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Re : 몽고습래회사(일본측에서 여몽연합군의 일본침공을 그린 그림) - 펌
작성자배봉균 쪽지 캡슐 작성일2007-01-09 조회수1,171 추천수7 반대(0) 신고

 

 

 몽고습래회사(일본측에서 여몽연합군의 일본침공을 그린 그림) - 펌

 

 

 

네이버 오픈백과 : 몽고습래회사(여, 몽 연합군의 일본 침공)

 

'몽고습래회사'는, 700여년 전 여, 몽 연합군의 일본침략을 생생히 묘사한 두루마리 그림입니다.

이건 일본 측 에서 만들어진 그림이라서 이 그림의 주인공은, 당시 일본군을
지휘하던 '다케자키 스에나가' 입니다. 그는 여, 몽 연합군이 침공한 지방의
영주 였습니다.

우리 고려군이 주력이었던 이 연합군의 침략은 1274년과 1281년에 있었는 데,
1차침략은 여, 몽 연합군이 쓰시마, 이키 섬을 거쳐서 큐슈의 하카다만에 상륙합니다.
무려 900척의 전함과 4만명의 군사가 하카다 만에 상륙했는 데, 10월 20일에
일본 무사들을 처참히 패배시킵니다. 그리곤 큐슈 전역을 휩쓸어버리죠.

치열한 전쟁터인 이키섬엔 연합군과 일본 군의 시체가 있는 '천인총'이
있으며, 그 지역 토산품가게에선 '무쿠리 고쿠리'라는 목제품을 파는 데,
그 뜻은, 두번에 걸친 침략으로 인근 남자들이 모두 살해된 것에 비롯된
처참함과 잔혹함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당시 몽골군과 고려군의 복장은 서로 달랐는 데, '몽고습래회사'에 그려진 모습을 보면, 고려군은 갑옷에 점선이 있고 몽골군은 목가리개가 있는 모습으로
서로 모습이 역시 판이하게 달랐습니다.
그걸로써 이 일본 침공의 주력은 고려군인 걸 알 수 있었겠죠.

이제 왜군이 전투에서 밀릴 수 밖에 없었던 전투법과 무기의 차이를 보시자면, 먼저 그 당시 주무기였던 활을 비교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왜군의 활은, 220cm나 되는 긴 장궁이었고, 연합군의 활은 1m 안팎의 작은
단궁이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많은 무기와 전법 또한 판이하게 달랐습니다.

후쿠오카의 하코자키 궁의 신사에서 보관 중인 연합군의 활은, 길이 120cm
가량으로 전형적인 고려 활입니다. 재질은, 뽕나무와 대나무로 되어 있고,
가운데는 쇠로 연결되었으며, 양 끝은 고래 뼈로 이루어졌습니다.
조선전기의 활과 비슷한 모양입니다.
일곱 가지 복합적인 재료로 만든 고려 활은 탄력을 중시하며 만든 활입니다.

반면 일본의 활은, 재료가 대나무와 가래나무로만 만들어서 탄력이 고려 활
보다 떨어집니다.

'역사스페셜' 에서 실험을 해본 결과, 고려 활은 평균 사정거리가 185m로 측정됬고, 일본의 활은 겨우 80m 정도 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관통력은, 30m거리에서 2cm나무 판을 뚫는 실험에서 고려 활은 성공했지만, 일본의 활은 실패했다고 합니다.

이는 아시다싶이 전력에 판이한 차이를 가져왔습니다.
활 말고도 연합군은 '철포' 라는 무기를 사용했는 데, 표면에 돌기를 내서 터질 때 살상력을 더 효과적이게 했습니다.
이 철포는 지금의 수류탄 정도의 파괴력을 지니고 있었는 데,
이런 무기를 처음 본 왜군은 궁금해서 몰려들다가 많은 사상자를 냈다고 합니다. 이 철포는 파괴력도 좋고 큰 소음과 연기를 내뿜어서 왜군의 전투력을 상실시켜 버렸습니다.

바다를 건너 싸운이 1,2차 침공에서 우리 고려군의 조선술은 빼놓을 수 없습니다. 원나라 기록인 '원사'에도, 태풍 때문에 원나라 배는 거의 파괴됐지만,
고려군의 배는 대부분 무사했다고 합니다.
가미가제를 견뎌낸 고려 전함의 닻과 닻돌이 나카사키 현에 보관되 있는 데,
닻과 닻돌2개를 합쳐 무게가 1t에 육박한다고 합니다.
이런 대선은 300척이 있었는 데, 이 배들은 'MADE IN 고려' 라고 합니다.
길이는 25M에서 30M 내외였다고 합니다.
전사 60명, 인부 3, 40명 정도가 타서 모두 80~90명 정도가 탔다고 한다.
이런 대선 300척을 포함, 900척의 배를 무려 4개월만에 만들었다고 합니다.
이는 고려가 만만 찮은 해상왕국이라는 걸 보여줍니다.

고려군의 활약을 보자면, 우선, 당시 일본 원정의 총사령관은 김방경 장군이었습니다. 당시 우리 고려군 2만명을 데리고 '소하라'라는 지역에 상륙했습니다. 일본에는 당시 양측의 전투방식을 소상히기록한 '하치만구도키'라는 기록을 보면, 연합군이 북과 징을 치고 폭죽 철포를 터뜨리며 함성을 지르며 공격하자, 왜군의 말들이 놀라 어쩔 줄 몰라했다고 합니다.
중세 왜군은 먼저 대장이 자신의 내력과 경험을 소개한 뒤, 징 대신 소리나는 활(카부야라)을 쏘아 선전포고를 했다는 데, 당연히 연합군의 대규모 전투엔 왜군은 대적 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몽고습래회사'를 보면 항상 고려군이 선두에 서서 공격을 합니다.

당시 몽골의 총사령관인 홀돈이,'박지량, 김흔, 조변 등이 힘써 왜군을 대파하니 그 시신이 삼대와 같았다. 몽골군이 싸움에 익숙하지만 어찌 고려군에 비하리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몽고습래회사' 에도, 고려군은 용맹이 싸우지만, 몽골군은 화살에 맞고 도망치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걸봐서 고려군의 힘을 엿볼 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몽골의 강압에 따른 일본 침공이었지만, '몽고습래회사'에 기록된 것처럼, 우리 고려군의 조선술, 전투력을 국제 사회에서 확실히 입증시킨
전쟁이었습니다.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몽골은 이 전쟁 이 후 고려의 해상 활동을 중지
시켰답니다.

 

 


여몽 연합군 그들의 일본원정.
 
몽골.. 그러니 중국에 세로이 눌러앉은 세력이 되버린 원(元)나라의 쿠빌라이는 마르코 폴로에게 아주희귀한 사실을 듣게됩니다. 동방견문록의 '마르코 폴로' 그는 도시의 어떤 상인에게 그사실을 듣게됩니다.


동쪽의 섬나라에는 황금의 나라가있는데 그곳에는 여왕이 나라를 통치하고 온나라가 금으로 가득차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결국 마르코폴로는 이사실을 쿠빌라이 칸에게 이야기해주고, 쿠빌라이칸은 욕심이 생겨 각영지에서 용병들을 대거 징발하여 일본원정을 기획합니다.


이렇게하여 여몽의 연합군이 소집되었고 몽골의일본원정이 기획되었고 그이유가되었습니다.


이 원정중에서 가장 많은 군대를 징발하여 일본을 정벌케한것은 고려인데 사실상 쿠빌라이는 고려인들의 전투능력을 잘알고 그들을 신뢰하였고 또한 일본과 가장가까운 국가였기 때문에 상당수의 일본원정군에 고려인을 징발하여 포함시켰습니다. 몽고군은 여진족과 거란족 한족병사가 대다수 포함되었으니 일단은 이들은 전부 몽골의 땅에 등록되있는 군대이기 때문에 몽골군이라 표시되어서 그많은 여타다른 민족군대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고려와 몽골이라는 두개의 연맹체 의 여몽연합군이라고만 불리웁니다.


네번째의 어떻게 됐냐란 질문이라면..


그림으로 전투순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그림이 작게보일탠데 클릭해서 크게해서 보십시오. 이그림들은 전투전개과정이 어떻게 치닫냐의 그림들입니다.


많은수의 사무라이 와 그외 대다수를 차지하는 아시가루등의 병졸들이 몽골원정을 막으려는 군대에 포함되었습니다.



많은수의 사무라이들이 몽골을 위해 동원되어 결집하는 장면.



이것은 여몽연합군이 후퇴하는 장면인데 사실상 후퇴가아니라 유인일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추격하는 기병이 한명이라는겁니다 ㅡㅡ;



이것이 대표적인 전투입니다. 사실상 유인전이아니라 거의 전면전입니다. 전투의 전개과정은 일본대대가 사시가 낮은 원정군을 중앙 돌파하려는 장면입니다. 하지만 몇몇 소수의 정예부대가 활과 투창을 던져 일본군 기병대의 돌격을 막으려 하는군요. 전열이 붕괴되어 연합군사기가 떨어진것을 봐서 일본군이 적을 뚫어버리겠군요..

고려군은 활과 투창 또 옆에보시면 진천뢰라는 폭탄이 터집니다.

제일 눈에띄는것은 3명의 투사로써 이들의 출신지가 나라별로 주장이 다르단것입니다. 문헌에따르면 전투배치는 항상 고려군이 최1선에 배치되고 그뒤에 여진과 거란족 한족으로 이루어진 몽골군이 배치되었습니다.

사실 도망치는 병사도 전원 고려군일수 있습니다. 다른나라에 의해 동원된 원정군은 사기가 낮고 전투력이 높다고 할수는 없으니 말입니다.


위 사진들은 모두 몽고습래회사로 그당시 육지전투의 전개과정을 보여주는 그림들입니다.


해상전투



해군이 집결중입니다.



흠 몇명은 배에서 떨어지는데.. 이그림은 자세히모르겠습니다. 대충 수군이 집결했다고 박에는 ㅡㅡ;



본격적인 해전장면인데 맨왼쪽에 변발을하고 갑옷을 안입은 거란족, 중간에 방패를 두른 전선의 병사들은 한족병사? 맨오른쪽에서 첫번쨰와 두번째 의 배들은 고려인과 여진족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맨왼쪽 거란족외의 병사들은 추측인지라. 누가어느나라 군인지 모르겠군요.

1274년과 1281년에 몽고의 칩입의 전쟁과정은..

평씨를 무너뜨린 미나모토요리토모(源賴朝)가 가마쿠라[가나가와켄(神奈川縣)]를
근거지로 정하고 무사정권(막부)을 수립하게 됩니다(1192년). 이 가마쿠라막부는 약 140년간 계속되었는데.. 이 기간을 가마쿠라시대(1192-1333)라고 합니다.
따라서 1260-1300년은 가마쿠라 막부시대에 속합니다.

일본은 몽고와 고려 연합군의 본토 상륙을 막기 위해 관문인 하카다 연안 일대에
방루를 쌓는데요. 해안에 쌓아진 방루의 길이만도 20킬로미터에 이른다고 합니다.
9백척의 전함과 4만명의 병력을 이끌고 고려 몽고 연합 함대는 큐슈의 하카다만에
상륙합니다.

1274년 10월20일 이곳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는데 일본 무사들의 처참한 패배로 방어선이 무너지고, 그 기세를 몰아 연합군은 큐슈 일대를 휩쓸어 버렸다고 합니다.


몽고군은 바다를 건너 싸우는 전쟁엔 익숙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해상전에 강한 고려군이 일본 원정에서 맹활약을 벌였습니다. 일본 원정에서 고려군의 총사령관은 김방경 장군. 그는 2만여명으로 이루어진 고려군을 이끌고 참전한 것입니다.


이 전쟁에서 그 유명한 <가미가제>라는 말이 나오게 됩니다. 사무라이는 '섬기는 사람' 을 의미합니다. 요리토모가 가마쿠라에 세운 정부는 군주를 충성스럽게 섬기는 것을 개인의 윤리로 확립시켰는데요. 사무라이는 그의 칼로써 주군을 섬겼으며 전쟁의 신인 하치마뿐만 아니라 검에 대해서도 숭배했습니다. 명예를 보존하는 방법으로써 의식적으로 자살하는 관습인 할복자살(세푸코, 하라키리)도 이 시기에 유래되었죠.


중앙 아시아의 초원 지대에서 일어난 몽고의 세력이 규슈의 해안을 공격하던때,
가미쿠라 막부의 지배하에서 사무라이들이 동원됩니다. 그러나 몽고의 두번에 걸친 공격은 침략선을 난파시킨 살인적인 태풍에 의해 그 승패가 결정됩니다.
일본을 구제해 준 이 태풍이 가미가제(神風), 즉 '신성한 바람' 이라고 불렸는데, 이 말은 일본이 제2차 세계대전당시 외국 침략의 위협에 직면했을때 다시 유행하게 되죠.
내용출처 : http://blog.naver.com/hermod_k.do?Redirect=Log&logNo=80001720988

http://www.lib.kyushu-u.ac.jp/gallery/moukoshurai/index.html

 




「蒙古襲来絵詞」(もうこしゅうらいえことば)は鎌倉時代の肥後国御家人竹崎季長(たけざき・すえなが)が作成したもので、文永・弘安の役(元寇)の様子が絵と詞書に克明に記録されています。 「蒙古襲来絵詞」の原本(現在、宮内庁所蔵)は、近世に熊本藩士大矢野家が所蔵していました。18世紀末に、この絵巻物が発見されると、大名や文人たちの関心をよび、多くの模本が作成されました。 現在、「蒙古襲来絵詞」の模本は40種類ほどが知られており、本ページでご紹介する九州大学附属図書館所蔵「蒙古襲来絵詞」(九大本)は、近世後期に肥後の阿蘇神社にあった模本をさらに写したものです。 この九大本は楽翁本宮崎県立総合博物館所蔵)と同じ系統の模本です。 楽翁本とは、寛政年間(1789~1800)に松平定信が写させたものですから、九大本はかなり早い時期の模本といえます。このため、 原本では破損して読めない詞を判読できる部分もあり、学会でも著名な模本の一つです。

本ページでは九大本の絵・詞の配列を一部変更して掲載しています。
原史料保護のため、一般公開はしておりません。
本ページに掲載する画像の無断使用は禁止します。


文永の役

1274年の秋、元軍は軍船900艘と兵員28000人で博多湾に侵入しました。今津や百道に上陸し、
祖原山に陣を構え、赤坂、鳥飼、箱崎などで激しい戦いを繰り広げました。元軍の集団戦法や
毒矢・鉄砲という新兵器に苦戦し、水城まで退却しましたが、元軍もその日のうちに船に引き
上げました。


竹崎季長、博多へ向かう
【解説】
蒙古が襲来した博多へ軍勢が移動している。画面左から3人目が竹崎季長(「肥後国竹崎五郎兵衛尉季長」)。画面右は豊後守護大友頼泰の手勢(「豊後国守護大友兵庫頭頼泰元手軍兵」)。画面中央に見えるのは筥崎宮の鳥居(「はこさきミやのとりゐ」)。詞書
蒙古兵を討取る
【解説】
画面右から2人目は三井資長(季長の姉婿)、5人目が季長。画面左には蒙古兵を討取った手勢がみえる(「てのものふんとりあまたなり」)。
三井資長、蒙古兵を撃退する
【解説】
画面右は弓を射る三井資長(みつい・すけなが)(「季長姉聟三井三郎資長」)。画面左は退却する蒙古兵。
季長、奮戦する
【解説】
画面中央は馬を射られて苦戦する季長と、弓・槍で季長を襲う蒙古兵。画面中央上では鉄砲(「てつはう」)が爆発している。画面左は負傷して退却する蒙古兵と、麁原(そはら)に陣取る蒙古軍の本隊。画面右は、季長の旗指(はたさし)・資安(「季長旗指、三郎二郎資安」)と、季長を救援するため駆けつけた白石通泰(しらいし・みちやす)の軍勢(「白石六郎道泰、其勢百余騎、後陣よりかく」)。詞書
季長、御恩奉行・安達泰盛に直談判する
【解説】
鎌倉幕府の御恩奉行・安達泰盛(あだち・やすもり)の屋敷。画面左奥が泰盛。その面前で季長は蒙古合戦の勲功を主張し、恩賞を要求している。詞書
季長、泰盛から馬を拝領する
【解説】
季長(左から2人目)は泰盛(右奥)から馬を拝領する(実は季長は鎌倉まで徒歩で参上していた)。詞書



弘安の役

南宋を滅ぼした元は、東路軍(元・高麗)と江南軍(元・南宋)合わせて軍船45000艘、
兵員140000人の大軍で、1281年再び日本遠征に向かいました。先に出発した東路
軍は博多湾に侵入しましたが、防塁や武士の元船への攻撃で上陸できませんでした。
江南軍と合流し再び博多湾を目指す途中、長崎県鷹島沖で暴風雨に遭い、多くの軍
船が沈み、退却しました。


蒙古兵、志賀島に上陸
【解説】
弘安4年6月6日、蒙古軍(東路軍)4万人は博多湾に侵入、志賀島(しかのしま)に上陸して戦闘を開始した。絵には「志賀島大明神」の鳥居付近の蒙古兵が描かれている。
季長、河野通有の屋敷を訪ねる
【解説】
志賀島の合戦で軍功をたてた伊予国御家人河野通有(こうの・みちあり)が、屋敷を訪れた季長に戦闘の様子を語っている場面。ちなみに、通有は烏帽子(えぼし)を着けていないが、河野家では合戦の最中に烏帽子を着けないことが慣わしであったらしい。〈画面右から1人目=季長、2人目=河野通有、3人目=嫡子河野八郎〉
季長、生の松原の石築地の前を通過する
【解説】
季長が志賀島へ向けて生の松原(いきのまつばら)を出発する場面。画面中央の騎馬武者が季長。その奥で石築地(いしついじ)に腰掛け、赤い扇子を手にしている人物が肥後国の有力御家人菊池武房(きくち・たけふさ)詞書
季長の兵船、生の松原から鷹島に向かう
【解説】
石築地と日本軍の防戦により上陸を阻止された東路軍は、江南軍(10万人)との合流のため肥前鷹島に撤退したが、暴風雨に遭遇して壊滅状態となった。閏7月5日、残敵掃蕩のため生の松原から鷹島にむけて出発する季長の兵船。ただし、この船に季長は乗船していない。自分の兵船の到着を待ちかねた季長は、他人の兵船に便乗して、既に出発していたのである。詞書           
鎮西御家人の兵船、敵船に向かう
【解説】
絵は閏7月5日に鎮西御家人(ちんぜいごけにん)らによる蒙古兵掃蕩戦を描いたもの。画面左から「関東御使かうたの五郎義としの手の物」、「筑前国御家人あきつきの九郎たねむねのひやうせん」、「あまくさの大やのゝ十郎たねやす・同三郎たねむらひやうせん」、「くさのゝ次郎つねなりのひやうせん」、「大宰小弐経資手物兵船」、及び薩摩国守護島津久親(しまづ・ひさちか)の兵船。 
季長、敵船に乗り込み蒙古兵を討取る
【解説】
季長が敵船に乗り込み、蒙古兵を討取る場面。なお、画面右の「大矢野三兄弟 種保」の注記は、本来「たかまさ」となっていたものを、江戸時代に「蒙古襲来絵詞」の原本を所有していた大矢野氏が改竄(かいざん)したものである。
季長、安達盛宗に軍功を報告する
【解説】
絵は首実検の様子を描いたもの。季長は蒙古兵の首を提示して安達盛宗(あだち・もりむね)に軍功を報告し、認定された軍功を「執筆」(しゅひつ)が記録している。なお、安達盛宗は当時の肥後守護・安達泰盛の嫡子で、父の代理として肥後に下向していた。詞書①詞書② 
永仁元年、「蒙古襲来絵詞」が成立する
【解説】
「蒙古襲来絵詞」は永仁元年[正応6年](1293)2月9日に成立した。老境に近づいた季長が、恩人・安達泰盛への鎮魂と報謝のために絵詞を作成したとする説がある。弘安8年(1285)、泰盛は平頼綱(たいらの・よりつな)に滅ぼされている(「霜月騒動」)。

라벨 물의 희롱-M.Ravel Jeux d''Eau.
 
 
 
 
 
 
 
 
 
라벨 물의 희롱-M.Ravel Jeux d''Eau.
 
   ---------------------------
  아름다운 소리, 고운 소리
  가톨릭 인터넷 굿자만사  
  이 강길 파비아노 ⓒ copyleft
---------------------------
 
그림출처 : 네이버/김창열홈

음원 : cafe.naver.com/todnfmoon

포스트 출처 : 네이버 / 소리 On 누리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