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이영근 신부님_2024년 5월 20일 월요일 ·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작성자최원석 쪽지 캡슐 작성일2024-05-20 조회수74 추천수4 반대(0) 신고

 

제1독서
▥ 창세기의 말씀 3,9-15.20 

 

사람이 나무 열매를 먹은 뒤, 주 하느님께서 그를 

9 부르시며, “너 어디 있느냐?” 하고 물으셨다. 

10 그가 대답하였다.
“동산에서 당신의 소리를 듣고 제가 알몸이기 때문에 두려워 숨었습니다.”
11 그분께서 “네가 알몸이라고 누가 일러 주더냐? 내가 너에게 따 먹지 말라고 명령한 그 나무 열매를 네가 따 먹었느냐?” 하고 물으시자, 

12 사람이 대답하였다.
“당신께서 저와 함께 살라고 주신 여자가 그 나무 열매를 저에게 주기에 제가 먹었습니다.”
13 주 하느님께서 여자에게 “너는 어찌하여 이런 일을 저질렀느냐?” 하고 물으시자, 여자가 대답하였다.
“뱀이 저를 꾀어서 제가 따 먹었습니다.”
14 주 하느님께서 뱀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이런 일을 저질렀으니 너는 모든 집짐승과 들짐승 가운데에서 저주를 받아 네가 사는 동안 줄곧 배로 기어 다니며 먼지를 먹으리라.
15 나는 너와 그 여자 사이에, 네 후손과 그 여자의 후손 사이에 적개심을 일으키리니 여자의 후손은 너의 머리에 상처를 입히고 너는 그의 발꿈치에 상처를 입히리라.”
20 사람은 자기 아내의 이름을 하와라 하였다.
그가 살아 있는 모든 것의 어머니가 되었기 때문이다. 

 


복음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 19,25-34 

 

그때에 

25 예수님의 십자가 곁에는 그분의 어머니와 이모, 클로파스의 아내 마리아와 마리아 막달레나가 서 있었다.
26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어머니와 그 곁에 선 사랑하시는 제자를 보시고, 어머니에게 말씀하셨다.
“여인이시여, 이 사람이 어머니의 아들입니다.”
27 이어서 그 제자에게 “이분이 네 어머니시다.” 하고 말씀하셨다.
그때부터 그 제자가 그분을 자기 집에 모셨다.
28 그 뒤에 이미 모든 일이 다 이루어졌음을 아신 예수님께서는 성경 말씀이 이루어지게 하시려고 “목마르다.” 하고 말씀하셨다.
29 거기에는 신 포도주가 가득 담긴 그릇이 놓여 있었다.
그래서 사람들이 신 포도주를 듬뿍 적신 해면을 우슬초 가지에 꽂아 예수님의 입에 갖다 대었다.
30 예수님께서는 신 포도주를 드신 다음에 말씀하셨다.
“다 이루어졌다.”
이어서 고개를 숙이시며 숨을 거두셨다.
31 그날은 준비일이었고 이튿날 안식일은 큰 축일이었으므로, 유다인들은 안식일에 시신이 십자가에 매달려 있지 않게 하려고, 십자가에 못 박힌 이들의 다리를 부러뜨리고 시신을 치우게 하라고 빌라도에게 요청하였다.
32 그리하여 군사들이 가서 예수님과 함께 십자가에 못 박힌 첫째 사람과 또 다른 사람의 다리를 부러뜨렸다.
33 예수님께 가서는 이미 숨지신 것을 보고 다리를 부러뜨리는 대신,
34 군사 하나가 창으로 그분의 옆구리를 찔렀다.
그러자 곧 피와 물이 흘러나왔다.

 

 

 

 

<교회의 어머니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이제 성령강림대축일을 끝으로 부활시기를 마치고, 연중시기를 다시 시작하면서,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기념일을 지내는 것은 매우 의미가 깊습니다. 

이는 새롭게 탄생된 첫 교회를 어머니의 보호 아래 맡기신 까닭입니다. 

 

‘교회의 어머니’라는 호칭은 이미 교부시대 때부터 사용되었는데, 성 아우구스티노는 '그리스도 지체들의 어머니'라고 하였고, 성 레오 대교종은 '교회의 지체들의 어머니'라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오로 6세 교종께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인류의 빛」을 반포(1964년)하시면서 성모님께 이 호칭을 부여하셨습니다. 

이 보호의 원천은 오늘 복음에서 보여주고 있듯이, 마리아와 우리를 어머니와 아들의 관계로 만들어 주신 예수 그리스도이십니다.

곧 예수님의 명으로 마리아는 믿는 이들의 공동체인 ‘교회의 어머니’가 되십니다. 

예수님께서는 말씀하십니다.
"여인이시여, 이 사람이 어머니의 아들입니다."

"이분이 네 어머니시다."

(요한 19,26-27)

여기에서는 예수님의 십자가가 예수님의 고통과 믿음을 동시에 드러나고 있듯이, 십자가 밑에 서 계시는 성모님의 모습에서도 성모님의 고통과 믿음이 동시에 드러납니다. 

그리하여 성모님께서는 그리스도의 고통과 죽음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시면서 예수님의 공통과 믿음에 완전한 일치를 이루시고, 하느님의 구원계획에 깊이 참여하십니다. 
그토록 성모님께서 하느님에 대한 신뢰로 십자가 아래에 서 계십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십자가의 죽음이 실패요 패배로 보이지만, 어머니께서는 그 속에서도 승리를 보고 계십니다.

아들의 죽음 앞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으시고, 믿음으로 꿋꿋이 서 계십니다.

예수께서는 십자가에서 고통 받으시고 화해를 이루시며, 동시에 성모님께서는 십자가 밑에서 고통을 받으시며 화해를 이루십니다.

그리하여 하느님의 구원계획에 깊이 참여하시며, 아버지의 뜻의 완성에 협조하십니다. 

사실 오늘도 우리는 예수님의 십자가 아래 서 계시는 성모님을 만납니다.

우리도 언제나 믿음으로 서 있어야 할 일입니다.

불신과 불목을 떨치고 신뢰로 서 있어야 할 일입니다.

서로를 믿고 신뢰하는 일, 그만큼 위대한 일은 없을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인간을 구원하고자 하시는 하느님의 신비 안에서 살아가야 할 일입니다.

그것은 하느님의 사랑에 대한 신뢰와 의탁입니다.

십자가 아래에서도 꿋꿋이 서 있는 믿음입니다.

그것은 고통 속에서도 그분의 현존에서 사랑을 배우는 일입니다.

 

곧 성모님과 함께 그리스도의 신비를 사는 것입니다.

'말씀을 따르신 성모님'과 함께 살아가는 것이요, '말씀이 이루어지리라 믿으신' 그 믿음을 따라 살아가는 일입니다.

 

그리하여 우리에게도 복된 일이 벌어집니다.

바로 우리의 어머니요 교회의 어머니 되신 일이 벌어집니다.

 

아멘.

 

<오늘의 말·샘 기도>

 

'군사 하나가 창으로 그분의 옆구리를 찔렀다.

그러자 곧 피와 물이 흘러나왔다.'

(요한 19,34)

 

주님!

당신께서는 휘장을 찢으시고 가로막힌 모든 것을 치우셨습니다.

남김없이 쏟아 부은 물과 피로 우리의 영혼을 씻으셨습니다.

온 누리를 새로 지으시고 아버지의 향기를 가득 채우셨습니다.

사랑의 옥함인 당신 몸을 부수어 사랑의 향유로 온 세상을 기름칠하셨습니다.

오늘, 그 누구도 떼어놓을 수 없는 당신 사랑에 제 영혼이 뛰놀며 찬미의 노래를 부르게 하소서.

아멘.

 

- 양주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회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