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바이지(baiji) 4
작성자배봉균 쪽지 캡슐 작성일2007-02-03 조회수521 추천수8 반대(0) 신고

 

 

 

 바이지(baiji)  4

 

 

 브라질의 아마존 강과 인도의 인더스, 갠지스 강, 중국의 양자강, 그리고 아르헨티나의 라프라타 강에는 민물 돌고래(江 돌고래, river dolphin)가 살고 있습니다. 그들을 좀 더 유식(有識)하게 표현(表現)하자면, 아마존 강 돌고래를 Inia geoffroyensis, 갠지스 강 돌고래를 Platanista gangetica, 양자강 돌고래를 Lipotes vexillifer, 라프라타 강 돌고래를 Pontoporia blainvillei라 합니다. 이들은 각각 큰 강에 살지만 라프라타 강 돌고래만이 대서양(大西洋) 해역(海域)에서 지내다가 출산(出産)과 새끼를 기를 때에만 라프라타 강 하구(河口)로 되돌아오는 습성(習性)이 있습니다.


 인더스 강과 갠지스 강에서 서식(棲息)하는 돌고래는 동종(同種)으로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대시, 부탄 등에서 살고 있으며 1972년 까지 500여 마리의 개체수(個體數)가 확인 되었습니다. 그러나 불법포획(不法捕獲)과 서식지(棲息地) 파괴(破壞)로 지금까지 살아있는 개체수는 정확(正確)히 파악(把握)되지 않고 있습니다. 인더스, 갠지스 강 돌고래는 2,000만년 전의 원시(元始)고래와 그 모양(模樣)이 거의 동일(同一)하다고 합니다. 먼 옛날 강가에 살던 포유류(哺乳類)가 물고기를 잡아먹으려 강에 들어갔다가 돌고래의 조상(祖上)이 되고 바다로 진출(進出)하여 지금의 돌고래나 고래로 진화(進化)했다고 생각됩니다. 인더스, 갠지스 강 돌고래를 genge, susu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inia, boto, buffeo라고 부르는 아마존 강 돌고래는 분홍색(粉紅色)을 띄고 있어 아마존 분홍 돌고래라고도 합니다. 바다 돌고래 보다 크기가 작은 그들은 유선형(流線型)의 몸매는 아니지만 유연(柔軟)하여 편협(偏狹)하고 비좁은 강(江)에서 먹이를 쫓을 수 있는 이상적(理想的)인 형태(形態)를 갖추고 있습니다. 혼자서 혹은 2,3마리가 짝을 지어 다니며 강바닥에서 느릿느릿 움직이는 것들과 물고기를 주로 잡아먹습니다. 이 돌고래 또한 아마존 강 유역(流域)의 광산지대(鑛山地帶)에서 흘러나오는 중금속(重金屬)에 오염(汚染)되고 인간(人間)들이 물속에 장치(裝置)한 덫에 의해 급격(急激)히 그 개체수(個體數)가 감소(減少)하고 있습니다.


 바이지(baiji)라고 불리우는 흰 돌고래는 중국(中國) 양자강에서 살고 있습니다. 1950년대 후반(後半)까지만 해도 6,000여마리에 달했으나, 1974년에 300여 마리로 감소(減少)하더니 1997년에는 겨우 100여 마리로 멸종(滅種) 직전(直前)에 도달(到達)했습니다. 중국정부(中國政府)에서는 이 고래를 보존(保存)하기 위해 폭(幅) 1.25마일, 길이 12.5마일을 보호구역(保護區域)으로 설정(設定)하고 수족관(水族館)에서 생육(生育)시켜 보려 하였으나 수온(水溫)을 맞추지 못해 모두 죽고 말았습니다. 특별(特別)한 경우(境遇)로 qiqi라는 이름의 흰 돌고래(baiji)만이 18년간 생존(生存)했습니다.


 흙탕물에 사는 바이지를 비롯한 민물 돌고래의 눈은 거의 퇴화(退化)되었고 대신에 음파(音波)를 탐지(探知)하는 청각기능(聽覺機能)이 매우 발달(發達)되어 있어서 모든 생활(生活)을 여기에 의존(依存)하고 있습니다. 수 천만년을 청각기능을 사용(使用)하여 평화롭게 살아오던 민물 돌고래들에게 시련(試鍊)이 닥친 것은 불과 100여년도 채 안됩니다. 인간의 문명(文明)으로 인한 급속(急速)한 산업화로 강은 극도(極度)로 오염(汚染)되어 서식지 파괴를 초래(招來)했고, 강을 오르내리는 배의 엔진소리를 비롯한 인공적(人工的)인 소음(騷音)들이 민물고래들의 감각기관(感覺器官)을 마비(痲痹)시켜 생존(生存)을 위협(威脅)하는 요소(要素)로 작용(作用)하고 있습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현재(現在) 양자강에서는 3개의 대형 댐 건설이 진행(進)되고 있어 그 영향(影響)으로 물의 흐름이 바뀌고 수온의 변화(變化)가 심해져 결국은 생태계(生態界) 파괴로 이어지고 따라서 바이지(baiji)를 비롯한  희귀어류(稀貴魚類)의 생존에 심각한 타격(打擊)을 주게 되는 것입니다.






                                                          바이지(baiji)  5로 계속 이어집니다.   

 

 

 

 

이강길
 

                                                           
                                                            누구라도 그러하듯이...

              

 

 

 
 
배봉균( (2005/10/16) : Inia geoffrensis - 아마존 분홍 돌고래baeyoakim)
 
배봉균( (2005/10/16) : Lipotes vexillifer - 양자강 돌고래(바이지)baeyoakim)
 
배봉균( (2005/10/16) : Platanista gangetica, Platanista minor. - 갠지스강 돌고래baeyoakim)
 
배봉균( (2005/10/16) : Phontophoria blainvillei. - 인더스강 돌고래baeyoakim)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