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루치아노(1.7)

루치아노(1.7)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루치아노 (Lucian)
축일 1월 7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신부, 순교자
활동지역 안티오키아(Antiochia)
활동연도 +312년
같은이름 루시안, 루시앙, 루치아누스, 루키아노, 루키아누스
성인 기본정보

   성 루키아누스(Lucianus, 또는 루치아노)는 3세기 중엽 시리아의 사모사타(Samosata)에서 그리스도인 부모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고향에서 가까운 에데사(Edessa, 오늘날 튀르키예 남동부의 샨리우르파[Sanlıurfa])에서 마카리우스(Macarius)라는 사람의 지도로 성경을 연구하였다. 수사학과 철학에서 당대 최고 권위자였던 그는 안티오키아(오늘날 튀르키예 남부의 안타키아[Antakya])에서 사제가 되었다. 그는 하느님과 이웃에게 봉사하는 것을 자신의 최고 사명으로 삼았는데, 말과 행동으로 모범이 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성경에서 오류를 제거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그는 당시 널리 보급된 성경 본문을 연구하며 서로 다른 여러 사본을 비교하고 70인역의 구약성경 루치아노 수정본과 신약성경 코이네의 루치아노 수정본을 만들었다. 그의 작업 결과는 ‘루치아노 수정본(사본)’으로 불리며 4세기 말부터 여러 교회에서 참조하고 사용하는 표준 성경이 되었다. 그리고 그는 흔히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안티오키아학파 주석의 창시자라고도 불리고 있다.

   교회사학자인 카이사레아(Caesarea)의 에우세비우스(Eusebius)가 “교회사”(Historia Ecclesiastica)에서 전해준 바에 따르면, 성 루치아노는 금욕적으로 살며 신학 교육을 받은 안티오키아의 사제로 막시미누스 다자 황제(Maximinus Daza, 310~313년 재위)의 박해 때 체포되어 니코메디아(Nicomedia, 오늘날의 이즈미트[Izmit])로 이송되었다. 그곳에서 황제의 심문을 받고 312년 1월 7일 순교했다고 한다. 한편 성 루치아노의 제자 중에 아리우스파(Arianism)를 창시한 아리우스(Arius)가 있었는데, 그들은 처음에 루치아노를 따른다는 의미에서 ‘루치아노파’로도 불렸다. 그래서 성 루치아노가 아리우스파의 선구자라는 오해를 받기도 했으나 이는 불확실한 가설로 성 루치아노는 안티오키아 교회 공동체의 일원으로 체포되어 순교하였다. 니코메디아의 지하 감옥에서 심문과 고문을 받으면서도 그는 끝까지 그리스도인임을 당당히 증언하고 순교하였다. 그의 시신은 신자들에 의해 드레파눔(Drepanum)에 안장되었는데, 나중에 콘스탄티누스 대제(Constantinus I)가 그곳에 도시를 건설하면서 어머니인 성녀 헬레나(Helena, 8월 18일)를 기리기 위해 그 이름을 헬레노폴리스(Helenopolis)라고 개명하였다.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Joannes Chrisostomus, 9월 13일)는 그를 기념해 추도사를 썼고, 카이사레아의 에우세비우스는 그를 안티오키아 공동체의 뛰어난 사제이자 모든 행동에서 두각을 나타낸 사람으로 칭송하며, 그가 뛰어난 인품과 엄격한 생활 그리고 거룩한 학문에 정통한 사람이라고 했다. 성녀 헬레나는 안티오키아에 그를 기념하는 성당을 지었는데, 아마도 10월 15일에 봉헌된 듯하다. 그래서 동방 정교회에서는 10월 15일에 그의 축일을 기념하고 있다. 옛 “로마 순교록”은 1월 7일 목록에서 안티오키아 교회의 사제이자 순교자인 ‘복자’ 루치아노의 천상 탄일이며, 학식과 설교로 명성을 떨쳤던 그가 갈레리우스 막시미누스 황제의 박해 때 그리스도를 고백한 죄로 니코메디아에서 순교하여 비티니아(Bithynia, 오늘날 튀르키예 북서부 지역의 옛 이름)의 헬레노폴리스에 묻혔고,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에 의해 그의 공적이 선포되었다고 전해주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도 같은 날 목록에서 오늘날 튀르키예에 속한 비티니아의 니코메디아에서 안티오키아 교회의 사제요 순교자인 ‘성’ 루치아노가 순교했고, 재판을 받으면서 고문을 동반한 끈질긴 심문에도 두려움 없이 그리스도인임을 고백했다고 기록하였다.♣

참고자료

  •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상) - '성 루치아노 사제 순교자',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202-204쪽.
  • 지그마르 되프 · 빌헬름 게어링스 편, 한국교부학연구회 하성수 · 노성기 · 최원호 역, 교부학 사전 – 루키아누스(안티오키아의), 강원도 횡성군(한국성토마스연구소), 2022년, 225-227쪽.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게시판
번호 성인명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1 [루치아노(1.7 ...] 성인 이름에 담긴 뜻: 루치아노(Lucianus) 주호식 2018/03/07 1646 0
검색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