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오늘 복음묵상] 산채로 껍질이 벗겨진 성인 / 박상대신부님
작성자노병규 쪽지 캡슐 작성일2006-08-24 조회수768 추천수3 반대(0) 신고

  2006년 8월 24일 목요일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


 

 네가 무화과나무 아래 있는 것을 보았다고 해서 나를 믿느냐?

앞으로는 그보다 더 큰 일을 보게 될 것이다.(요한 1,50)

 

"Do you believe
because I told you that I saw you under the fig tree?
You will see greater things than this."


  

 

 필립보 사도가 나타나엘을 예수님께 안내합니다. 예수님께서는 나타나엘의 거짓 없는 모습을 알아보시고 참이스라엘 사람이라고 칭찬하십니다

 

☆☆☆

 

 우리는 가끔 하늘 나라의 모습을 상상해 봅니다. 묵시록의 저자는 하느님의 영광으로 찬란하게 빛나는 새 예루살렘 도성을 봅니다. 나타나엘은 하늘이 열리고 천사들이 하느님의 아들 위에서 오르내리는 것을 보게 될 것을 주님께 약속받습니다. 야곱은 꿈을 통하여 천사들이 하늘에 닿아 있는 층계를 오르내리는 것을 봅니다. 바오로 사도는 아무도 본 적이 없고 들어 본 적도 없는 것을 하느님께서 우리를 위해 준비해 주신다고 말합니다. 분명 우리의 상상은 하늘 나라를 그려 내기에 충분하지 못할 것입니다. 하늘 나라에 대한 환시를 설명하기에 우리의 언어는 부족하기만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 세상의 진정한 기쁨과 사랑의 아름다움에서, 하늘 나라의 기쁨과 아름다움을 살짝 엿볼 수 있지 않을까요?

 

 

 

 

 

                             산채로 껍질이 벗겨진 성인


  오늘 교회가 공경하고 축하하는 성 바르톨로메오는 공관복음서가 기록한 12 제자의 명단에 들어 있다. 예수께서는 인류구원을 위한 본격적인 공생활을 시작하시면서 사람들을 제자로 불러 당신을 따르게 하시고, 그 중에서 열둘을 뽑아 사도로 삼으셨으니, 12사도의 이름은 시몬 베드로,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 야고보의 동기 요한, 베드로의 동생 안드레아, 필립보, 바르톨로메오, 마태오, 토마,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타데오, 열혈당원 시몬, 그리고 가리옷 사람 유다이다.(마르 3,13-19; 마태 10,1-4; 루가 6,12-16; 요한 1,35-51 참조) 그런데 바르톨로메오 사도 축일에 필립보와 나타나엘이 등장하는 요한복음의 대목을 오늘 복음으로 듣게 되는 이유는 성서학자들이 나타나엘과 바르톨로메오가 이명(異名)동인(同人)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는 갈릴래아 지방 가나 출신으로 우선 베드로의 동생 안드레아와 필립보와 함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렇게 요한복음은 바르톨로메오를 나타나엘로 기록하고 있으며, 부활하신 예수와 일곱 제자와의 만남에서도 이름을 거명하고 있다.(요한 21,2)


  다른 사도들과 마찬가지로 바르톨로메오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복음서를 제외하고는 아무 데도 없다. 그러나 전해오는 바에 의하면 바르톨로메오 사도는 성령강림이후 이집트, 페르시아와 인도에까지 복음을 전하였고 병자들과 마귀 들린 사람들을 치유해 주었다고 한다. 한번은 성인이 아르메니아 폴리미오스 왕의 마귀 들린 공주를 치유해 준 일이 있었는데, 이 때 왕은 궁궐의 거짓 신상들을 모두 부수고 모든 사람들을 그리스도교로 개종시켰다고 한다. 이에 분노한 왕의 측근이 수백 군대를 풀어 성인을 잡아 가두고 심한 고문을 한 후 산채로 살갗을 벗기고 십자가형에 처했다고 전해진다. 이 이야기가 막연한 전설이 아니라는 것은 미켈란젤로(1475-1564)가 시스티나 성당에 그린 벽화 중 ‘최후의 심판’에서 드러난다. 미켈란젤로는 33살의 나이에 율리우스 2세 교황의 위촉으로 4년 반의 공을 들여 ‘천지창조’를 완성한 후 22년이 지난 59살에 클레멘스 7세 교황의 위촉으로 거대한 ‘최후의 심판’을 그리게 된다. 이 벽화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표현되는데 심판자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그 옆에 성모 마리아, 그리고 그리스도의 발아래 있는 두 사람의 성자(聖者) 중에서 오른쪽 성자가 벗겨진 사람의 피부껍질을 들고 있다. 이것이 바로 그렇게 순교한 바르톨로메오 성인을 말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그 얼굴이 미켈란젤로 자신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한다.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던 나타나엘이 필립보의 도움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어 일생을 그리스도를 위해, 그리고 마지막 죽음을 스승이신 그리스도처럼 받아 천상의 월계관을 쓰게 된 것은 모두 그리스도와의 만남에서 시작되었다. 사람은 이 세상에 태어나서 맨 처음 부모를 만나고 형제를 만나며, 이웃을 만나고 스승을 만나며, 매일매일 수 없는 사람들을 만나 그들과 사귀며 친구가 된다. 때가 되면 부부의 만남으로 서로를 내어주는 가정을 이루게 된다. 유대교의 철학자 마르틴 부버(1878-1965)는 ‘너와 나의 만남’으로서 인간은 전인격적 완성을 도모한다고 했다. 그렇다. 오늘 예수와 만난 나타나엘은 예수에게 자신의 모든 것을 맡기고 예수를 따르며 예수를 가르치고 마지막에는 예수처럼 십자가에 죽음으로써 자신의 삶을 완성하였다. 오늘 복음에서 보듯이 나타나엘이 필립보의 도움으로 예수께 오기도 전에 예수님은 나타나엘을 알고 계셨다. 예수께 대한 나타나엘의 신앙고백도 말뿐만은 아니었다. 당장은 말로 된 신앙고백일망정 그는 순교로 이를 증언하였다. 중국사기(史記)에 “선비는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위해 죽는다.”고 했듯이 예수의 죽음은 나타나엘을 위한 죽음이었고, 나타나엘의 죽음은 예수를 위한 죽음이었다. 이는 신(神)이 인간을 위하여 죽은 것이고, 인간이 신을 위하여 죽은 셈이다. 나아가 예수도 바르톨로메오도 나를 위하여 죽은 셈이 아니겠는가. 우리 또한 성인을 본받아 예수님과의 만남을 소중히 여기며 내가 만나는 이웃을 위해 살도록 힘써야겠다

-박상대신부-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