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주교의 첫 증거자 또는 첫 순교자로 불리는 김범우 토마스(1751-1786/1787년)의 묘가 발견된 것은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그때까지 김범우의 유배지는 달레가 쓴 “한국 천주교회사”에 근거하여 충청도 단양(丹陽)으로 알려졌었다. 그러나 1980년대 초 김범우의 묘를 백방으로 찾던 후손 김동환이 나타나면서, 가족에게서 전해지는 이야기와 호구단자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김범우의 유배지가 단양이 아니라 밀양 단장(丹場)임이 새롭게 밝혀졌다.
그 후 부산교구 순교자현양위원회의 송기인 신부와 김범우의 후손들, 그리고 영남 지방 교회사 연구에 몸 바친 마백락 씨 등은 몇 년에 걸쳐 밀양과 삼랑진 지역을 답사하고 수소문한 끝에 1989년 극적으로 김범우의 외손(손임덕, 당시 78세, 집안 대대로 묘지를 관리)을 만나 그의 도움으로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산102번지 만어산 중턱에서 묘를 찾았다.
그 해 5월에 본격적인 묘 발굴을 시작하여 파묘한 결과 관 자리 위에 십자가 모양으로 놓인 돌 3개와 치아가 발견되었다. 이 돌은 순교자 황사영의 묘소 발굴 때와 같은 경우로 성물이 귀했던 박해시대에는 성물 대신 십자가, 나무묵주, 돌 등을 관 속에 넣어두는 경우가 많았다. 출토된 유물과 후손들의 증언을 토대로 순교자현양위원회에서는 이곳을 김범우의 묘로 단정했고, 김범우의 신앙과 생애에 대한 세인들의 관심도 높아졌다.
김범우의 묘가 있는 밀양시는 중부 경남의 중심지로 일찍부터 넓고 기름진 평야와 높은 산, 깊은 계곡이 많은 아름다운 고장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 임진왜란 때 이름을 떨친 사명대사, 휴정 등 훌륭한 인재가 많이 배출된 고장이다. 특히 재약산(858m)의 표충사와 만어산(670m)의 만어사는 여러 가지 전설이 전해지고 있는 고찰(古刹)이기도 하다.
이 지역에 대한 천주교의 전래는 바로 김범우의 귀양살이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유명한 역관 집안에서 태어난 김범우는 1784년 이승훈이 북경에서 베드로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돌아온 해 가을 수표교(水標橋) 인근에 있던 이벽의 집에서 이승훈에게 세례를 받고 입교하였다. 그러다가 입교자가 늘면서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이벽의 집에서 모임을 갖기 어려워지자 명례방(明禮坊, 현 명동 성당 인근)에 있던 자신의 집을 제공함으로써 ‘명례방 공동체’가 탄생하였다.
그러나 이듬해인 1785년, 명례방의 김범우 토마스의 집에서 정기적인 신앙집회를 개최하다가 추조(형조) 관리들에게 발각되었다. 이것이 바로 일명 ‘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으로 그는 동료들과 함께 형조에 끌려가 많은 매를 맞고 옥에 갇혔으나 끝내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와 함께 끌려간 이벽, 이승훈, 정약용 등은 모두 소위 양반계층에 속한 인물들인지라 즉시 풀려 나왔지만 김범우는 교회 집회 장소의 집주인일 뿐 아니라 중인(中人) 신분이었기 때문에 멀리 밀양으로 귀양을 떠나야만 했다.
처연한 신세가 되어 유배지에 도착한 그는 만어산의 금장굴 부근에서 2년간 귀양을 살게 되었다. 하지만 그는 유배생활을 하면서도 공공연하게 천주교를 신봉할 것을 설득하면서 “큰 소리로 기도문을 외우고 자기 말을 듣고자 하는 모든 이를 가르쳤다.”고 샤를 달레는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결국 그는 형조에서 받은 혹독한 형벌의 여독으로 2년 정도 고생하다가 1786년 가을(혹은 1787년 초) 세상을 떠났다. 김범우가 죽은 뒤 후손들은 만어산을 중심으로 삼랑진읍 굴암리(掘岩里, 현 용전리), 단장면 등에 살면서 신앙을 전파했다.
한국 천주교회에서 공식적으로 조정으로부터 사형선고를 받고 형 집행을 당한 최초의 순교자는 1791년 ‘진산사건’(珍山事件)으로 순교한 윤지충이다. 그러나 비록 관아에서 사형선고를 받지는 않았으나 분명히 그보다 앞서 박해와 형벌 속에서 신앙을 증거하고 그 형벌의 여독이 죽음의 직접적 원인이 된 김범우는 ‘장하치명’(杖下致命)한 한국교회 최초의 순교자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서울의 명동 성당은 한국교회 창설의 기점이 된 명례방 집회가 이루어졌던 김범우의 집을 역사적으로 기념하여 건립된 성당이기도 하다.
1989년 김범우의 묘를 발굴한 이후 순교자현양위원회에서는 주변의 땅을 매입하여 순교자 묘역 조성사업을 진행하였다. 묘역에 미사를 봉헌할 수 있는 제대와 1천여 평의 잔디밭을 조성하고, 도로변 주차장에서 묘역에 이르는 산길에는 대형 원석에 그림을 새긴 십자가의 길 14처를 세웠다. 그리고 묘역 주차장에서 묘역에 이르는 길목에는 20개의 돌에 한국 천주교회의 기념비적인 사건들을 기록하였다. 수년간의 노력을 통해 묘역을 말끔히 단장한 후 2005년 9월 14일 정명조 주교의 주례로 묘역 준공미사를 봉헌했다.
이어 2010년 11월 순례객들을 위한 김범우 순교자 기념 성모동굴성당 기공식을 갖고 공사에 착수하여 2011년 9월 20일 교구장 황철수 주교의 주례로 봉헌식을 가졌다. 김범우 순교자 성지 주차장 부지 한편에 세워진 성모동굴성당과 사제관의 완공으로 순례객들은 날씨와 상관없이 미사를 봉헌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김범우 토마스는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가 추진하여 2014년 8월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시복된 ‘하느님의 종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조선왕조 치하의 순교자와 증거자의 제2차 시복 추진 대상자인 '이벽 요한 세례자와 동료 132위'에 포함되었다. 부산교구는 장독(杖毒)으로 사망한 김범우의 시복시성을 위해 관련 사료를 수집하는 등 시복시성 운동을 벌이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17년 9월 14일 김범우 토마스 순교자 순교 230주년을 맞아 김범우 순교자 성지 내에 교육관 및 피정의 집을 건립해 축복식을 거행했다. 이어서 성령의 길을 완공하며 순례자들에 대한 순교 정신 교육과 체험의 장이 되고 있다. [출처 : 주평국, 하늘에서 땅 끝까지 - 향내나는 그분들의 발자국을 따라서, 가톨릭출판사, 1996, 내용 일부 수정 및 추가(최종수정 2020년 4월 24일)]