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174) 어느 초부터 먼저 끌까요? / 임문철 신부님
작성자유정자 쪽지 캡슐 작성일2006-08-30 조회수736 추천수5 반대(0) 신고

 

미사가 끝나고 복사 아이가 심각한 얼굴로 물었다.

"신부님, 초를 왼쪽부터 꺼야 해요, 오른쪽부터 꺼야 해요?"

"어떡하지? 나도 잘 모르겠는데....."

복사 아이는 신부가 그것도 모르느냐는 표정을 짓더니 수녀님께 달려갔다.

원하던 답을 얻은 듯 당당히 제대로 향하는 복사 아이의 뒷모습을 보면서 웃다가 이젠 내가 심각해졌다.

나 역시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걸고 있는 것은 아닐까?

 

바리사이들은 일주일에 세 번씩이나 단식을 하고,

하루에 몇 시간씩 기도하고,

안식일이면 집안에서 빵 굽는 일조차 하지 않고

종일 거룩하게 지내도록 노력한다.

 

그런데 이런 사람들이 왜 주님을 십자가에 못 박는 주역이 되는가?

 

살아갈수록 내 모든 것이 거저 주어진 선물임을 깨닫는다.

내 스스로 부모를 선택하지 않았듯 내 생명 자체도 하느님께서 주신 선물인 것을.

이렇게 글을 쓸 수 있는 건강과 나를 위해 기도해주는 주변의 은인들,

우정을 나눌 수 있는 친구들........  .

하느님 나라도 내 노력과 업적으로 쟁취하는 것이 아니라 선물로 거저 주어지는 것인데, 율법주의자들은 은총의 세계를 체험하지 못하고 모든 것은 자신의 노력과 업적에서 비롯된다는 교의의 덫에 빠져있다.

 

교우들에게

"그렇게 하는데 당신 기도를 들어주실 것 같으냐?"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하는 나에게서도 바리사이의 교의가 득세하고 있음을 발견한다.

 

"언제 자신에 대해서 만족하는가?"

하는 질문을 받고 나는 별 고민 없이

'남에게 무엇인가 도움을 줄 수 있었을 때'

라고 답한 적이 있다.

무엇인가 내가 하는 일과 나 자신을 동일시하고 있었던 것이다.

 

세례를 베풀면서도 몇 명인지 숫자에 더 관심이 많았고,

그들이 영적으로 얼마나 새롭게 되는지는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았다.

끊임없이 숫자들을 주워 모아 내가 유능한 신부라는 것을 증명하려고 애쓴다.

 

반면에, 요가다 단전호흡이다 하며 뉴 에이지에 빠져드는 교우들에게 대안은 제시하지 못하면서 겨우

"운동으로만 하고 너무 빠지지는 마세요."

하고 마는 내 자신을 보며 자괴감에 빠진다.

 

다 컸다고 부모 말도 안 듣고 성당도 안 나오는 자녀문제를 상담하러 온 이들에게

"다 때가 있는 거예요. 기도하세요."

하는 말 밖에 할 수 없는 나의 무능력에 화가 난다.

이렇게 나는 내 노력과 업적에 내 가치를 두는 현대판 바라사이인 것이다.

 

그러나 나는 안다.

하느님은 나의 일을 보시는 것이 아니라 나와 친밀한 인격적 관계를 맺고 싶어하심을!

 

마지막 날 주님을 뵙게 될 때 주님께서

 

"네가 나를 위해 얼마나 많은 일을 했느냐?

 

고 물으시지 않고

 

'네가 나를 얼마나 사랑하느냐?

 

하고 물으실 것이다.

 

그때 나는 베드로 사도처럼

 

"당신이 더 잘 알고 계시지 않습니까?

 

하고 말씀드릴 수 있도록 살고 싶다.

 

  <글 : 제주 중앙주교좌성당 임문철 주임신부님>

 

        ㅡ 출처 : 가톨릭 다이제스트ㅡ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