례를 상징한다면, 닦는 것은 부활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도 이 또한 지나가는 것이라고 하겠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이 여자를 그냥 놔두어라. 그리하여 내 장례 날을 위하여 이 기름을 간직하게 하여라.” 여기서 간직하다.’는 희랍어 원문은 지켜보다는 뜻도 있습니다. 여기서 지켜본다는 것은 시점이 현재에 있습니다. 간직한다는 것은 시점이 미래에 있습니다. 주님께서 계시지 않는 시간이 올 때, 기름을 간직해야 합니다. 주님의 말씀을 간직하는 삶을 선택해야 합니다. 주님의 말씀을 잘 지켜보는 것을 통해서 믿음을 지켜야 합니다. 기름을 부은 행동이 복음과 같습니다. 유다는 그것을 낭비라고 보았습니다. 복음은 계속 낭비하는 것입니다. 계속 나누는 것입니다. 복음은 그렇습니다. 진짜 사랑하는 사람에게 낭비하지만 하나도 아깝지 않습니다. 사랑하면 퍼주어도 아깝지 않습니다. 요한복음에서는 예수님이 계시지 않는 날에 간직할 것은 주님의 말씀입니다. 예수님이 계셔도 그 말씀을 지켜보면서 살아야 합니다. 하느님의 말씀은 생명과 같습니다. 믿음은 들음에서 오고, 들음은 하느님의 말씀에서 옵니다. 주님의 말씀을 간직하고, 지켜보아야 하는 것은, 가장 힘들 때 나를 지켜 주시기 때문입니다. , 명예, 권력에 의지해서는 안 됩니다.

 

신앙을 간직하고 살면 믿음을 간직하고 살면 향유가 퍼지듯이 우리를 통해 하느님의 향기가 전해집니다. 하느님의 말씀은 더 큰 힘을 드러냅니다. 향유를 부은 마리아를 통해서 여러 가지를 묵상할 수 있습니다. 봉헌하는 마리아의 모습. 십자가 죽음의 의미로 받아 주시는 예수님의 마음. 가장 절망 적일 때 붙잡아야 할 것은, 주님의 말씀입니다. 힘들 때 주님의 말씀을 지켜보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하느님의 은총이 향기가 될 것입니다. 나는 어떤 향기를 내고 있을까요? ‘인색, 교만, 시기의 냄새를 내고 있지는 않는지요? 향유는 하느님의 말씀입니다. 간직할 때 예수님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말씀의 향기가 온 집안을 채울 것입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