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전날 오늘 다음날

2014년 2월 11일 화요일

[(녹) 연중 제5주간 화요일 (세계 병자의 날)]

TV매일미사 업로드 준비중 입니다.

오늘 전례

루르드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교회는 해마다 2월 11일을 ‘세계 병자의 날’로 지내고 있다. 이날은 프랑스 루르드의 성모 발현에서 비롯되었다. 성모님께서는 1858년 2월 11일부터 루르드에 여러 차례 나타나셨는데,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1992년부터 해마다 ‘루르드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인 이 발현 첫날을 ‘세계 병자의 날’로 지내도록 하였다. 이날 교회는 병자들의 빠른 쾌유를 위하여 기도한다. 또한 병자들을 돌보는 모든 의료인도 함께 기억하며 병자들에 대한 그들의 사랑과 봉사의 정신을 더욱 가다듬도록 기도한다.

입당송

시편 27(26),1-2
주님은 나의 빛, 나의 구원. 나 누구를 두려워하랴? 주님은 내 생명의 요새. 나 누구를 무서워하랴? 나의 적 나의 원수, 그들은 비틀거리리라.

본기도

하느님, 하느님은 모든 선의 근원이시니, 성령께서 이끄시어 저희가 바르게 생각하고, 옳은 일을 실천하도록 도와주소서. 성부와 성령과 …….

말씀의 초대

솔로몬은 하늘을 향해 두 손을 펼치고 기도한다. 그는 당신 같은 하느님은 없다며 당신은 계약을 지키시며 자비를 베푸시는 분이시라고 고백한다. 그는 자신이 지은 성전이 보잘것없음을 겸허하게 고백하는 가운데 자신들의 기도를 들으시고 용서해 주십사고 간청한다(제1독서). 예수님의 제자들이 손을 씻지 않은 채 음식을 먹는 모습을 본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은 예수님께 조상들의 전통을 따르지 않는다고 따진다. 예수님께서는 아무리 좋은 전통이라도 그것이 악용되거나 하느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정신이 배어 있지 않으면 아무런 가치가 없다고 이르신다(복음).

제1독서

<주님께서 “내 이름이 거기에 머무를 것이다.” 하고 말씀하셨으니, 당신 백성 이스라엘의 간청을 들어 주십시오.>
▥ 열왕기 상권의 말씀입니다. 8,22-23.27-30
그 무렵 22 솔로몬은 이스라엘 온 회중이 보는 가운데 주님의 제단 앞에 서서, 하늘을 향하여 두 손을 펼치고 23 이렇게 기도하였다.
“주 이스라엘의 하느님, 위로 하늘이나 아래로 땅 그 어디에도 당신 같은 하느님은 없습니다. 마음을 다하여 당신 앞에서 걷는 종들에게 당신은 계약을 지키시고 자애를 베푸시는 분이십니다.
27 그러나 어찌 하느님께서 땅 위에 계시겠습니까? 저 하늘, 하늘 위의 하늘도 당신을 모시지 못할 터인데, 제가 지은 이 집이야 오죽하겠습니까? 28 그러나 주 저의 하느님, 당신 종의 기도와 간청을 돌아보시어, 오늘 당신 종이 당신 앞에서 드리는 이 부르짖음과 기도를 들어 주십시오. 29 그리하여 당신의 눈을 뜨시고 밤낮으로 이 집을, 곧 당신께서 ‘내 이름이 거기에 머무를 것이다.’ 하고 말씀하신 이곳을 살피시어, 당신 종이 이곳을 향하여 드리는 기도를 들어 주십시오.
30 또한 당신 종과 당신 백성 이스라엘이 이곳을 향하여 드리는 간청을 들어 주십시오. 부디 당신께서는 계시는 곳 하늘에서 들어 주십시오. 들으시고 용서해 주십시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

시편 84(83),3.4.5와 10.11(◎ 2)
◎ 만군의 주님, 당신 계신 곳 사랑하나이다!
○ 주님의 뜨락을 그리워하며, 이 영혼 여위어 가나이다. 살아 계신 하느님을 향하여, 이 몸과 이 마음 환성을 올리나이다. ◎
○ 당신 제단 곁에 참새도 집을 짓고, 제비도 둥지를 틀어 거기에 새끼를 치나이다. 만군의 주님, 저의 임금님, 저의 하느님! ◎
○ 행복하옵니다, 당신 집에 사는 이들! 그들은 영원토록 당신을 찬양하리이다. 보소서, 저희 방패이신 하느님. 당신 메시아의 얼굴을 굽어보소서. ◎
○ 당신 뜨락에서 지내는 하루가, 다른 천 날보다 더 좋사옵니다. 하느님의 집 문간에 서 있기가, 악인의 천막 안에 살기보다 더 좋사옵니다. ◎

복음 환호송

시편 119(118),36.29 참조
◎ 알렐루야.
○ 주 하느님, 당신 법에 제 마음 기울게 하소서. 자비로이 당신 가르침을 베푸소서.
◎ 알렐루야.

복음

<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킨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7,1-13
그때에 1 예루살렘에서 온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 몇 사람이 예수님께 몰려왔다가, 2 그분의 제자 몇 사람이 더러운 손으로, 곧 씻지 않은 손으로 음식을 먹는 것을 보았다. 3 본디 바리사이뿐만 아니라 모든 유다인은 조상들의 전통을 지켜, 한 움큼의 물로 손을 씻지 않고서는 음식을 먹지 않으며, 4 장터에서 돌아온 뒤에 몸을 씻지 않고서는 음식을 먹지 않는다. 이 밖에도 지켜야 할 관습이 많은데, 잔이나 단지나 놋그릇이나 침상을 씻는 일들이다.
5 그래서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이 예수님께 물었다. “어째서 선생님의 제자들은 조상들의 전통을 따르지 않고, 더러운 손으로 음식을 먹습니까?”
6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이사야가 너희 위선자들을 두고 옳게 예언하였다. 성경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이 백성이 입술로는 나를 공경하지만 그 마음은 내게서 멀리 떠나 있다. 7 그들은 사람의 규정을 교리로 가르치며 나를 헛되이 섬긴다.’ 8 너희는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고 사람의 전통을 지키는 것이다.”
9 또 이어서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는 너희의 전통을 고수하려고 하느님의 계명을 잘도 저버린다. 10 모세는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여라.’ 그리고 ‘아버지나 어머니를 욕하는 자는 사형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였다. 11 그런데 너희는 누가 아버지나 어머니에게 ‘제가 드릴 공양은 코르반, 곧 하느님께 바치는 예물입니다.’ 하고 말하면 된다고 한다. 12 그러면서 아버지나 어머니에게 더 이상 아무것도 해 드리지 못하게 한다. 13 너희는 이렇게 너희가 전하는 전통으로 하느님의 말씀을 폐기하는 것이다. 너희는 이런 짓들을 많이 한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강론 후 잠시 묵상한다.>

예물기도

주님, 이 제사를 자비로이 굽어보시어, 저희가 바치는 예물을 기꺼이 받으시고, 저희가 주님을 더욱 사랑하게 하소서. 우리 주 …….

영성체송

시편 18(17),3
주님은 저의 반석, 저의 산성, 저의 구원자, 저의 하느님, 이 몸 숨는 저의 바위시옵니다.

영성체 후 묵상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는 가운데 잠시 마음속으로 기도합시다.>

영성체 후 기도

주님, 저희 병을 고쳐 주시는 성체를 받아 모시고 비오니, 저희를 온갖 죄악에서 자비로이 지켜 주시고, 올바른 길로 이끌어 주소서. 우리 주 …….

오늘의 묵상

근래에 와서는 행복에 대한 갈망이 더욱 강해진 것을 느낍니다. ‘아니, 언제는 사람들이 행복하게 살고 싶지 않았던가?’ 하고 반문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참된 행복이 무엇인지, 그러한 행복에 이르는 길은 무엇인지 ‘가만히 멈추어 서서’ 살펴보아야겠다는 절박함이 최근 들어 유난히 커진 것만은 사실인 듯합니다. 수그러들지 않는 인문학 열풍이라든지 ‘힐링’이라는 말의 유행도 이러한 정서적인 요구의 반영으로 보입니다.
행복에 대한 갈망이 높다는 사실은 당연히 지금 우리 삶의 모습이 너무 딱딱하거나 허전하다는 뜻이겠으니 씁쓸하기도 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그래도 더 이상 행복한 척하거나 어려움이 없는 척하는 대신, 진정한 행복을 찾아야 할 때임을 간절하게 깨닫는 사람이 많다는 것일 테니 희망의 표지이기도 하겠습니다. 그런데 행복의 비결을 알려 준다는 목소리는 많고 크지만 이에 솔깃했던 시간이 남긴 자취는 허탈하기만 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우리의 고민은 더욱 깊어 갑니다.
우리에게 확실한 것 하나는, 행복의 길은 지식이 아니라 지혜로써만 걸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그 지혜가 무엇인지, 어디에 있는지 도무지 분별하기가 어렵습니다. 지혜를 애타게 구하는 사람이 성경에서 지혜로운 이의 모범으로 삼고 있는 솔로몬에게 관심이 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습니다.
오늘 제1독서에서 우리는 솔로몬의 지혜가 어디에 뿌리를 두고 있는지를 보게 됩니다. 그는 참으로 겸손하게 기도합니다. 지혜롭기 그지없던 그가 이렇게 마음을 비우고 하느님께 모든 것을 맡기며 기도하는 이였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것이야말로, 아마도 행복의 길을 찾는 사람이 서야 할 출발점일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