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2025.05.11)
작성자김중애 쪽지 캡슐 작성일2025-05-11 조회수47 추천수4 반대(0) 신고

 

2025년 5월 11일

부활 제4주일

지난주 우리 성당에서는 교구에서 주

최하는 꽃봉오리 그림대회가 열렸습니다.

‘성당에서 가장 기뻤던 순간’이라는

주제였지요. 어떻게 그리는지 둘러보는데,

크레파스로 열심히 그림 그리는 아이의

모습에서 어렸을 때의 한 장면이 생각났습니다.

초등학교 1학년 때, 소풍 가서

그림대회가 있었습니다. 크레파스로

열심히 그림을 그리고 있었는데,

너무 힘을 주었을까요? 크레파스가

뚝 하고 부러진 것입니다. 그 순간

저절로 눈물이 났습니다. 그림대회 간다고

어머니께서 사주신 새 크레파스였거든요.

그런데 가장 큰 이유는 이 크레파스가

부러졌으니 더 이상 그림을 그릴 수

없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울고 있는

제게 선생님께서 다가오셨고 크레파스

부러진 것 때문에 울고 있다는 것을

아시고는 이렇게 말씀하신 것이

기억납니다. “부러져도 그릴 수 있어.”

크레파스가 부러졌다고 색이 나오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약간의 불편함이

있을 수는 있지만, 별문제 없이

색칠할 수 있고 또 실제로 그림을

다 그릴 수가 있습니다.

우리 삶에서도 부러짐의 체험을 할 때가

있습니다. 예기치 않은 병에 걸렸을 때,

실패의 경험을 하게 될 때,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느낄 때 등이 바로 부러짐의

체험을 할 때였습니다.

그렇다면 이 순간 아무것도 할 수 없을까요?

삶 자체가 아무런 의미가 없고, 살 수 없는

것일까요? 특히 하느님의 사랑은 절대로

끊어지지 않습니다. 우리가 어렵고 힘들다면

그럴수록 더 큰 사랑으로 다가오십니다.

다시 힘을 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십니다.

오늘은 성소주일로 특별히 사제,

수도자, 선교사 성소의 증진을 위한 날입니다.

“내 양들은 내 목소리를 알아듣는다.”라고

말씀하셨듯이,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는 날인 것입니다.

특별한 사람에게만 부르심이 주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하느님께 충실하면서,

특히 능력과 재주가 많아야 부르심이

주어지는 것처럼 생각하지요. 그러나

그 부르심은 우리가 생각하는 특별한

사람에게만 주어지지 않습니다.

예수님께서 직접 선택하고 부르셨던

제자들 역시 특별하지 않음을,

오히려 부족함이 많았다는 것을

기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르심에 응답하는 사람은 하느님의

사랑을 잊지 않는 사람입니다.

부러짐의 체험 속에서도 하느님의

사랑을 굳게 믿고 힘차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사람이었습니다.

사제, 수도자, 선교사 성소가

아니더라도 우리 모두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느님의 사랑을 잊어버리고,

그 안에 머무르려고 하지 않으면 제대로

응답할 수 없습니다. 영원한 생명을

주시는 하느님의 부르심에 제대로

응답하는 우리가 되어야 합니다.

오늘의 명언

부모의 사랑은 완전하다.

그 사랑은 자녀가 성공하든

실패하든 변하지 않는다.

(에리히 프롬)

사진설명: 성소주일입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