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예수님께서 가르치셨다' - [유광수신부님 복음묵상]
작성자정복순 쪽지 캡슐 작성일2006-08-03 조회수535 추천수4 반대(0) 신고

<예수님께서 가르치셨다.> (마태 13,54-58)

예수님께서 고향에 가시어 회당에서 사람들을 가르치셨다. 그러자 그들은 놀라서 이렇게 말하였다. "저 사람이 어디서 저런 지혜와 기적의 힘을 얻었지?"

우리가 생각하는 하느님, 예수님은 어떤 분이신가? 오늘 예수님은 나에게 어떤 일을 어떤 방벙으로 이루워 주기를 바라는가? 일반적으로 우리가 예수님을 생각하면 어떤 예수님을 떠 오르게 되는가?


우리가 일반적으로 하느님을 생각하면 능력의 하느님, 기적을 일으키시는 하느님, 내가 기도하면 나의 청을 쉽게 들어주시는 하느님, 아무 노력도 하지 않으시고 원하시면 무엇이든 하실 수 있는 하느님, 그래서 나도 별로 노력하지 않고 기도만 하면 나의 기도를 들어 주시는 하느님이라고 생각하고 있을런지도 모른다. 그러나 예수님은 그런 모습으로 오시지 않는다.

우리에게 오시는 예수님은 가르치시는 예수님이시다. 회당에서 가르치셨듯이 오늘도 가르치시는 모습으로 나에게 다가오시고 역사 하신다.

"하느님이 가르치신다."라는 생각을 우리는 별로 하지 않는다. 또 하느님은 가르침을 통해 오늘도 우리에게 다가오시고 이끌어 주신다는 생각을 별로 하지 않는다.

가르치는 일은 학교 선생이나 하는 일이지 전능하신 하느님이 가르치신다는 것은 실감이 나지 않는다. 하느님이 하시는 방법은 기적이나 아니면 말씀 한 마디로 모든 것을 이루시는 분이지 째째하게 일일이 가르치시는가? 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예수님은 오늘 우리에게 가르치신다. 가르침을 통해서 우리에게 다가 오시고 당신을 드러내신다.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하느님께 어떻게 가까이 나아갈 수 있는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 오늘 내가 해야할 일이 무엇인지, 당신께서 원하시는 것이 무엇인지를 기적을 통해서가 아니라 가르침을 통해서 알려 주신다. 그래서 "너희는 스승 소리를 듣지 말아라. 너희의 지도자는 그리스도 한 분뿐이고 너희는 모두 형제들이다.... 너희의 지도자는 그리스도 한 분뿐이시다."(마태 23,8.10)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가르치시는 예수님은 여느 일반 스승과는 다르다. 우리에게 하느님이 어떤 분이신를 알려 주실 수 있는 유일하신 스승이시고 지도자이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그분에게서 배워야 한다. 우리는 그분의 제자들이다. 제자란 스승한테 배우는 사람들이다. 배워야 깨닫게 된다. 배워야 하느님을 알고 나를 알고, 나의 목표를 알고, 나의 인생 길을 알게 된다.

 

가르치시는 스승에게 배우지 않으면 우리는 올바른 신앙생활을 할 수 없다. 하느님을 만날 수 없다. 하느님의 일을 할 수 없다. 하느님의 영광을 드러낼 수 없다.

우리는 스승이신 예수님한테 열심히 배워서 "하늘 나라의 교육을 받은 모든 율법학자는 자기 곳간에서 새것도 꺼내고 옛것도 꺼내는 집주인과 비숫하다."(마태 13, 52)고 말씀하신 자유로운 사람, 넉넉한 사람, 여유로운 사람, 내어줄 수 있는 사람, 지혜로운 사람이 되어야 한다.

예수님이 무엇을 가르치셨는가? 그 가르치신 내용을 어디서 볼 수 있는가? 가르치시는 예수님을 어디에서 만날 수 있는가? 유일하게 그 분을 볼 수 있고 만날 수 있는 곳은 복음뿐이다. 복음은 유일하게 우리가 예수님의 가르치신 내용을 접할 수 있는 곳이다. 이 세상에 복음이외에는 그 어디에서도 가르치시는 예수님을 직접 만날 수 있는 곳은 없다. 예수님의 가르치신 내용을 직접 볼 수 있는 곳은 오직 복음 뿐이다.

 

그런데 우리는 복음을 공부하지 않는다. 복음을 통해서 예수님을 만나려고 하지 않고 다른 방법을 통해서 만나려고 한다. 예수님을 만나고 싶다고 하면서 예수님을 만날 수 있는 복음을 가까이 하지 않는다. 옳고 바른 삶을 살고 싶다고 하면서 바르게 사는 법을 가르쳐 주는 복음을 가까이 하지 않는다. 가르치시는 예수님을 통해서 배우기 위해 우리가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가?를 자문해보라. 다른 공부는 몇 시간씩 또는 밤늦게까지 공부하면서 정작 우리가 배워야할 복음을 공부하는 데에는 시간을 투자하는데 인색하고 또 열성적이지도 못한 것이 아닌지 반성해야 할 것이다.

"저 사람이 어디서 저런 지혜와 기적의 힘을 얻었지?"라고 사람들이 가르치시는 예수님을 보고 놀라듯이 지혜란 하느님에게서 오는 것이다. 학교에서 또는 학원에서 배우는 것은 지식이지 지혜는 아니다. 지식은 어떤 사물에 대해 아는 것이지 삶에 대해 아는 것이 아니다. 나의 삶에 있어 무엇이 옳고 그른지, 무엇이 중요하고 덜 중요한지, 무엇을 먼저 하고 나중에 하는 것인지, 무엇이 가치 있고 가치가 없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은 지혜에서 나오는 것이지 지식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얼마나 많은 지식인들이 나쁜 일을 저지르는가? 교묘하게 법을 어기고 부정을 저지르는 것은 지혜가 없고 지식만 있기 때문이다. 지식이 없더라도 하느님을 아는 사람은, 하느님한테 지혜를 배운 사람은 아주 지혜롭게 사는 법을 안다. 그러나 지식이 아무리 많더라도 하느님한테 삶의 지혜를 배우지 못한 사람은 나쁜 일을 하기가 쉽다.

 

오늘 날 우리 사회는 지식인이 아니라 지혜가 있는 현자가 필요하다. 즉 옳고 그름을 분명히 판단해 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무엇이 중요하고 덜 중요한지를 판단해 줄 수 있는 현자가 필요하다. 지식인은 넘쳐도 현자는 많지 않다. 그래서 우리 사회는 점점 더 타락의 길로 가고 있다. 온 사회를 들끓게 하는 부정, 비리 사건들은 모두 배웠다고 하는 지식인들이 저지르는 범죄이다. 우리는 지금부터라도 "자, 올라가자. 주님의 산으로, 야곱의 하느님께서 계신 전으로! 사는 길을 그에게 배우고 그 길을 따라 가자."(이사 2, 3)라고 말했던 것처럼 삶의 지혜를 배우기 위해서라도 가르치시는 예수님을 통해서 우리가 옳게 사는 길을 배워야한다.

우리가 예수님한테 그 가르침을 배운만큼 예수님을 알고 예수님을 사랑하게 된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에게 올바르게 예수님을 전해 줄 수 있다. 예수님이 가르쳐 주신 내용을 말해줄 수 있다. 아무리 예수님이 사는 법을 가르쳐 주고 아버지 하느님을 가르쳐 주어도 배우지 않으면 받아들이지 않으면 오늘 복음에서 고향 사람들에게 기적을 베풀지 않으셨듯이 우리에게도 아무런 기적을 베풀지 않을 것이다.


맥루한은 "아무도 아무에게 아무 것을 가르쳐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즉 우리 자신이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면 그 누구도 가르쳐 줄 수 없다는 말이다. 나의 그릇이 세모로 있으면 세모로 받아들일 것이며, 동그라미면 동그라미로 받아들일 것이고 바가지를 덮어 놓듯이 마음의 문을 열지 않고 있으면 그 누구도 아무 것을 가르쳐 줄 수 없다는 말이다. 받아들이는 사람이 어떤 자세이냐에 따라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르쳐 주는 사람도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가르침을 받아들이는 사람의 자세가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다. 아무리 예수님이 가르쳐 주셔도 그 가르침을 우리가 받아들이지 않으면, 믿지 않으면 우리는 결코 예수님을 만날 수 없으며 삶의 지혜를 얻을 수 없다. 또 영적으로 성숙할 수 없다.

 

오늘 하루 가르치시는 예수님을 만남으로서 한 발짝 더 예수님께 가까이 다갈 갈 수 있는 은혜로운 하루가 되도록 하자.

 

-유광수 신부 -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