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강론] 보지 않고 믿는 행복[대구신학교안드레아신부님] /(펌)
작성자정복순 쪽지 캡슐 작성일2006-04-23 조회수523 추천수2 반대(0) 신고
[강론] 보지 않고 믿는 행복[대구신학교안드레아신부님]

 


- ★ 보지 않고 믿는 행복! ★ - 찬미 예수님! 형제 자매님, 부활의 기쁨을 충만히 누리고 계시죠? 저는 엠마우스를 우포늪으로 가서 자연이 노래하는 부활의 기쁨을 누리고 왔는데 형제 자매님께선 어디로 엠마우스를 다녀오셨나요? 물론 부활의 기쁨을 한껏 누리는 엠마우스였으리라 믿습니다! *^&^* 형제 자매님, 지금 이 순간도 행복하십니까? 왜 행복하십니까?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나를 보지 않고도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 형제 자매님, 지금 우리가 갖고 있는 요한복음서의 21장은 후대에 편집자가 기록한 것이고 원래 요한복음은 20장으로 끝납니다. 그러니 이 말씀은 요한복음에서 예수님의 마지막 말씀입니다. 어떤 작품이든 마지막 말은 아주 중요한 것입니다. 요한 복음사가도 이 마지막 말씀에 많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표면적으로는 예수께서 토마스 사도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그런데 토마스가 누구인가 잠시 생각을 해봅시다. 사도들이 부활하신 예수님을 만났을 때 토마스는 그 자리에 없었습니다. 다른 사도들이 그에게 “우리는 주님을 뵈었소”하고 예수님의 부활 소식을 전해주었습니다. 그러나 토마스는 자신이 직접 체험하지 않고서는 결코 믿지 못하겠다고 말합니다. 그러므로 토마스는 자신의 직접적인 체험을 통해서가 아니라 사도들이나 그들의 후계자인 주교들을 통해서 부활의 소식을 듣게 되는 모든 사람을 상징합니다. 다시 말해서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우리들을 대표하고 있는 것입니다. 복음을 믿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예수님께서 축복의 말씀을 하시는 것입니다. “나를 보지 않고도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 토마스는 그 후 다행스럽게도 부활하신 예수님을 뵐 수가 있었습니다. 그는 예수님의 한 사도가 되도록 예수님께서 특별히 불러주신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그가 막상 부활하신 예수님을 뵙자 너무나 강한 인상을 받은 나머지 “손가락을 넣어 보지” 않고서도 굳은 믿음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누구도 표현한 적이 없는 “나의 주님, 나의 하느님!”이라는 아름다운 신앙고백을 합니다. 형제 자매님, 요한 복음사가는 예수님 곁에서 생활할 수 없었던 사람들도 사도들과 꼭 같은 체험을 할 수가 있고 토마스와 같이 아름다운 신앙고백을 할 수 있다는 확신을 우리에게 심어주고자 합니다. 신앙에 있어서 예수님을 직접 뵈었던 사람들보다 우리가 불리한 입장에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말하고자 합니다. 실제로 형제 자매님은 믿음을 가지고 계시므로, 이 믿음의 눈으로 부활하신 예수님을 뵐 수가 있습니다. 형제 자매님, 다시 잠깐 오늘의 복음에 주의를 기울여 봅시다. 처음 사도들이 부활하신 예수님을 뵙고 “여드레 뒤에 제자들이 다시 집안에 모였을 때”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나타나셨습니다. 여드레 뒤에 제자들이 왜 다시 모였겠습니까? 미사를 드리기 위해서 모인 것입니다. 즉 다시 모인 사람들은 한 주일이 지나고 다시 주일이 되어 전례를 거행하기 위해서 모인 공동체를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바로 주일마다 전례를 거행하고 있는 우리들입니다. 오늘 복음의 토마스 사도는 바로 우리 자신들입니다. 부활하신 주님을 직접 체험하지 못하고 사도들의 후계자 곧 교회로부터 그 소식을 전해 받은 사람, 믿기는 하지만 완전히 믿지를 못하고 의구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 그 사람이 토마스요 나 자신입니다. 그런데 복음사가는 그런 사람이 교회의 전례 안에서 부활하신 예수님을 체험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교회의 전례 특히 미사성제는 예수님의 죽음과 부활 곧 그분의 파스카 제사를 성사적으로 시현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들은 부활하신 예수님을 직접 뵐 수 있었던 사람들의 증언에 근거를 두고 믿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비록 여러 세기가 지난 오늘에 있어서도 그리스도와 그분의 축복은 결코 우리에게서 멀어지지 않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세상에 남겨두고 아버지께로 떠나시면서 그들을 위해 기도하시는 자리에서 우리들도 기억해 주셨습니다. “저는 이들만이 아니라 이들의 말을 듣고 저를 믿는 이들을 위해서도 빕니다. 그들이 모두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아버지, 아버지께서 제 안에 계시고 제가 아버지 안에 있듯이, 그들도 우리 안에 있게 해 주십시오.”(요한 17,20-21) 그리고 또 말씀하십니다. “나를 보지 않고도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 형제 자매님, 예수님은 이 말씀을 통해서 우리의 믿음을 쇄신하라고, 영신생활 면에서 진보해 나가기 위해 의지할 대상을 찾거나 표적을 구하지 말라고,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우리의 생활 안에, 역사 안에 현존하심을 의심치 말라고 호소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또한 좁은 인간적 사리 판단에 매이지 말라고, 합리주의의 노예가 되지 말라고 격려합니다. 우리를 초월하는 그 무엇을 받아들이라고 합니다. 인간의 지능으로 알아들을 수 없고 과학의 힘이 닿지 못하는 부활의 신비를 받아들이라고 격려합니다. 우리가 부활의 신비를 받아들일 때 우리는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사도들에게 주신 그 참된 평화를 누리게 될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우리 모두에게 말씀하십니다. “나를 보지 않고도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 아멘! 대구 신학교에서 안드레아 신부 드림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