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1월 31일 야곱의 우물- 마르 6, 1-6 묵상/ 날로 새로워라
작성자권수현 쪽지 캡슐 작성일2007-01-31 조회수567 추천수3 반대(0) 신고

날로 새로워라

그때에 예수님께서 고향으로 가셨는데 제자들도 그분을 따라갔다. 안식일이 되자 예수님께서는 회당에서 가르치기 시작하셨다. 많은 이가 듣고는 놀라서 이렇게 말하였다. “저 사람이 어디서 저 모든 것을 얻었을까? 저런 지혜를 어디서 받았을까? 그의 손에서 저런 기적들이 일어나다니! 저 사람은 목수로서 마리아의 아들이며, 야고보, 요셉, 유다, 시몬과 형제간이 아닌가? 그의 누이들도 우리와 함께 여기에 살고 있지 않는가?”

 

그러면서 그들은 그분을 못마땅하게 여겼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예언자는 어디에서나 존경받지만 고향과 친척과 집안에서만은 존경받지 못한다.” 그리하여 예수님께서는 그곳에서 몇몇 병자에게 손을 얹어서 병을 고쳐주시는 것밖에는 아무런 기적도 일으키실 수 없었다. 그리고 그들이 믿지 않는 것에 놀라셨다. 예수님께서는 여러 마을을 두루 돌아다니며 가르치셨다.
(마르 6,1-­6)

◆“우리와 왕년에 한솥밥을 먹던 친구 아닌가. 맞아, 아무개 집 큰아들이야. 똑똑하네그려. 저 연설하는 것 보게. 이 사람아, 똑똑하면 뭘 해. 우리와 근본이 같은걸.” 개천에서 용이 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용이 날 수 없다고 단정하고, 나더라도 인정하지 않으려는 것이 세상 인심이 아닌가 싶다. 아직도 무슨 학교 출신이 대통령이 된 것을 아니꼽게 생각하는 풍토를 보더라도 2천 년 전 주님의 고향에서 들었던 소리가 그대로 되풀이되고 있다는 생각이다.

 

나 역시 그런 생각으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초등학교 시절에 가장 싫은 것 가운데 하나가 새 학기가 되어 가정환경을 조사할 때였다. 부모의 직업을 묻는데, 당시 아버지의 직업은 목수였다. 당시 목수는 ‘노가다’였다. 그러나 어린 시절 어떻게 그 어려운 말을 생각했는지 나는 ‘노동’이라고 대답했다. ‘노동’이 ‘노가다’보다 더 그럴듯한 말이라는 영악한 생각을 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은 내가 영악한 것이 아니라 그만큼 당시 풍토에서 직업의 귀천이 심했던 것이다. 우리집에는 아버지, 작은아버지 세 분, 작은 형 등 합해서 목수가 다섯이나 되었다.

“이 사람이 마리아의 아들 목수가 아니냐?” 이 한마디에 당시 사람들의 모든 생각이, 그리고 조금도 그 내용은 변하지 않고 2천 년이나 계속된 왜곡된 가치관이 그대로 담겨 있다. 거듭나야 하느님 나라를 볼 수 있다는 말은 바로 이런 고정관념을 버리라는 뜻이 아닐까? 그런데 이 거듭난다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그래서 니코데모도 근심하며 물러가지 않았던가. 그래서 나는 세상에서 쓰는 이 말을 덧붙인다. “사람은 죽어야 지옥을 안다.”

 

우리 초등학교 교훈이 ‘날로 새로워라’였다. 나는 그 교훈의 의미를 요즘에야 조금 알아들을 듯하다. 아마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교훈이 아닐까 싶다. 내 생각이 새로워지지 않으면, 눈의 비늘을 떼지 않으면 우리 곁에 오신 주님을 지금도 목수라고, 전라도나 경상도라고, 상고를 나왔다고, 교양이 없다고, 미국을 반대한다고 우습게 여기지 않을까? ●

최연석 목사(전남 여수시 중부교회)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