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하느님이 다녀가셨다!” ----- 2006.10.18 수요일 성 루카 복음사가 축일
작성자김명준 쪽지 캡슐 작성일2006-10-18 조회수748 추천수5 반대(0) 신고

(이수철 프란치스코 성 요셉 수도원 원장신부님 강론 말씀)

 

 

 

2006.10.18 수요일 성 루카 복음사가 축일

 

2티모4,10-17ㄴ 루카10,1-9 

                                                  

 

 

 

 

 

 

 

“하느님이 다녀가셨다!”

 

 



얼마 전, 저희 아빠스님이 수도원을 다녀가신 후

감동적인 깨달음을 지금도 잊지 못합니다.


“하느님이 다녀가셨다!”


라는 고백이 저절로 흘러나왔습니다.

 

따뜻한 위로와 격려로 공동체 분위기조차 환하고 따뜻하게,

아주 평화롭게 느껴졌습니다.

 

더불어 바로 그 얼마 전에

두 분의 주교님이 다녀가셨을 때의 밝고 편안했던 느낌도

새롭게 떠올랐습니다.

 

역시 하느님이 다녀가셨던 것입니다.

 

바로 이런 깨달음이 평범하면서도 깊은, 건강한 신비체험이요

하느님 체험입니다.


예전 어느 자매님의 고백도 신선한 느낌으로 남아있습니다.

 

그 자매의 일곱 살짜리 깜찍한 아들이 난데없이 방으로 들어오더니,


“어머니, 어머니, 하느님이 오셔요. 하느님이.”
하더라는 것입니다.

 

이 자매님 영문을 몰라 엉겁결에 문밖에 나가봤더니

반모임 하러

이웃집 착한 자매님들 세분이 오고 있더라는 것이었습니다.

 

이 자매님 역시 신선한 충격과 더불어

무언가 마음 깊이 와 닿는 것이 있었다는 고백이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얼마나 평범하면서도 깊은, 위로가 되는 하느님 체험인지요.

막연히 뜬 구름 잡는, 추상적 신비체험이 아니라

평범한 일상 안에서 사람들을 통해 체험하는 하느님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주님은 제자들을 통해

당신의 평화를 선사하시고자 중생들을 찾아나서십니다.


“어떤 집에 들어가거든 먼저 ‘이 집에 평화를 빕니다.’ 하고

  말하여라.

  그 집에 평화를 받을 사람이 있으면

  너희의 평화가 그 사람 위에 머무르고,

  그렇지 않으면 너희에게 되돌아 올 것이다.”


주님의 제자들을 통해 방문하시는 분은

실제 하느님이라는 것입니다.


마침 이 부분의 복음에 대한 200주년 신약성서 주해도

저의 통찰과 일치했습니다.

 

‘여기서 인사는 일상적 인사말을 넘어

  하느님 나라의 평화를 비는 축원이다.

  어느 누가 평화를 주시는 하느님을 받아들이면

  하느님은 그와 함께 계실 것이요,

  그렇지 않으면 하느님은 그에게서 떠나가실 것이라는 뜻이다.’

 

결국 제자들을 통해 방문하시는 분은 하느님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이런 하느님을 깨닫지 못해

하느님을 홀대하거나 냉대해 떠나보낸 적은 얼마나 많겠는지요!


사람을 통해 오시는 하느님을 만나지 못하면

아무리 묵상 기도 많이 해도,

하늘 끝까지 올라가도 하느님을 만나지 못합니다.

 

하느님 만났다 해도

이런 관상(觀想)은 환상(幻想)이기 십중팔구입니다.


이런 면에서 새삼스럽게 부각되는 영성이

환대(歡待:hospitality)의 영성입니다.

 

사람을 환대함이 바로 그리스도를, 하느님을 환대함이라는 게

성서의 사상이요 수도생활에 면면히 계승되어온 진리입니다.

 

다음의 유명한 분도 규칙 내용을 들어보십시오.


“찾아오는 모든 손님들을 그리스도처럼 맞아들일 것이다.

  왜냐하면 그분께서는 장차

 ‘내가 나그네 되었을 때 너희는 나를 맞아주었다’라고

  말씀하실 것이기 때문이다.”(RB53,1)


“오고가는 모든 손님들에게 온갖 겸손을 드러낼 것이니

  머리를 숙이거나 온몸을 땅에 엎드림으로써

  그리스도께서

  그들 안에서 흠숭받으시고 영접받으시게 할 것이다.”(RB53,6-7)


손님을 통해 그리스도를, 하느님을 영접한다는 영성,

얼마나 평범하면서도 깊고, 고맙고도 풍요로운 영성인지요.

 

환대의 절정은

내 안에 계신 그리스도와

손님 안에 계신 그리스도와의 만남인 것입니다.


제가 미사 경문 중 ‘평화’라는 단어를 찾아보니 열 개였습니다.

주로 영성체 예식 안에 나옵니다.

 

미사를 통해 평화를 주시고자 우리를 찾아오시는 하느님이요,

이 평화의 하느님을 환대하는 우리들입니다.

 

반대로 우리를 환대하시고자

미사 잔치에 우리를 초대하시는 하느님입니다.


우리는 좋으신 하느님을 환대하고,

하느님은 세상살이에 지친 우리를 환대하셔서

위로와 평화를 주시고...,

 

우리의 환대와 하느님의 환대가 은혜로이 만나는 성체성사입니다.


수도자들이 매일 바치는 성무일도 역시

하느님을 환대하는 시간이자, 하느님께서 우리를 환대하는 시간입니다.

 

우리를 편안하게 환대하시는 주님처럼

우리 역시 주님을 편안하게 환대할 수 있기 위해

고요하고 넉넉한 분위기의 미사시간과 성무일도 시간은 필수입니다.


하느님 환대 따로, 사람 환대 따로 가 아닙니다.

하느님 환대가 사람 환대요, 사람 환대가 하느님 환대입니다.

 

미사와 성무일도의 하느님 환대가 사람 환대의 원천입니다.

진정 미사와 성무일도를 통해서 하느님을 환대한 자라면

일상에서의 사람 환대도 잘 합니다.


바오로 사도, 하느님 환대의 대가임이 오늘 독서를 통해 들어납니다.
한결같이 주님을 사랑했고 편안히 주님을 환대했던 바오로였기에

늘 바오로와 함께 머물러 계셨던 주님이셨습니다.

 

다음 바오로의 고백이 이를 입증합니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내 곁에 계시면서 나를 굳세게 해주셨습니다.

  나를 통하여 복음 선포가 완수되고

  모든 민족들이 그것을 듣게 하시려는 것이었습니다.”


하느님을 환대할 때

하느님은 늘 우리 곁에서 위로와 평화와 힘을 주십니다.


이 은혜로운 저녁 성무일도와 미사시간,

우리를 반갑고 따뜻이 환대해주시는 주님을

우리 또한 반갑고 따뜻이 환대해드리는 시간입니다.

 

환대를 통해서 환히 드러나는 주님의 영광입니다.


“주님, 주님께 충실한 이들이

  주님 나라의 영광을 알리게 하소서.”(시편145,12)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