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플라토(4.4)

플라토(4.4)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플라토 (Plato)
축일 4월 4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수도원장
활동지역 사쿠디온(Sakkoudion)
활동연도 +814년
같은이름 플라또, 플라또네, 플라똔, 플라토네, 플라톤
성인 기본정보

   성 플라토는 735년경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 오늘날 튀르키예의 이스탄불[Istanbul])에서 부유한 귀족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에게는 두 명의 자매가 있었는데 그 가운데 한 명이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Theodorus the Studite, 11월 11일)의 어머니이다. 그는 13살 무렵에 콘스탄티노플을 휩쓴 전염병으로 부모를 모두 잃고 황궁의 재무관으로 있던 삼촌 밑에서 교육받으며 그의 보좌관으로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런데 20대 초반에 그는 유망한 직책을 포기했을 뿐 아니라 결혼보다 기도와 은둔 생활에 매력을 느껴 수도 생활을 시작하고자 했다. 그래서 그는 자기 소유를 팔아 이등분한 후 자기 두 여동생과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고 노예들을 해방한 후 소아시아 북서부 비티니아(Bithynia) 지방의 올림푸스(Olympus) 산으로 갔다. 그곳에서 그는 759년경 테옥티스투스(Theoctistus)가 원장으로 있는 심볼레온(Symboleon) 수도원에 들어가 겸손과 순명의 삶을 실천하며 영적 성장을 이루었다. 기도와 영적 독서는 그에게 가장 큰 기쁨이었으며 빵을 굽고 거름을 뿌리는 등의 간단하고 하찮은 일마저도 기꺼이 기쁘게 수행하였다. 그는 철저한 보속의 생활을 실천하면서 예전의 능력을 활용해 교부들의 저서 사본을 만드는 작업에도 전념하였다.

   770년에 테옥티스투스가 선종한 후 그는 자기 의지와는 상관없이 서른여섯이라는 젊은 나이에 후임 수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교만에 빠지지 않기 위해 더욱 철저한 극기와 참회의 생활을 실천했다. 그리고 당시 성상 파괴 정책이 시행되면서 이에 반대하는 이들에 대한 박해가 자행되었으나 그의 수도원이 외진 곳에 있어 별다른 영향을 받지는 않았다. 775년에 성상 파괴를 지지하며 폭정을 휘두르던 콘스탄티누스 5세 황제가 사망한 후 용무가 있어 콘스탄티노플을 방문했는데, 그의 성덕을 칭송하는 사람들로부터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는 그에게 니코메디아(Nicomedia)의 주교직을 제의했지만, 그는 거절했을 뿐 아니라 사제품도 원하지 않았다. 그래서 세상의 관심을 피해 심볼레온 수도원을 다시 돌아왔다. 782년에 그는 가족의 설득을 못 이겨 심볼레온 수도원의 원장직을 사임하고 올림푸스 산의 사쿠디온 수도원의 원장직을 맡게 되었다. 사쿠디온 수도원은 그의 여동생인 테옥티스타(Theoctista)가 설립한 것이었다. 그리고 테옥티스타의 아들이자 성 플라토의 조카인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와 요셉도 이미 수도 생활을 시작한 상태였다.

   성 플라토는 조카인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의 신심과 자질을 알아보고 그에게 콘스탄티노플로 가서 사제직을 준비하도록 권유하였다.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는 787년에 사제품을 받고 사쿠디온 수도원으로 돌아왔다. 성 플라토는 원장직을 맡은 지 12년 만에 조카인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에게 물려주기 위해 공동체의 동의를 얻어냈다. 794년에 성 플라토를 계승한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는 동방교회에서 가장 유명한 수도승이자 개혁가 중 하나로 성장했다. 하지만 성 플라토와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는 황실의 내분에 휘말려 큰 고초를 겪었다. 그들은 본처를 버리고 궁녀였던 테오도타(Theodota)와 재혼하는 콘스탄티누스 6세 황제의 행위를 맹렬히 비난했다. 그 결과 수도원은 폐쇄되고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와 수도승들은 796년에 그리스의 테살로니카(Thessalonica)로 유배를 떠나야 했으며, 성 플라토 또한 콘스탄티노플에서 가택 연금 상태에 들어갔다. 하지만 이듬해 황제의 모후가 권력을 잡은 후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는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와 이레네(Irene) 황후의 요청으로 스투디오스(Stoudios) 수도원의 원장직을 맡게 되었다. 성 플라토도 스투디오스 수도원으로 들어가 작은 방에 머물며 기도와 노동에 전념하고 조카와 함께 성상 파괴 정책에 맞서 성화상 공경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 뒤로도 성 플라토는 정치적인 이유로 니케포루스 1세(Nicephorus I, 802~811년 재위) 황제에 의해 보스포루스(Bosporus) 해협의 한 섬으로 추방되었는데, 이미 늙고 병든 몸이었음에도 잔인한 학대와 모욕을 당해야 했다. 811년 새로 황제의 자리에 오른 미카엘 1세는 즉시 성 플라토와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를 석방하였다. 콘스탄티노플로 돌아온 성 플라토는 황제로부터 큰 존경을 받았다. 하지만 이미 늙고 병든 몸으로 스투디오스 수도원의 작은 방에서 몇 년을 거의 침대에 누워 고독한 은둔 생활을 하다가 814년 4월 4일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다”라는 찬미가를 부르며 선종했다고 한다.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는 삼촌인 성 플라토의 장례식을 주관하며 장문의 추도문(Laudatio Platonis)을 직접 작성했다. 옛 “로마 순교록”과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모두 4월 4일 목록에서 콘스탄티노플에서 성화상 공경을 반대하는 이들과 불굴의 용기로 맞서 싸우고 조카인 성 테오도로 스투디테와 함께 스투디오스 수도원을 재건한 성 플라토에 대해 기록하였다.♣

사진/그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