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Re:(183) 푸세식
작성자유정자 쪽지 캡슐 작성일2004-10-01 조회수797 추천수6 반대(0) 신고

푸세식!

오늘 아침 이 글을 읽고서 터지는 웃음속에서 추억에 잠기는 시간 가졌습니다.

그리 아름답지도 향내나지도 않는 추억이긴 했지만 그래도 사람사는 냄새가 나는 추억이긴 합니다.

지금도 이 서울바닥에 푸세식에서 사는 사람들 아직도 많습니다.

가끔 길을 가다보면 수거차가 작업하고 있는걸 보면 알 수가 있지요.

 

우리도 81년도에 이 동네에 집을 사서 오기전까지는 푸세식 셋집에서 살았습니다.

주인집은 집안에 수세식이 있고 여러 가구 세든 사람들을 위한 화장실은 바깥 안마당 한 귀퉁이에 있는 푸세식이었습니다.

 

그런데 사람은 참으로 환경의 지배를 받는 존재입니다.

푸세식에서 살 때는 그런대로 살았는데 수세식에 익숙해지다 보니 어쩌다 시골가면 정말 고역이었죠. 그래서 두가지가 절충된 이웃집 화장실로 가곤 했는데 지금은 우리 시댁에도 집안에 수세식을 해 놓아 고역을 면했습니다. 그래도 시골은 바깥에 푸세식 변소를 더 보유하고 있지요. 왜냐하면 거름이 꼭 필요한 곳이 있기 때문입니다

 

내가 고향 떠난게 열한살때였는데 아마 그 나이 안쪽이었을 겁니다.

동네에 나보다 두 살 위인 아이가 있었는데 그 오빠가 항시 똥베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름이 영분이었는데 왠지  똥분이라고 부르는데 그것도 어쩌다고 대개 똥벵이 아니면 똥베이라고 불렀습니다. 그 집 마당끝에 포도나무 한 그루가 서 있었습니다.

시골 촌구석에서 포도라곤 그림을 통해서만 볼 수 있을때, 알알이 매달린 포도알은 어린 내게 너무도 신기하기만 했죠.

 

어느날 난 그 포도나무 밑에 서서 주위를 살폈죠.

아직 익지도 않은 새파란 포도알을 따먹고 싶은 유혹을 못이겨 도둑 고양이처럼 주위를 살피다가 포도송이를 막 웅켜 쥐려는 순간 이 기집애야 하는 고함소리에 너무 놀라 쳐다보니 그 똥벵이가 거적떼기 변소문을 쳐들고서 그 푸세식 변소에 웅크리고 앉은채 소리소리 지르며 노려보고 있었습니다.

그 애가 그냥 앉아 소리만 지르고 있는걸 보면 아직 일이 끝나지 않은게 분명한데 어린 난 그만 너무 놀라 후다닥 도망쳤는데 잠시 후에 그 애가 쫓아오며 소리 소리 지르는 겁니다. 그 기세가 어찌나 무서웠던지.....

 

두리번대며 주위를 살피던 도둑고양이같은 내 꼴을 시종 지켜보았을 그 아이가 얄밉고 게면적은 마음에  나도 도망치며 속으로 같이 소리를 질렀는데 그 말은 이솝의 우화에 나오는 여우처럼 에이! 시고 떫을 그까짓 포도 하나 가지고 되게 유세하네! 이 똥벵아! 였습니다.

 

옛날 어른들이 늘 하던 말이 떠오릅니다.

자기 똥을 3년만 못 먹으면 죽는다던 말.......

내가 어릴때는 비료보다 인분과 퇴비를 훨씬 더 많이 썼습니다.

동네마다 퇴비 썩히는 냄새가 났고 두엄더미가 집집마다 마당가에 있었습니다.

변소옆에 붙은 잿간에는 아궁이에서 나온 재를 쌓아놓고 긴 막대에 두레박처럼 통을 매달아 변소에서 국물을 퍼올려 재와 함께 반죽을 하곤 했지요.

그 일은 늘 머슴일 하는 아저씨가 했습니다.

 

그리고 가지밭이나 원두밭에 있는 호박이나 참외 수박 오이에는 포기마다 옆에 구덩이를 파고 인분을 주었는데 그래서인지 요즘의 맛과는 다르게 달고도 깊은 맛이 있었습니다. 요즘 딸기넝쿨에는 설탕물을 탄 물을 주어 키운다는 말을 들었는데 정말인지 모르겠네요. 아무튼 단 맛의 느낌이 옛날과 지금이 다른것 같습니다.

 

사람이 사는데 가장 기본적인 3대 요소가 무어라 생각하세요?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는거  이 세 가지만 해결되면 대충 인생 꾸려갈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하나라도 잘 안되면 고통 시작입니다.

특히 변비에 걸려본 사람은 아마 절감할 겁니다.

아침부터 너무 냄새나는 이야기를 늘어 놓은거 같아 죄송한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사는데 가장 기본적이고도 중대한 사안이란걸 느끼신다면 이해하시겠지요?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