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사적지 목록

교구 성지명     지역명     내용 검색

대구대교구 > 복자 성당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간략설명 죽어서도 형제같이 나란히 묻혀
지번주소 대구시 동구 신천 3동 850-3 
도로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송라로 22
전화번호 (053)745-3850
팩스번호 (053)745-3854
홈페이지 http://cafe.daum.net/bokjabondang
순교복자 묘역 뒤에서 본 성당 입구. 순교복자 묘역 앞에 넓은 잔디광장이 조성되어 있다.대구시 동구 신천 3동에 위치한 복자 성당에는 병인박해 당시 순교한 허인백 야고보, 김종륜 루카, 이양등 베드로 3위 복자의 유해가 모셔져 있다. 각각 김해, 공주, 서울 태생인 세 순교자는 천주교 신자에 대한 박해가 심해지면서 집과 전답을 버리고 고향을 떠나 경상도의 교우촌으로 피난해 온 이들이다.
 
천주를 믿는다는 한 가지 이유만으로 온 가족을 이끌고 정처 없이 이리저리 떠도는 생활을 해야만 했던 이들의 애환은 오늘날 후손들의 가슴을 저미게 한다. 하물며 우리의 믿음이 바로 이들이 흘린 피와 땀의 결실임을 기억한다면 순례자들은 하염없이 고개를 숙이게 된다.
 
울산 장대벌에서 한날한시에 순교의 월계관을 받은 이들의 시신은 허인백의 부인 박조예에 의해 처형 직후 형장 근처의 강둑 아래 구덩이 속에 묻혀 있다가 1907년 경주 산내면 진목정 앞산에 합장됐다. 그 후 1932년 5월 말 월배동 감천리의 천주교 묘지로 옮겨졌다가 1973년 10월 19일 비로소 대구 복자 성당 구내로 모셔져 오늘에 이른다.
 
김해에서 태어난 허 야고보는 본래 중류 계급으로 생활이 넉넉한 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무것도 부러울 것이 없는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1846년 입교하면서 고난의 세월을 기꺼이 받아들였다. 1866년 병인박해 초기 포졸들에게 붙잡힌 그는 재물에 어두운 그들에게 돈을 주고 간신히 풀려났다. 식솔을 데리고 길을 떠난 그는 언양(彦陽) 산골에 잠시 머물다 울산에 있는 죽령 교우촌(현 경남 울주군 상북면 이천리)으로 피난해 여기에서 이 베드로, 김 루카를 만나 순교의 길을 예비했다.
 
복자 성당은 2010년 노후화된 성당을 보수해 3위 순교자를 기리는 성당으로서의 면모를 일신하였다. 충청도 공주 태생인 김 루카는 어려서 입교해 신앙의 깊은 뿌리를 갖고 있었다. 박해로 충청도 일대가 소란해지자 길을 떠나 경상도 상주군 멍에목의 교우촌으로 피신했던 그는 다시금 울산의 죽령 교우촌으로 몸을 숨겼다.
 
이곳 죽령 대재 마을의 회장이었던 이 베드로는 본래 서울 사람으로 박해를 피해 멀리 경상도로 내려와 이미 여러 해 전부터 울산 대재 공소를 위해 일하고 있었다. 꿀을 팔아 생계를 이어 가며 전교에 힘쓰던 그는 다른 두 사람을 만난 후 또다시 박해를 피해 먼 길을 떠났다. 여러 날 끝에 경주 산내면 단석산에 있는 한 석굴(범굴)을 발견하고 이를 천혜의 피난처로 삼아 세 가족은 모두 이곳에서 피난살이를 시작했다.
 
하지만 결국 나라로부터 더욱 혹독한 체포령이 내려져 마침내 1868년 이들은 포졸들의 손에 붙잡히고 말았다. 경주 진영으로 끌려간 이들은 즉시 영장(營將)의 심문을 받았다. 이들 3인은 곤장으로 피와 살이 터져 나가는 고통 속에서도 끝끝내 배교를 거부하고 죽음을 택했다.
 
경주 진영에서 병마절도사가 있는 울산까지의 80리 길은 죽음의 행진이었다. 큰 칼을 목에 차고 돌과 자갈, 가시밭길을 걸어 이틀 만에 도착한 울산 장대에서 그들은 1868년 9월 14일(음력 7월 28일) 목을 떨구었다.
 
복자 성당은 제대와 감실에 성 김대건 신부를 비롯해 여러 성인들의 유해를 모시고 있다.신앙의 길은 멀고도 험했다. 고향을 떠나 어린 자식과 힘없는 부녀자들을 이끌고 수십 수백 리 길을 쫓겨 다닌 이들은 오히려 순교함으로써 평화와 안식을 얻었다. 터덜거리던 현세의 고달픈 삶은 순교의 피를 뿌림으로써 얻은 영원한 생명으로 보답을 받게 되었다.
 
복자 성당은 대구대교구가 병인박해 100주년(1966년)을 기념해 교구민의 성금으로 1970년 설립한 성당으로 1973년 감천리 교회 묘지에서 순교자 3위의 유해를 이장하면서부터 도심의 순례지로서 순례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순교신심의 중심지가 되었다. 1987년 관할 구역명을 따라 신천 성당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99년 본당 설립 당시의 정신을 살려 복자 성당으로 다시 변경하였다.
 
복자 성당은 2002년 순교자 묘역에 대한 성역화사업을 추진하여 그 해 9월 1일 축복식을 가졌다. 순교자 묘소를 새로 단장하고 묘역 둘레에 십자가의 길을 조성했으며, 묘소 앞에는 넓은 잔디마당을 마련했다. 또한 성당 내부 제대와 감실 하단에 성 김대건 신부와 성 앵베르 범 주교, 성 모방 나 신부, 성 샤스탕 정 신부의 유해를 모시고 있다. 2010년 3월 14일에는 노후화된 성당 내외부 전체를 리모델링해 허인백 야고보 · 김종륜 루카 · 이양등 베드로 3위 순교자를 기리는 성당으로서의 면모를 일신한 후 감사미사를 봉헌했다. 그리고 이들 세 순교자는 2014년 8월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동료 순교자들과 함께 시복되었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20년 4월 9일)]

성당 출입구 위에는 울산병영에서 순교한 세 복자의 영광을 표현한 대형 유리화가 자리하고 있다.복자 성당 마당 중앙에는 병인박해 때 울상병영에서 순교한 허인백, 김종륜, 이양등 3위 순교복자의 유해가 모셔져 있고, 그 둘레에 십자가의 길이 조성되어 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용 요약 설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대구 도심에 위치한 복자 성당에는 병인박해 당시 순교한 허인백 야고보, 김종륜 루카, 이양등 베드로 3위 복자의 유해가 모셔져 있습니다. 김해, 공주, 서울 태생인 세 순교자는 박해를 피해 경상도의 교우촌으로 피난해 온 이들입니다. 울산 장대에서 한날한시에 순교의 월계관을 받은 이들의 시신은 허인백의 부인 박조예에 의해 처형 직후 형장 근처의 강둑 아래 가매장되었다가 1907년 경주 산내면 진목정 앞산에 합장되었습니다. 그 후 1932년 월배동 감천리의 교회 묘지로 옮겨졌다가 1973년 복자 성당 구내로 모셔져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박해를 피해 산내면 단석산의 범굴에 피신하던 이들은 1868년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경주 진영으로 끌려가 심문을 받았습니다. 이들은 곤장으로 피와 살이 터져 나가는 고통 속에서도 끝끝내 배교를 거부하고 죽음을 택했습니다. 경주 진영에서 병마절도사가 있는 울산까지 80리 길을 걸어 도착한 울산 장대에서 그들은 1868년 9월 14일(음력 7월 28일) 순교의 월계관을 썼습니다.

복자 성당은 대구대교구가 병인박해 100주년(1966년)을 기념해 교구민의 성금으로 1970년 설립한 성당으로 1973년 3위 순교자의 유해를 이장하면서부터 도심의 순례지로서 순교신심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2002년 순교자 묘역에 대한 성역화사업을 추진하여 묘소를 새로 단장하고 묘역 둘레에 십자가의 길을 조성했으며, 묘소 앞에는 넓은 잔디마당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성당 내부 제대와 감실에 성 김대건 신부를 비롯한 여러 성인들의 유해를 안치했습니다. 2010년에는 노후화된 성당을 보수해 3위 순교자를 기리는 성당으로서의 면모를 일신한 후 감사미사를 봉헌했습니다. 3위 순교자는 모두 2014년 8월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시복되었습니다.
미사시간 안내
미사시간 안내
미사구분 요일 시간 기타사항
주일미사 06:30  
09:00  중고등부미사
11:00  교중미사
19:30  청년미사
평일미사 06:30  
10:00  
19:30  
10:00  
19:30  
10:00  
19:30  
10:00  
10:00  
16:00  어린이미사(주일미사)
19:30  주일미사

* 미사시간이 변동될 수 있으니 성지나 관련기관으로 전화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