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복음 묵상]3월 10일 사순 제2주간 토요일-루카 /양승국 스테파노 신부님.
작성자양춘식 쪽지 캡슐 작성일2007-03-09 조회수626 추천수9 반대(0) 신고

3월 10일 사순 제2주간 토요일-루카 15,1-3.11ㄴ-32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늘 손해만 보시는 아버지


“아버지, 제가 하늘과 아버지께 죄를 지었습니다.”


   돈보스코 성인의 3대 후계자인 필립보 리날디 신부님(1856-1931)의 전기(피에트로 리날디저, ‘사랑에 강요되어’, 돈보스코 미디어)를 읽고 있습니다.


   단 하루라도 리날디 신부님과 살아본 사람들이라면 다들 한목소리로 이렇게 증언했더군요.


   “정말이지 저는 단 한 번도 그분을 윗사람으로 생각해본 적이 없습니다. 그분은 저의 행복을 위해 온갖 수고를 마다않는 제 친아버지와도 같았습니다. 그분과 함께 했던 수도생활은 아기자기하고 화목한 가정생활 바로 그것이었습니다.”


   어느 날 농부출신의 나이 많은 요한이라는 신학생이 자신의 지적 무능력을 한탄하며 리날디 신부님의 방문을 두드렸습니다.


   “신부님, 죄송합니다만, 저는 결코 훌륭한 사제가 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만 두는 것이 현명한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요한 신학생가 겪고 있던 고초뿐만 아니라, 그가 지니고 있던 많은 잠재력과 열정을 파악하고 있던 리날디 신부님은 그의 지친 어깨를 가볍게 두드려주며 이렇게 격려의 말을 건넸습니다.


   “요한, 중앙 제대 위의 초들을 본적이 있는가? 어떤 것은 길고 어떤 것은 짧지. 하지만 모든 초가 주님께 봉사하기 위해 거기 서있는 것이라네. 사실 짧은 초가 긴 초보다 훨씬 유용할 때가 있다네. 동트기 전에 미사를 드릴 때, 긴 초들은 사실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네. 반면에 짧은 초는 사제가 미사경본을 읽은 데 아주 큰 도움을 주지. 교회 안에서도 마찬가지라네. 교회는 낮은 자리에서 주님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할 ‘키 작은’ 사제들을 더 필요로 한다네. 자네는 그런 사람들 가운데 하나가 될 거야.”


   리날디 신부님의 진한 부성애와 잔잔한 위로에 크게 감동을 받은 요한 신학생은 다시 책을 손에 들었습니다. 그는 후에 브라질 선교사로 파견되었습니다. 위기에 처한 인디언들의 사도이자 또 다른 따뜻한 아버지로 살다가 그곳에 뼈를 묻게 됩니다.


   부성애, 머릿속에 떠올리기만 해도 가슴 훈훈해지는 단어입니다. 사제라면 누구나 따뜻한 부성애를 지닌 사람으로 살아가고 싶을 것입니다. 공동체나 단체의 책임자들 역시 수하 사람들에게 부성애를 보여주고 싶을 것입니다. 가정의 아버지들 역시 아이들에게 부성애를 실천하고 싶을 것입니다.


   그런 마음을 지닌 분들, 오늘 복음을 늘 마음에 담고 살아가시길 바랍니다. 오늘 우리에게 소개되고 있는 복음은 수많은 성서의 비유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비유입니다.


   보통 이 비유를 사람들은 ‘탕자의 비유’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오랜 방황 끝에 아버지께로 돌아서는 작은아들에 초점을 맞춘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작은아들에 앞서 바라봐야할 대상이 있습니다. 바로 ‘아버지’입니다.


   이 아버지는 철저하게도 수동형이십니다. 아들에게 늘 손해 보시는 아버지이십니다. 때로 무능해보이고, 무기력해보이기까지 합니다. 마치도 십자가에 매달리신 예수님과도 비슷합니다.


   작은아들이 유산을 미리 챙겨가겠다는 요구를 했습니다. 아버지 입장에서 보면 정말 속상하는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 결과는 확연한 것이었기에 아버지 입장에서 보면 엄청 화가 났을 것입니다. 저 같았으면 ‘눈에 흙이 들어가기 전에는’ 유산을 분배해주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아들의 요구를 뿌리치지 못하십니다. 작은아들이 원하는 대로 그냥 해주십니다.


   완벽한 거지가 되고 나서야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돌아오는 아들을 맞이하는 아버지의 모습도 철저한 수동형이십니다. 결코 내치지 않으십니다. 왜 그랬냐고 따지지 않으십니다. 다시는 그러지 말라고 다그치지도 않으십니다. 그저 기쁜 얼굴로 작은아들을 환대하십니다.


   우리의 아버지는 변덕스런 우리와는 너무나 다른 분이십니다. 늘 거기 그대로 서 계십니다. 우리가 떠나갈 때도 그냥 안타까운 마음으로 눈물 흘리고 마냥 서계십니다. 우리가 다시 그분께로 돌아갈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디 다른 데 가지 않으시고, 그 자리에 서서 우리를 기다리고 계십니다. 언제나 그러셨던 것처럼 우리를 향해 팔을 벌리십니다. 죄구덩이 속에 살아온 우리를 내치지 않으시고 있는 힘을 다해서 포옹해주십니다.


   이런 모습이야말로 우리 아버지 하느님의 본 모습입니다. 이런 모습 때문에 우리는 어쩔 수 없이 다시 그분께로 돌아서야 하는 것입니다. 이렇듯 우리의 하느님은 ‘어쩔 수 없는 내 사랑’이십니다.


                     ♣ 살레시오회 수도원 수련원장  양승국 신부 ♣


 

[2007 년 사순특강 안내]

 때: 2007년 3월 27일[화] 오후 7시 미사 후 

장소: 중림동[약현성당]

강사: 양승국 스테파노 신부님

내용: '자비로우신 하느님'

은총의 시간되셨으면 참 좋겠습니다.  

              

[언제나 주님과 함께:카톨릭성가32번]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