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Fr.조명연 마태오]
작성자이미경 쪽지 캡슐 작성일2008-12-06 조회수951 추천수15 반대(0) 신고
빠다킹 신부와 새벽을 열며
2008년 12월 6일 대림 제1주간 토요일
 
 
 
Go to the lost sheep of the house of Israel.
Without cost you have received; without cost you are to give.
(Mt.10.6,8)
 
 
제1독서 이사야 30,19-21.23-26
복음 마태오 9,35―10,1.6-8
 
 
한 소년이 사소한 일로 자기보다 검술이 뛰어난 무사의 아들과 결투를 벌이게 되었습니다. 도저히 이길 승산이 없는 결투였습니다. 그렇다고 무참히 죽기도 싫었지요. 그래서 검객으로 유명하다는 스승을 찾아가서 이렇게 말합니다.

“명예롭게 죽는 방법을 가르쳐 주십시오.”

“죽을 각오는 되었느냐?”

“예.”

“그렇다면 가르쳐 주마. 상대와 마주 서거든 우선 칼을 높이 들어 겨누고서 눈을 감아라. 절대 눈을 뜨지 마라. 그리고 기다려라. 상대방의 칼이 네 몸에 닿는 순간 가차 없이 칼을 내리 쳐라.”

생전 처음 해보는 결투, 소년은 사생결단을 내리기로 했지요. 눈감고 칼을 높이 들고 기다렸습니다. 그런데 한참 후 상대가 바닥에 칼을 던지며 말하는 것이에요.

“이 승부는 내가 졌다.”

소년은 눈을 떴으나 어째서 자기가 이겼는지 알 수 없었습니다. 스승을 찾아가 그 까닭을 물었더니 “너는 칼을 맞고 죽지만, 상대방도 내려치는 네 칼에 또한 죽게 된다. 즉, 서로가 서로를 치는 것이지, 상대가 물러선 것은 그 점이 무서웠기 때문이다. 검도란 그런 것으로 생명을 버리지 않으면 이기지 못한다.”

자신의 생명을 버리겠다는 마음가짐으로 싸우려 했기에 이길 수가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 역시 이러한 마음가짐을 필요할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남의 생명의 취하기 위해서 이런 마음을 가져서는 안 되지요. 그보다 주님의 뜻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이런 마음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도 이러한 사람이 필요하다고 하시지요. 당신께서 계속 이 세상에 남아서 직접 병자와 허약한 이들을 고쳐줄 수 없기에, 그 몫을 계속 이을 당신의 일꾼을 필요로 하는 것입니다.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

더군다나 우리가 주님으로부터 받은 것이 얼마나 많습니까? 지금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음 그 자체만으로도 주님께 감사와 찬미를 드림이 마땅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부족하다고 더 많은 것을 내어 놓으라고 주님께 말하고 있는 내 자신의 이기심에 스스로 한숨이 나올 뿐입니다.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라는 예수님의 말씀을 기억하면서 다시금 주님의 뜻을 실천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는 결심을 해봅시다. 그래서 이제 주님의 말썽꾸러기가 되는 것이 아니라, 주님의 진정한 일꾼이 되어 주님께 도움이 되는 우리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너 자신을 도와라. 그러면 하늘이 너를 도울 것이다. (라 퐁텐)




연필 같은 사람(파울로 코엘료, ‘흐르는 강물처럼’ 중에서)

할머니가 편지 쓰는 모습을 보던 소년이 물었다.

“할머니, 혹시 제 이야기를 쓰고 계신 거예요?”

“그래, 너에 대한 이야기야. 이 할머니는 네가 이 연필같은 사람이 되면 좋겠구나.”

소년은 의아한 표정으로 연필을 주시했지만 특별히 눈에 띄는 점은 없었다.

“하지만 늘 보던 거랑 다를 게 하나도 없는데요!”

“그런 어떻게 보느냐에 달린 문제란다. 연필에는 다섯 가지 특징이 있어. 그럴 네 것으로 할 수 있다면 조화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게야. 첫 번째는 네가 커서 큰 일을 할 때 연필을 이끄는 손과 같은 존재가 네게 있음을 알려 준단다. 우리는 그 존재를 신이라고 부르지. 그분은 늘 너를 당신 뜻대로 인도하신단다.”

“두 번째는 가끔 쓰던 걸 멈추고 연필을 깎아야 한다는 거야. 당장은 좀 아파도 심을 더 예리하게 쓸 수 있지. 너도 그렇게 고통과 슬픔을 견뎌 내는 법을 배워야 해. 그래야 더 나은 사람이 될 수 있어.”

“세 번째는 실수를 지울 수 있도록 지우개가 달린 점이란다. 잘못을 바로잡는 건 부끄러운 일이 아니야. 오히려 우리가 옳은 길을 걷도록 이끌어 주지.”

“네 번째는 연필에서 가장 중요한 건 나무가 아니라 그 안에 든 심이야. 그러니 늘 네 마음속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그 소리에 귀를 기울이렴.”

“다섯 번째는 연필이 늘 움직인다는 거야. 마찬가지로 네가 하는 모든 일 역시 흔적을 남긴다는 걸 명심하렴. 우리는 스스로 무엇을 하는지 늘 의식하며 살아야 하는 거란다.”
 

Story of St Nicholas
 

Thanks To Life - Ernesto Cortazar
LeAnn Rimes - How Do I Live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