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 북쪽으로 24km쯤, 행정구역으로는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에 자리한 한티 순교성지는 서쪽 가산(901m)과 남동쪽 주봉인 팔공산(1,192m) 사이에 위치하며 가산에서 동쪽으로 7km 떨어진 깊은 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다. 해발 600m를 넘는 이 심심산골은 천혜의 은둔지로서 박해를 피해 나온 신자들이 교우촌을 이루었던 곳이다.
한티에 언제부터 신자가 살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을해박해와 정해박해 때 대구 감옥에 갇힌 신자 가족들이 비밀리에 연락을 취하기 위해 이곳에 살았을 것으로 추측할 뿐이다. 하지만 매우 일찍부터 한티에는 신자들이 자리를 잡아 대구와 영남지방 교회의 터전이 돼 왔다는 것만은 확실하다. 1837년 서울에서 낙향하여 신나무골에 얼마간 살았던 김현상 요아킴 가정이 기해박해 때 신나무골보다 더 깊은 산골인 한티에 와서 살았다. 이렇게 처음에는 한두 집 모여들어 움막을 짓고 사기와 숯을 굽고 화전을 일구어 생계를 유지하던 적은 수의 신자들이었으나 한티를 중심으로 인근의 서촌, 한밤, 원당 사람들이 입교하게 되면서 점차 커지기 시작하여 1850년대 큰 교우촌이 되었다.
1860년, 경신박해가 시작되자 신나무골 · 어골 뿐 아니라 한티도 안전한 곳이 못 되었다. 신나무골에서 한티 사기굴로 피신을 왔던 배손이(배정모) 가족이 잡혀, 배손이는 배교하고, 아내 이선이 엘리사벳과 장남 배 스테파노는 신앙을 증거한 후 작두날에 목이 잘려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그리하여 신자들은 뿔뿔이 흩어졌는데, 한티에 살던 김현상 가족들도 대구로 가고, 어골의 이재영 고스마(이장언 회장의 부친) 가정도 대구 부근의 송골(중리동)로 피신했다. 그러나 몇 달 후 경신박해가 잠잠해지자 흩어졌던 신자들이 다시 모여들어 오히려 더 큰 규모로 성장하였다. 최양업 신부가 선종한 뒤 경상도 지역에 대하여 베르뇌 주교는 1862년 “칠곡 고을의 굉장히 큰 산 중턱에 아주 외딴 마을 하나가 있는데 이곳에는 40여 명이 성사를 받았습니다.”라고 성무집행 보고서에 기록하고 있다.
고작 2년 전에 박해의 칼날이 미쳤고, 깊은 산속에서 가난에 시달렸음에도 불구하고 신자들이 더욱 모여든 이유는 그들이 한티에서 하느님을 통해 맛볼 수 있었던 평화와 위로 덕분일 것이다. 경신박해 때에 김현상 가정이 대구로 나감에 따라 상주 구두실이 고향인 조 가롤로 가정이 한티의 중심이 되었다. 신자들은 조 가롤로 집에 모여 주일을 지냈다. 경신박해 때 대구로 간 김현상 후손들은 대구 읍내 첫 신자 가정 중의 하나가 되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초창기 대구 교회 창설에 큰 공로를 세웠다.
1866년 병인박해가 일어나자 서울을 비롯한 전국에 있는 교우촌들이 유린당하였고, 8천여 명 이상이 순교했다. 이러한 병인박해가 일어날 때 리텔 신부는 부활 판공을 주기 위해 대구에 와 있었다. 신부를 통해 박해 소식을 알게 된 대구 읍내와 신나무골 등에 있던 신자들은 박해를 피해 문경 한실과 한티로 피난을 갔다. 대구의 서상돈 집안이 이 시기에 한티로 이사를 했다. 대구의 김응진 가롤로 가정(김현상의 후손), 대구 부근 노곡동에 살던 송씨 가정을 비롯하여 신나무골의 많은 신자 가정이 한티로 피난했다.
병인박해 때 한티에 살던 이 알로이시오 곤자가는 오히려 대구 읍내로 피신했다. 1868년 그는 대구 외곽 동쪽 하양 방면으로 피신하였다가 대구로 돌아오던 중 고발하는 사람이 있어 체포되어 감옥에 들어가게 되었다. 감옥에서 자신을 고발한 이를 만났으며, 며칠 동안 문초를 받았지만 오히려 신자들을 위로하고 격려하였다. 이때 감옥에서 서태순의 형인 서인순 시몬을 만났으며, 함께 서울로 압송되어 좌포도청에 감금되었다가 교살형으로 순교했다. 그때 이 알로이시오 곤자가는 31세였다.
대원군의 부친인 남연군의 묘를 파헤친 사건이 발생한 이후 박해는 선참후계(先斬後啓) 명령이 시행될 정도로 전국적으로 격화되었다. 1868년경 봄 한티에 서울 포졸과 가산산성을 지키던 군사들이 들이닥쳐 신자들을 체포했다. 배교하는 자는 놓아주었고, 공소회장 조 가롤로와 아내 최 바르바라와 동생 조아기 등 신앙을 지킨 자들은 그 자리에서 죽였으며, 도망가는 자들은 쫓아가서 죽였다. 이때 순교자는 40여 명이었다. 포졸들과 병사들이 물러가고 난 뒤 살아남은 신자들이 한티에 돌아와 보니 동네는 불타 없어졌고 온 산 곳곳에 시신이 썩어가고 있었다고 한다. 너무 많이 썩어서 옮길 수조차 없었으므로 그 자리에 매장했다고 한다. 그래서 돌 더미에 묻힌 이도 있고, 밭에 묻힌 이도 있고, 산등성이에 묻힌 이도 있다. 후에 발굴 작업을 통해 총 37기의 무덤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한 무덤에 여러 명이 합장된 경우도 있다.
병인박해 후에 한티에 신자들이 다시 모여 살았다. 조 가롤로 회장의 아들 조영학 토마, 살아남은 박만수 요셉, 군위에서 한티로 이사 온 김재윤 플로리아노, 김윤하 안드레아, 박기인 루도비코, 한돌철, 신나무골의 배순규 가정, 조규성 프란치스코 가정이 들어왔다. 이들을 중심으로 순교자들이 죽은 곳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마을을 재건했다. 먼저 순교자들이 살던 마을(순교자묘역 대형 십자가 뒤편)은 “하느님을 증거하다 돌아가신 분들의 피가 서린 거룩한 곳이므로 우리 같은 죄인이 밟을 수 없다.” 하여 바람맞이 땅(현재의 초가집이 있는 곳)에 새로이 마을을 이루었다. 또한 당시 공소회장이던 조 가롤로의 아들 조영학에게 집을 지어주고 공소 회장으로 추대했으며 이후 그들은 순교자의 묘를 벌초하는 등 돌보고 관리했다.
1882-1883년 로베르 신부가 경상도 지방을 순회 전교하면서 한티에서 성사를 집행했다. 이때 신자 39명, 고해성사자 20명, 영성체자 19명, 세례자 3명, 혼배자 1쌍이 있었다. 1885년 대구 본당이 설정되어 로베르 신부가 신나무골에 정착하게 되면서 한티에 자주 왔고, 한티 신자들은 대축일이면 신나무골로 미사 참례하러 갔다. 이후 한티 공소는 새로이 번창하여 1900년 초에는 신자가 80여 명으로 늘어났으나 종교의 자유와 더불어 선교를 위해, 또한 생활이 불편한 이곳을 떠나 살기 좋은 곳으로 이주하면서 공소는 쇠퇴하게 되었다.
1831년 조선대목구가 설정되기 전인 을해박해(1815년)를 즈음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는 한티 교우촌의 역사는 오늘까지 200년의 세월이 지났다. 숱한 박해의 격랑 속에서도 조선대목구는 성장하여 80주년이 된 1911년, 서울대목구와 대구대목구로 분리되었다. 대구대목구의 초대 안세화 드망즈 주교 때부터 현재 제10대 조환길 타대오 대주교에 이르기까지 대구대교구의 역사를 돌아볼 때 한티와 신나무골은 그 초석이었음을 알 수 있다. 기해박해가 발생하기 전 순회전교를 하였던 샤스탕 신부를 시작으로 최양업 신부, 다블뤼 주교, 리델 신부 등이 경상도 지역을 맡았다. 로베르(김보록) 신부는 1885년 대구지역 첫 본당으로 신나무골에 정착하기 이전부터 한티를 방문하였고, 1895년 가실 본당이 설정이 된 후부터 가실 성당의 신부가 한티를 찾아왔다. 대구대목구 설정 후 1927년부터는 비산 본당의 관할이었다가 한국전쟁이 끝난 1957년부터는 칠곡 본당의 관할이 되었다.
1967년 9월 순교자성월부터는 대구대교구 액션단체 주관으로 공적 순례가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 이어져 온다. 1980년대에 들어 본격적인 성지조성을 위한 부지 매입과 순교자 묘역 확인 작업을 거친 후 1991년 피정의 집이 개관되었고, 2000년에는 영성관, 2004년에는 순례자 성당이 축성되었다. 1995년부터 2015년까지 20년간 대구관구 신학생들이 한티로 입학하였고, 지금도 사제품을 앞둔 신학생들의 30일 피정이 이어지고 있다. 피정의 집 개관 이래 30여 년 동안 매년 사제 피정과 제 단체 피정 및 연수가 진행되고 있으며, 해마다 전국의 순례자들은 물론 해외의 순례자들도 찾아와 영적인 힘을 얻어가고 있다. 또한 박해시대 한티의 교우들이 신나무골을 오가며 걸었던 한티가는 길이 열림으로써 도보순례자들의 발길도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최종수정 2020년 4월 23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모바일용 요약 설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미사시간 안내 | |||
---|---|---|---|
미사구분 | 요일 | 시간 | 기타사항 |
주일미사 | 일 | 11:00 | |
평일미사 | 화 | 11:00 | |
수 | 11:00 | ||
목 | 11:00 | ||
금 | 11:00 | ||
토 | 11:00 | ||
16:00 | 토요일 특전주일미사 | ||
기타 | 11:00 | 후원회 월례미사(매월 넷째주 토요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