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7월 17일 야곱의 우물- 마태 11, 20-24 묵상/ 배은 망덕
작성자권수현 쪽지 캡슐 작성일2007-07-16 조회수541 추천수7 반대(0) 신고

배은망덕

그때에 예수님께서 당신이 기적을 가장 많이 일으키신 고을들을 꾸짖기 시작하셨다. 그들이 회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불행하여라, 너 코라진아! 불행하여라, 너 벳사이다야! 너희에게 일어난 기적들이 티로와 시돈에서 일어났더라면, 그들은 벌써 자루옷을 입고 재를 뒤집어쓰고 회개하였을 것이다. 그러니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심판 날에는 티로와 시돈이 너희보다 견디기 쉬울 것이다.
 
그리고 너 카파르나움아, 네가 하늘까지 오를 성싶으냐? 저승까지 떨어질 것이다. 너에게 일어난 기적들이 소돔에서 일어났더라면, 그 고을은 오늘까지 남아 있을 것이다. 그러니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심판 날에는 소돔 땅이 너보다 견디기 쉬울 것이다.”
(마태 11,20-­24)
 
노성호 신부(수원교구 모산골 천주교회)
◆어느 특정 인물 때문에 공동체 전체가 책임을 감수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오늘 복음에 등장하는 세 고을처럼 구성원 전체가 올바로 살지 못하여 그 고을 이름 자체가 저주의 대상이 되는 경우는 흔치 않다.
갈릴래아 호수에서 북쪽으로 3킬로미터 떨어진 ‘코라진’과 베드로·안드레아·필립보의 고향이며 요르단 강이 갈릴래아 호수로 들어오는 입구 동쪽에 있는 ‘벳사이다’, 그리고 갈릴래아 호수 북쪽 어촌으로 시몬 베드로의 집이 있었던 ‘카파르나움’은 호수 주변이다 보니 경제적으로 넉넉한 생활을 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세 곳은 갈릴래아 호숫가를 전도의 활동 무대로 사용하셨던 예수님의 발자취가 가장 많이 남아 있는 곳이기에 그만큼 하느님의 말씀이 많이 선포된 곳이기도 하다. 특히 카파르나움은 예수께서 공생활 중에 주로 거처하시면서 갈릴래아 및 이스라엘 각지를 순회하신 곳이기도 하다. 정리해 보면 이 세 곳은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면서 하느님의 축복도 많이 받은 고장이었다. 그런데 늘 하느님의 뜻과는 반대되는 모습으로 살았고 회개하지 않았기 때문에 불행하게도 예수님의 종말 심판을 선고받게 된 것이다.
 
‘티로’와 ‘시돈’ 지방은 현재 레바논 공화국 지중해변에 자리잡고 있는 항구도시이며 퇴폐로 소문난 곳이고, ‘소돔’은 사해 남쪽에 있었던 전설적인 고을로, 남색을 일삼다가 유황불로 타버린 곳으로 유명하다. 창세기 19장에 나오는 ‘고모라’도 이 고을들과 별 차이 없이 ‘죄’라는 면에서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죄악이 만연한 곳으로 전해진다.
 
그런데 오늘 복음에 등장하는 세 고을이 티로와 시돈, 소돔과 고모라보다 더 불행하다는 평을 받았으니 그들의 행실이 어떠했을지 짐작하려는 것조차 두렵고 떨리는 것이 사실이다. 하느님의 축복을 많이 받고 있으면 그에 대해 감사하며 선행에 힘쓰고 하느님 마음에 들게 살아야 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그렇지 못하고 배은망덕을 보이게 된 것이다.
 
이는 우리한테도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예수님의 말씀을 가장 많이 듣는 신앙인이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낫지 않다면 이는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축복을 받는 자답게 늘 주님께 마음을 돌리고, 회개의 삶을 살아야 할 것이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