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빈 자리-----2007.1.2 화요일 성 대 바실리오와 나지안즈의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 기념일
작성자김명준 쪽지 캡슐 작성일2007-01-02 조회수517 추천수8 반대(0) 신고

(이수철 프란치스코 성 요셉 수도원 원장 신부님 강론 말씀)

 

 

 

 

2007.1.2 화요일 성 대 바실리오와 나지안즈의 그레고리오 주교 학자 기념일
                                                                                              

1요한2,22-28 요한1,19-28

 

 

 

 



                                                                

빈 자리



수도원은 하느님의 텅 빈 자리입니다.

 

많은 이들이 고요히 머물 수 있는 빈 자리를 찾아 수도원에 옵니다.

바로 이 텅 빈 성전이 빈 자리의 보이는 상징입니다.

텅 빈 단순한 빈 자리에 충만한 하느님의 현존입니다.


보이지 않는 마음의 성전, 역시 내면의 빈 자리입니다.

고독과 침묵을, 마음 비움을 강조하는 것도

이 내면의 빈 자리를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이 빈 자리가 욕심이나 세상 것들로 가득 채워져 있으면

하느님 머무실 자리가 없게 됩니다.


“당신은 누구요?”


묻는다면 여러분은 세례자 요한처럼 즉각 대답이 나오겠습니까?

세례자 요한의 대답이 참 좋은 묵상감입니다.


“나는 그리스도가 아니다.

  나는 이사야 예언자가 말한 대로

 ‘너희는 주님의 길을 곧게 내어라’하고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다.”


전혀 주저함 없이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로,

‘주님의 빈자리’로 자신의 신원을 밝히는 세례자 요한입니다.

 

광야의 빈 자리에서 주님의 길을 곧게 내느라

자신은 사라져 빈 자리만 남아있는 겸손한 세례자 요한입니다.


자기가 사라진 빈 자리에 충만한 하느님의 현존입니다.

성전 안 빈 자리에,

우리 내면의 빈 자리에 하느님은 머무시고

내가 사라진 빈 자리에서 터져 나오는 찬미와 감사의 기도입니다.


“당신은 누구요?”

주저함 없이 “나는 수도승이요.” 대답하는 것입니다.


깊은 차원에서 인간은 누구나 고독한 수도승입니다.

수도승의 삶은 어딘가를 향하지 않습니다.

 

수도원 안에 들어와 살다가 죽는 것 말고는 다른 어떤 목적도 없습니다.

하느님께서 불러주신 그 자리에 있으면서,

하느님 아닌 그 어떤 것도 추구하지 않고,

하느님과 이웃이 머무를 수 있는 내면의 빈 자리를 마련하는 자가

진정 수도승입니다.


겸손은 하느님을 위해서 빈 자리를 마련하는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머무르시고 당신의 영광을 드러내실 자리를 마련하는 것입니다.

 

공동체를 하느님의 자리로 만드는 것도 결국은 겸손입니다.

그러니 우리의 평생 수련의 수도여정,

빈 자리를 넓혀가는 겸손의 여정임을 깨닫습니다.


오늘 1독서의

사도 요한은 ‘그분 안에 머무르십시오.’ 라고 수차례 강조합니다.


하느님의 빈 자리 성전 안에 머무르듯,

그분 사랑의 빈 자리에 머무르라는 말씀입니다.

 

우리 내면의 빈 자리 바로 그분 현존의 빈 자리에 머무르라는 것입니다.

 

이 거룩한 미사를 통해 오시는 좋으신 주님은

우리 내면의 빈 자리를 당신 생명과 사랑으로 가득 채워 주십니다.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