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콘스탄티노(3.11)

콘스탄티노(3.11)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콘스탄티노 (Constantine)
축일 3월 11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 수도원장, 순교자
활동지역 스코틀랜드(Scotland)
활동연도 +6세기
같은이름 꼰스딴띠노, 꼰스딴띠누스, 콘스탄티누스, 콘스탄틴
성인 기본정보

   성 콘스탄티누스(Constantinus, 또는 콘스탄티노)는 영국 잉글랜드(England) 남서쪽의 콘월에서 공작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에 대한 유일한 동시대의 정보로는 성 질다스(Gildas, 1월 29일) 수도원장의 저서인 “영국의 파괴와 정복에 관하여”(De Excidio et Conquestu Britanniae)에서 성 콘스탄티노가 ‘담노니아(Damnonia)의 왕’이라고 나오는 것인데, 아마도 둠노니아(Dumnonia) 왕국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둠노니아는 오늘날 영국 잉글랜드의 남서부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데번(Devon)과 콘월(Cornwall)과 서머싯(Somerset) 지역을 다스렸다. 성 질다스는 그가 사악함과 탐욕으로 점철된 삶을 살았다고 적었다. 그리고 불확실한 전설에 따르면 성 콘스탄티노는 프랑스 브르타뉴(Bretagne) 왕의 딸과 결혼했고, 아내를 종종 속이기도 했지만 매우 사랑했다고 한다. 그는 아내의 죽음으로 큰 충격을 받아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성격을 바꾸게 되었다. 그리고 사냥을 나갔다가 사슴을 보호하는 콘월의 성 페트록(Petroc, 6월 4일)에게 감명받아 그 자리에서 그리스도교로 개종하였다.

   그러고 나서 얼마 후에 그는 왕위를 아들에게 물려주고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회개의 삶을 실천하며 왕국 내의 여러 곳을 다니며 성당을 세우고, 웨일스(Wales)로 가서 성 다윗(David, 3월 1일)을 만나 여러 해 동안 수도자로 살았다. 그리고 아일랜드 라한(Rahan)의 성 모쿠다(Mochuda) 수도원에서 은수자로 생활했다. 그는 수도원에서 매우 하찮은 일을 맡아 하다가 신학을 공부하여 사제품을 받았다. 그 후 그는 이오나(Iona)의 성 골룸바(Columba, 6월 9일)의 휘하에서 스코틀랜드로 선교 여행을 떠나 갤러웨이(Galloway)에서 오랫동안 설교하여 많은 업적을 쌓았다. 그 후 성 콘스탄티노는 글래스고(Glasgow)의 고반(Govan)에 있는 수도원의 원장이 되어 오늘날 스코틀랜드의 원주민인 픽트족(Picts)에게 복음을 전했다. 그는 노년의 나이에 스코틀랜드 서부 킨타이어(Kintyre) 반도로 가는 길에 이교도 해적들의 공격을 받아 오른팔이 잘린 후 킬초스랜드(Kilchousland)의 폐허가 된 어느 성당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래서 그는 스코틀랜드의 첫 순교자로서 공경을 받고 있고, 후대에 그가 숨진 곳에 그의 이름을 봉헌된 경당이 세워졌다.

   성 콘스탄티노는 1898년 7월 11일 교황 레오 13세(Leo XIII)에 의해 ‘이오나의 성 아담난(Adamnan, 9월 23일)과 그의 18명의 스코틀랜드 동료’에 대한 공경이 승인되면서 성인품에 올랐다. 그를 기념하는 날은 스코틀랜드에서는 3월 11일, 콘월과 웨일즈에서는 3월 9일, 아일랜드에서는 3월 18일에 기념한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스코틀랜드의 전통대로 3월 11일 목록에 왕이자 성 골룸바의 제자이며 순교자인 스코틀랜드의 성 콘스탄티노의 이름을 추가하였다.♣

사진/그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