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에텔하르드(5.12)

에텔하르드(5.12)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에텔하르드 (Ethelhard)
축일 5월 12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대주교
활동지역 캔터베리(Canterbury)
활동연도 +803-805년?
같은이름 에뗄하르드, 에뗄하르트, 에텔하르트
성인 기본정보

   일부 기록에서 성 에텔하르드는 캔터베리의 대주교로 승품되기 전에 링컨셔(Linconlnshire)의 루스(Louth)에 있는 대수도원의 원장이었으며 잉글랜드(England) 윈체스터(Winchester)의 주교였다고 나와 있다. 하지만 파머(Farmer)는 그가 윈체스터의 주교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는 오파(Offa) 왕과 교황이 리치필드(Lichfield)와 캔터베리를 분리한 직후에 캔터베리의 주교직으로의 승품되었다. 그리고 처음에 성 에텔하르드는 머시아(Mercia)의 지배가 된 켄트(Kent) 지방의 양떼를 맡지 못했다.

   796년 오파 왕이 죽고 켄트 지방이 반란을 일으키자 성 에텔하르드는 피신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다음 해에 요크(York)의 복자 알퀴누스(Alcuinus, 5월 19일)의 도움을 받아 캔터베리 교회를 재건할 수 있었다. 802년 교황 성 레오 3세(Leo III, 6월 12일)는 캔터베리 교회를 이전의 상태로 재허가 하였으며 수도 관구를 런던(London)으로 옮기자는 의견을 불허하고 리치필드 관구를 없앴다. 성 에텔하르드는 803년 클로브쇼(Clovesho) 시노드를 열어 새로 선출된 주교로 하여금 신앙 고백과 소속 관구 주교에게 순명을 서약할 것을 자필로 쓰는 의무규정을 만들었다. 성 에텔하르드가 803-805년 사이에 캔터베리에서 사망하자 그의 시신은 캔터베리 대성당에 모셔졌고 관구의 재건을 감독한 업적으로 공경을 받았다. 그의 삶에 관한 기록은 거의 없지만 그에게 보낸 복자 알퀴누스와 교황 성 레오 3세의 편지가 남아있다.

사진/그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