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Fr.조명연 마태오]
작성자이미경 쪽지 캡슐 작성일2006-12-17 조회수578 추천수6 반대(0) 신고

2006년 12월 17일 대림 제3주일 다해

 

 

"I am baptizing you with water,
but one mightier than I is coming.
I am not worthy to loosen the thongs of his sandals.
He will baptize you with the Holy Spirit and fire."
(Lk. 3,16)

제1독서 스바니야 3,14-18ㄱ

제2독서 필리피서 4,4-7

복음 루카 3,10-18

 

어제 아침에 우리 본당 관할 구역을 이곳저곳 걸어 다녀 보았습니다. 사실 이 동네는 제가 어렸을 때, 놀던 곳이었답니다. 즉, 제가 초등학교 때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이 동네에서 보냈었기 때문에 누구보다도 잘 아는 지역이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무튼 어렸을 때의 기억을 떠올리면서 걸어 보았습니다. 그러나 너무나 많이 바뀌었더군요. 불과 20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는데…….

우선 제가 살았던 집을 찾아보았습니다. 집이 커서 눈 쓸기가 무척 힘들었던 기억을 가지고 있었던 집. 그런데 그 집은 흔적조차 남아있지 않더군요. 대신 그 자리에는 빌라 건물이 들어서 있었습니다. 시간만 나면 동네 아이들과 함께 야구를 하면서 뛰놀았던 공터를 찾아가보았습니다. 역시 그 넓은 공터는 사라진지 오래고 대신 고층 아파트가 들어서 있습니다. 또한 학교 여학생들 놀려준다고 개구리를 잡던 늪지 역시 높은 아파트가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하고 있더군요.

조금 서운하더군요. 어렸을 때의 나의 흔적들을 찾을 수가 없다고 하니까 말이지요. 이제는 단지 내 기억의 한 자리로만 있을 뿐, 직접 내가 보고 만질 수 있는 공간이 사라졌다고 생각하니 서운한 감정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정말로 빨리 세상이 바뀌는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불과 20년 전의 이야기인데…….

어쩌면 이렇게 바뀌는 속도는 앞으로 더 빨라질지 모릅니다. 그래서일까요? 사람들도 참 빨리 변한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래야 이 세상에서 살아남을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근본적인 것은 변해서는 안 됩니다. 즉, 주님의 사랑을 받으면서 우리 역시 사랑을 실천하는 삶은 변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모습조차 변하려고 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았습니까? 그래서 주님을 나의 첫 번째 자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아니라, 세상의 물질적인 것들을 첫 번째 자리에 위치시켰을 때가 얼마나 많았을까요?

오늘 복음에는 세례자 요한이 등장합니다. 사실 그 당시에는 예수님보다 세례자 요한이 더 유명했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사람들 사이에서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상태였거든요.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세례자 요한을 따랐고, 이 정도의 인기라면 충분히 어떤 세력을 만들기에도 충분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세례자 요한은 그런 세력을 만들지 않습니다.

“나는 그분의 신발 끈을 풀어 드릴 자격조차 없다.”고 말씀하시면서, 자기 본연의 임무인 예수님을 준비하는 것을 잊지 않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세례자 요한의 위치에 서 있다고 한 번 생각을 해보십시오. 많은 사람들이 자기를 메시아라고 구세주라고 생각하면서 따르고 있는데, 그렇게 많은 사람들 앞에서 “나는 아니다.”라고 용기 있게 말할 수 있을까요?

바로 그런 겸손의 모습이, 그리고 자신의 임무에 끝까지 충실한 그 항구함이 예수님과 영원히 함께 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나는 어떨까요?

겸손하지 않은 모습, 세상의 유혹에 쉽게 흔들리는 불안한 나의 모습들이 예수님과의 간격을 더욱 더 멀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세상에 빠름에 너무나 쉽게 변하는 우리들입니다. 하지만 주님께 대한 사랑은 변하지 말도록 합시다.

 

 


 


기쁨은 사람을 일으키고 치유하는 작용을 한다.(안셀름 그륀 '다시 찾는 기쁨'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기쁨을 충만한 삶의 표현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가장 큰 기쁨을 누리는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실현해 내는 사람이고,
자신의 활동력을 외부의 세계로부터도, 그리고 내면의 세계로부터도
방해받지 않는 사람이다.

가장 큰 기쁨은 자신의 이성이 올바르게 작용할 때와
창의적인 작업에서 나온다.

그에게 기쁨이란 사람을 일어나도록 하는 에너지이며
그 안에 들어 있는 삶을 일깨우는 에너지이다.

기쁨이 지닌 에너지는 질병과 불행이 우리의 삶을 어렵게 할 때
그런 것들을 치유하는 작용을 하여 우리를 다시 건강하게 한다.

 

 
Forever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