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Fr.조명연 마태오]
작성자이미경 쪽지 캡슐 작성일2008-06-02 조회수1,067 추천수18 반대(0) 신고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08년 6월 2일 연중 제9주간 월요일
 
 
 
 This is the heir.
Come, let us kill him, and the inheritance will be ours.
(Mk.12.7)
 
 
제1독서 베드로 2서 1,2-7
복음 마르코 12,1-12
 
 
얼마 전, 어떤 식당에 들어갈 일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식당에 들어가고 싶어도 도저히 들어갈 수가 없었지요. 왜냐하면 식당에 들어가는 문이 꿈쩍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자세히 보니 위에 센서가 있습니다. 자동문입니다. 그래서 저는 센서 앞에서 손을 이리저리 흔들었습니다. 그러면 센서가 작동해서 문이 열릴 것으로 생각했던 것이지요. 하지만 역시 문은 움직이지 않았습니다. 가게를 열지 않았나 싶어서 안을 들여다보니, 안에서는 종업원들이 열심히 움직이며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그 안의 종업원들을 부르기 시작했지요.

“여보세요. 문 좀 열어주세요.”

그러나 그 소리가 들리지 않는지 아무도 열어주지를 않습니다. 이 식당에서 누구를 만나기로 했기 때문에,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데 방법이 없었지요. 저는 특별히 초대받은 사람만 들어가는 식당인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문 옆에 이상한 버튼 하나를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그 버튼에는 이러한 글씨가 적혀 있더군요.

“여기를 눌러주세요.”

이 버튼을 누르니, 신기하게도 문이 열립니다. 맞습니다. 자동문을 여는 열쇠는 바로 문 옆에 있었던 것이지요. 사실 그 버튼이 작은 것도 아니었습니다. 눈에 확 띄는 큰 버튼이었지요. 그러나 저는 자동으로 열릴 것으로 기대하고는 바보같이 손만 흔들고, 또 말로써 문을 열어달라고 소리치고 있을 뿐이었습니다.

중요한 것은 버튼을 누르는 것이었습니다. 바로 이 중요한 한 가지를 하지 않음으로 인해서 자신이 원하는 곳에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지요. 그런데 하느님 나라도 이럴 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사랑의 실천이라는 이 한 가지가 없이는 하느님 나라에 절대로 들어갈 수 없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 세상은 힘의 원리가 지배되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소위 돈 있고 빽 있는 사람들이 큰소리 뻥뻥 치면서 잘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느님께서 인정하시는 모습은 이렇게 힘의 원리를 내세우는 사람이 아니라, 사랑의 실천을 하면서 하느님 아버지께 순종하는 모습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오늘 복음에 등장하는 포도밭의 소작인들 역시 힘의 원리를 내세우는 사람이지요. 그래서 주인까지도 무시하여, 주인의 아들까지 죽여 버리는 힘을 보입니다. 그러나 그 결과는 과연 어떻습니까? 결국 그 소작인들을 없애 버리고 포도밭을 다른 이들에게 주게 됩니다.

힘의 원리만을 내세우는 소작인의 모습이 바로 우리들의 모습이 되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대신 우리 삶의 주인이신 하느님 아버지의 뜻에 맞게 철저히 사랑의 실천을 행하는 우리들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때 하느님 나라로 상징되는 포도밭에서 영원한 생명과 행복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힘을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사랑을 내세우는 우리들이 됩시다.




실패는 시간 낭비가 아니다(박성철,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은’ 중에서)

최고의 스키 선수가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은 스키를 잘 타는 법이 아니라 잘 넘어지는 법입니다.

세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일은 단번에 이루어지는 법이 없습니다.

이건 에디슨의 일화입니다.

에디슨이 수많은 실패 끝에 전구를 발명하자 한 기자가 찾아와 이렇게 물었습니다.

"선생님이 6,523번의 실험 끝에 이 전구를 발명하셨다고 하던데 그렇다면 6,522번의 실험은 시간 낭비였던 것 아닙니까?"

그러자 에디슨은 정색을 하며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시간 낭비라니요? 나는 6,522번의 실험 끝에 그렇게 해서는 안 된다는 소중한 교훈을 얻게 되었는데요."

단 한 번의 성공을 위해 세상은 많은 실패와 좌절을 요구합니다.

자신이 뜻하는 바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해서 포기한 채 고개 숙이고 웅크리고만 있지 마십시오.

이제…… 내가 실패했던 일.

그 일이 할 수 없었던 일이었기 때문에 포기한 것이 아니라 포기해 버렸기 때문에 할 수 없었던 것은 아닌지 생각해 봐야 할 시간입니다.
 
 
 
 
Foolish Heart - Ernesto Cortazar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